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DP 와 GNP에 대해 오늘은 알아봅시다.
차이점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GDP (Gross Domestic Product) 으로
국내 총생산을 의미합니다.
즉, 정해진 기간 내에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된
모든 제품 및 서비스의 시장가치의 합계이지요.
예를 들어 우리나라 GDP라고 하면
우리가 생산하는 제품의 시장가치 뿐만아니라
외국기업이 우리나라에서 투자 및 제품을 생산한다
하여도 이것또한 우리나라 GDP에 들어갑니다.

GNP (Gross National Product) 으로
생산요소가 어느 나라에 있던지간에
창출된 최종 생산물품(중간 투입요소의 가치는
모두 제외되고 최종가치만 합산)은 모두 기업이
속해있는 국가의 GNP로도 들어가게 됩니다.
우리나라사람들이 외국에서 생산을 하건
우리나라에서 생산을 하건 장소와 상관없이
우리나라 사람들의 총생산을 나타냅니다.
즉 자국 국민이 생산한 가치만 포함한다고 보면 됩니다.

GNP보다 GDP를 더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외국으로 많이 나가기 때문에
외국에서의 생산력을 산출하기 까다로운 것이 사실이고
현재는 외국기업들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생산 및 투자를 통한 이익도 거의 다 국내에서
지출되므로 GDP가 더욱 각 나라의 경쟁력을
나타내는 좋은 지표라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민소득은 GNP로, 국가소득은 GDP로 통용됩니다.
GNP는 한 나라의 국민들이 벌어 들이는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를테면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는 국민이
일정 기간 동안 국내 또는 국외에서 모두 벌어들이는
소득이 바로 GNP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예를들면 중국인 산업연수생이 우리나라에서
급여로 받은 금액은 GNP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중국에 나가있는 우리나라의 주재원의 급여는
GNP에 포함된다고 여기시면 됩니다.

GDP는 국가총생산이라는 의미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이를테면 국내에 있는 내국인이든 외국인 근로자이든
관계없이 우리나라에서 이뤄지고 있는
생산가치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GDP는 일정 기간 동안 한 국가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최종 시장가치라고 여길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국경 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모든 생산물이 GDP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GNP와 GDP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기준으로 삼는 요소가 다르다는 것입니다.
즉 GNP와 국내든 국외이든
자국민들의 생산액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면,
GDP는 국민이 아닌 국가의 영토 안에서 생산되고 있는
생산물을 기준으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 것이지요.

예를들면,
외국회사가 우리나라 영토에서 상품을 생산하면
그 생산가치가 GDP에는 포함이 되지만,
우리나라 국민이 벌게되는 소득은 아니기 때문에
GNP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미국에서 생산되고 있는
H사의 자동차의 경우에는 우리나라의 영토 안에서
생산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GDP에는 빠지겠지만
GNP에는 포함되어 계산될 수 있는 것입니다

작년 전세계에서
GDP가 가장 높았던 나라는 미국이었고,
그 뒤를 중국과 일본 독일 등이 뒤를 이었다고 합니다.
우리 대한민국은 10위 안에는 포함되지 않았다고...
GNP의 경우에는 룩셈부르크가 세계에서 1위로
국민총생산이 높은 국가였고,
우리나라는 GNP부분에서도
세계 10위안에는 들지 않았다고 하네요...ㅠ
원썬님의 블로그에서~
첫댓글 국내 총생산(GDP)..
국민소득은 GNP로, 국가소득은 GDP로 통용~!
오늘도 배우고 감동받구,
덕분에 좋은 하루를 열어가네요^^
아! 그동안 너무 경제용어에 무심함을 느끼며...
경제공부를 오랜만에 하게 되네요~ㅋ
기준으로 삼는 요소가 어떠냐에 따라 달라지는....
대한민국의 GDP가 '약 1조3,211억$' 세계 11위라고 하네요!@
맞아요 비슷비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