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언론에서 말하는 엔진 조류충돌(정확히 조류충돌인지는 확인 안됨 조류충돌사고는 심각하지 않은 통상적사고이며 촬영된 영상에는 새떼는 보이지 않음) 과 랜딩기어 작동불능이 동시에 일어났다는 기이한 우연? 조류충돌보다 더 급박하고 심각한 손상이 일어나지 않았을까? 더군다나 조류충돌이 있었다고하는 시각 직전에 이미 항공식별ADSB 장치가 꺼지는 일이 있었다.
2.촬영영상제보자가 우연히 사고기의 사고 장면을 정확한 위치에서 기다렸다는 듯이 촬영하여 MBC에 제보? (일반 평범한 주민이 전문가 수준의 영상을 가장 생생하게 촬영할수 있는 특정 시간과 위치에서 촬영할 수 있을까?)
3.광주일보와 M투데이에 사고 발생 일주일전 12월 22일에 사고기사가 올라왔다가 사라진 사실이 밝혀지고 있음.
4. MBC뉴스 무안공항 사고 속보영상에 1초 가량의 기이한 암호같은 자막들? ( 광복(815)자막- 해당사고지방도로 번호, 탄핵관련:817 자막-사고지역의 주소 도대리 817)
5.사고발생직전 지난주 금요일 주식 시장에서 아무런 악재도 없는데 제주항공 주식이 갑자기 대량매도가 일어난 이유?
6. 비상착륙 과정의 비정상 - 왜 360도 회항하여 정상 방향으로 비상 착륙하지 않고 관제사가 견고한 콘크리트 흙둔덕 구조물(로컬라이저 안테나 설치물로, 규정에 어굿난 이 위험한 구조물을 2020년 일부로 왜 공사했나?)이 있는 활주로 반대방향으로 급하게 착륙(활주로 중간부에 착륙)을 유도하는 이례적인 관제를 하였을까?(일반적으로는 어느정도 엔진손상이 있다 하더라도 충분히 선회비행이 가능한 상태인데...아니면 파일럿이 메이데이를 선포할 정도로 너무 급박한 상태여서?)
7. 왜 항공기는 랜딩기어 비상 수동 작동과 속도 감속을 위한 플랩작동 등을 전혀하지 않았을까?
첫댓글 기이한 우연의 연속은 우연이 아니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