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醫聖) 장기려"
바보 의사 '장기려 박사'
이야기 입니다.
제가 밤에 뒷문을 열어 놓을 테니 어서 집으로 가세요.
장기려 박사는 어느 생활이 어려운 사람이 병원에 입원했다가 퇴원을 해야 하는데 돈이 없어 막막해
하고 있을 때 이를 눈치
채고는 병원 뒷문으로 몰래
빠져나가게 해 주었습니다.
이 환자에게는 닭 두 마리
값을 내주시오. - 원장 -
병이 나으려면 무엇보다
잘 먹어야 하는 환자에게
장기려 박사가 써준 처방전
입니다.
서울대,부산대 의대 교수,
부산 복음병원 원장을
지냈지만 그가 세상을
떠났을 때 그에게는 방한칸
없었습니다.
자신의 소유를 가난한
사람들에게 다 나누어
주었기 때문입니다.
1947년 김일성대학
의과대학 교수 겸 부속병원
외과과장으로 재직중
6.25가 발발했습니다.
이남으로 내려온 후
1951년 5월부터 부산에서
창고를 빌려 간이병원을
설립하고 피난민과 전쟁
부상자들을 무료로
진료하기 시작했는데 그것이
복음병원의 시작이 었습니다.
그는 1968년 당시 100원
하는 담뱃값만도 못한
월 보험료 60원에 뜻있는
사람들과 ‘청십자 의료보험
조합’을 설립하여 1989년
전 국민에게 의료보험이
확대될 때까지 20만명의
영세민 조합원에게
의료혜택을 주었습니다.
국가보다 10년 앞선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의료보험 이었습니다.
사람들은 종종 그를 이렇게
불렀습니다 바보...그는
바보라는 말을 들으면
그 인생은 성공한 것이다.
그리고 인생의 승리는 사랑하는 자에게 있다 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철저히
청지기의 삶을 살았습니다.
그는 평생 가난했지만 다른
사람들을 부유하게 했고,
집 한 채 없었지만
사람들에게 따뜻한 사랑을
베풀었고, 뇌경색으로
반신이 마비될 때까지
무의촌 진료를 다녔습니다.
그는 자신을 드러내기를
싫어했고, 자신이 칭송받는
것을 싫어 했습니다.
그는 이웃과 나누며
가난하게 살았습니다
특히 아내에 대한 그의
극진한 사랑은 육체나
환경을 초월한 영혼과
영원의 사랑이었습니다.
1950년 12월 평양의대
병원 2층 수술실에서 그가
밤새워 가며 부상당한 국군
장병들을 수술하고 있을 때
갑자기 폭탄이 병원 3층에
떨어졌습니다.
국군들은 모두 재빨리
철수해야 했습니다.
그 바람에 그는 사랑하는
아내와 생이별을 하게
되었고, 일평생 빛바랜
가족사진 한 장을 가슴에
품고 아내를 그리워하며
살아야 했습니다.
주변의 많은 사람이 그에게
재혼을 권했지만 그는
언제나 똑같은 말을 되풀이
했습니다.
한 번 사랑은 영원한 사랑 입니다 나는 한 여인만을
사랑하기로 이미 약속을
했습니다.
나는 사랑하는 나의 아내와
영원히 살기 위해서 잠시
그저 혼자 살겠습니다.
그가 부인을 그리며
1990년에 쓴 망향편지는
우리들의 가슴을 에는 듯
합니다.
창문을 두드리는 빗소리가
당신인 듯하여 잠을 깨었소.
그럴 리가 없지만 혹시 하는
마음에 달려가 문을 열어
봤으나 그저 캄캄한 어둠뿐
허탈한 마음을 주체하지
못해 불을 밝히고 이 편지를
씁니다.
미국에서 북한을 많이 도운
그의 제자가 북한 당국과
합의하여 중국에서 장기려
부부를 만날 수 있도록 주선
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기어코 그
기회를 사양 하였습니다
나만 그런 특권을 누리면
다른 이산가족의 슬픔이
더 커진다는 것이
이유였습니다.
그는 결국 빛바랜 사진을
보면서 아내를 그리워
하다가 만나지 못하고,
1995년 12월 25일 성탄절
새벽 1시 45분 85세를
일기로 소천하셨습니다.
그때 한국의 언론은 ‘한국의
슈바이처’ 가 우리 곁을
떠났다고 아쉬워 했습니다.
그는 어두운 밤과 같은
그 시대에 밝은 빛을 비추며
병든 사람들을 섬기면서
겸손하고 가난하고 따뜻하게 사신 분이었습니다.
醫聖, 장기려 박사님의
바보처럼 사는 삶,이시대를
밝히는 등불 입니다.
*** 좋은 글 옮겨 왔습니다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운암 자운 스님
2 0 2 4, 3, 26,
*** 오늘의 말씀 ***
계율을 가춰 성취하고
행함에 게으름이 없으며
마음을 정하여 해탈에 이르면
악마의 길에서 길게 벗어 난다
( 법구 경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사람은 누구나 잘못을
저지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이 여타의 동물과 차별된 것은
그 잘 못된 행위를 바로 고치러는
향상심이 있기 때문입니다
잘못된 행위를 고쳐
바른 길로 나가려 하는 것을
불교 에서는 참회 (懺悔)라고 합니다
참회에는
미흑한 마음으로 형식에
의존하는 사참회(事懺悔)와
지혜로운 마음으로 이치에
따르는 이참회(理懺悔)가 있습니다
가벼운 업은 사참회만으로 소멸되지만
무거운 죄는 이참회가 따라야 합니다
몸과 마음을 관하여 번뇌의 요인을
끊어 버리고 날마다 평안한 날
되소서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