(국제신문) [뉴스 분석] 기약 없는 옛 부산외대 우암동 부지 개발
민간업체 매각에 또 표류
- 호남 대형 건설사 뒷배설
- 아파트 재개발 시나리오
- 市 공영개발 기조와 배치
- 용도변경 불허 땐 불가능
- 남구 상인들 대책 호소
부산시의 공영개발 기조에도 불구하고 부산외국어대가 우암동 캠퍼스를 민간업체에 매각하면서 개발 방향이 안갯속에 빠졌다. 우암캠퍼스는 67%가 자연녹지, 33%가 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돼 있어 용도 변경 없이는 개발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인허가권을 가진 시의 정책 방향과 배치되는 민간 매각에 대해 다양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지만 결국 우암캠퍼스 부지 개발이 다시 장기표류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1일 지역 정치권 등에 따르면 지난달 17일 부산외대 우암캠퍼스 부지를 낙찰 받은 곳은 서울의 A 부동산 업체로 알려졌다. 연 매출 200억 원의 중소기업이 최저입찰금액인 1030억 원보다 수십억 원 많은 금액을 써 낸 것으로 알려지면서 ‘뒤에 대기업이 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호남에서 출발한 대기업 B 건설사로, 그동안 A 업체와 컨소시엄을 이뤄 수도권 신도시 사업을 비롯해 각종 아파트 건설 사업을 진행해왔다.
지역에 아무런 기반이 없는 대기업이 시의 공영개발 방침에도 불구하고 부지를 매입하면서 학교 측이 ‘인허가 해결’을 옵션으로 매각했다는 이야기도 떠돈다. 이에 대해 부산외대 관계자는 “단언컨대 사실이 아니다. 그럴 능력도 없을 뿐더러, 그 정도 능력이 있다면 직접 개발을 하지 왜 매각하겠느냐”고 설명했다.
또 다른 개발 시나리오는 고급 빌라 건설이다. 현재 건축이 가능한 부지에 최고급 빌라촌을 짓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방안도 사전협상제에 따른 사업 추진 등 난관도 많아 현실적으로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결국 자금력이 막강한 B 사가 장기적인 관점에서 공동주택 건설을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분석이 가장 개연성이 크다. 이 경우 우암캠퍼스 공영개발은 다시 표류할 수 밖에 없다.
지역 건설업계 관계자는 “우암캠퍼스와 인접한 남구 대연동에 한창 재개발 붐이 일고 있다. 앞으로 우암동까지 재개발 바람이 불고, 컨테이너 야적장이 신항으로 옮겨가며 우암캠퍼스도 재개발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며 “안일하게 공영개발을 추진하던 부산시만 속이 탈 뿐이다. 부지를 매입한 업체로서는 급할 게 없는 셈”이라고 말했다.
시는 지난달 부산 발전을 가로막은 장기표류사업 12가지를 선정했다. 시는 우암캠퍼스 공영개발을 4순위로 놓고 신속 추진 형태로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불과 열흘 뒤 매각 계약이 이뤄지면서 시는 ‘닭 쫓던 개’ 신세가 됐다.
우암캠퍼스 인근 상인들은 시의 적극적인 행동을 촉구하고 있다. 851일째 부산시청 앞에서 1인 시위 중인 박동철 남구지역상인회장은 “시가 공영개발만 되풀이했을 뿐 매각 과정에서 학교 측과 적극적인 협의 노력이 없었다”며 “7년째 방치된 우암캠퍼스 부지는 또다시 긴 세월을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