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사건]
1999년 12월 1일
영조가 사도세자를 위해 쓴 묘지문, 250년 만에 공개
사도세자를 뒤주 속에 가둬 질식사하게 한 영조가 아들의 죽음을 비통해하며 참혹한 심경을 토로한 묘지문이 2백50년 만에 공개됐다.
국립중앙박물관은 1999년 12월 ‘이달의 문화재’ 전시품목 중 하나로 1968년 서울 휘경동 거주 이종만씨가 기증해 보관해오고 있던 영조의 ‘어제사도세자묘지문(御製思悼世子墓誌文)’을 공개했다.
가로 16.7㎝·세로 21.8㎝·두께 2.0㎝ 사각형 청화백자 5장에 씌어 있는 이 묘지문의 작성일자는 영조 38년(1762) 7월로 기록돼 있다. 임금이 쓴 묘지문은 통상 문장이 뛰어난 학자가 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 묘지문은 “이것은 신하가 대신 쓰는 것이 아니며 내가 누워서 받아적게 하여 짐의 30년 마음을 밝힌 것이니…”라며 영조가 직접 작성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너는 무슨 마음으로 칠십의 아비로 하여금 이런 경우를 당하게 하는고”로 시작하는 이 묘지문에서 영조는 “그래서 난잡하고 방종한 짓을 타일렀으나 제멋대로 군소배들과 어울리니 장차는 나라가 망할 지경에 이르렀노라”면서 아들을 뒤주에 가둔 이유를 밝히고 있다. 이어 아들의 죽음이 뜻밖의 일이라며 “여러날 (뒤주를) 지키게 한 것은 종묘와 사직을 위함이었는데… 진실로 아무 일이 없기를 바랐으나 9일째에 이르러 네가 죽었다는 망극한 비보를 들었노라”며 원통해 하고 있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사도세자가 노소당인(老少黨人) 간의 정쟁으로 노론에 의해 사도세자가 희생된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았으나 영조 자신이 아들을 죽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훈육하기 위해 뒤주에 가두었다고 쓴 글이 나옴으로써 그 배경을 둘러싼 새로운 논쟁거리를 제공하게 되었다.
[오늘의 인물]
1998년 12월 1일
시사만화의 개척자 ‘코주부’ 김용환씨 별세
한국 시사만화의 새 장을 연 ‘코주부’ 김용환 화백이 1998년 12월 1일 미국 로스앤젤레스근교 토렌스시의 자택에서 별세했다. 향년 86세였다.
주먹보다 큰 호박코, 그 코 못지 않게 널름 벌리며 언제나 웃는 입, 촌스럽게 눌러 쓴 중절모. 김용환 화백의 ‘코주부’ 캐릭터는 오십 넘어 나이 먹은 세대에게 친숙한 얼굴이다. ‘코주부’는 한국 현대사의 격랑 속에서도 주어진 삶의 조건을 회피하지 않고 묵묵히 살아온 서민을 대표하는 캐릭터로 1997년에는 만화 캐릭터 가운데 처음으로 우표로 제작되기도 했다.
경남 김해에서 태어난 김씨는 원래 일본 도쿄제국미술대에서 서양화를 공부한 화가 지망생이었다. 그러나 1945년말 네칸 만화 ‘박첨지’(중앙신문)와 ‘코주부’(서울타임스)를 선보이며 만화가로 입신했다. ‘코주부’는 특히 멋스러우면서도 통쾌한 세태 풍자와 해학으로 선풍적 인기를 모았다. 그는 같은 시기 어린이신문에 ‘복만이의 모험’ 연작을 내며 어린이 만화가로도 최고 작가로 각광받았다. 그는 1959년 돌연 일본으로 건너가면서 국내 활동을 중단했다.
그 해, 오늘 무슨 일이... 총 84건
ㆍ2009년 · 214급 잠수함 ‘안중근함’ 취역식
ㆍ2009년 · 북한, 화폐 개혁 단행
ㆍ2004년 · 미국 ‘인디언 보스턴 출입금지’ 규정 329년 만에 폐지
ㆍ2001년 · 2002월드컵 본선 조 추첨
ㆍ1998년 · 영화 `닥터 지바고` 촬영감독 프레디 영 사망
ㆍ1998년 ·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인수
ㆍ1998년 · 시사만화의 개척자 ‘코주부’ 김용환씨 별세
ㆍ1996년 · 이봉주, 제50회 후쿠오카마라톤대회에서 우승
ㆍ1995년 · 전국경제인연합, 기업윤리헌장 제정
ㆍ1995년 · 한국 경제학자 고승제 사망
ㆍ1994년 · 국군평시작전통제권, 유엔군사령부로부터 환수
ㆍ1992년 · 한국-남아공 국교 수립
ㆍ1991년 · 우크라이나, 공화국의 독립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 실시
ㆍ1991년 · 미국의 경제학자 조지 스티글러 사망
ㆍ1991년 · 우크라이나 첫 대통령에 크라프추크 당선
ㆍ1991년 · POS(점포판매시스템)제도 도입
ㆍ1991년 · 도서에 ISSN(국제표준도서번호)제도 도입
ㆍ1990년 · 영국과 프랑스를 잇는 도버해협 터널 관통
ㆍ1989년 · 필리핀 쿠데타 기도, 실패
ㆍ1986년 · 미국 레이건 대통령, 이란-콘트라 사건을 규명하기 위한 특별검사 설치 결정
ㆍ1983년 · 이원경 외무장관, 레이건 미국 대통령과 회담
ㆍ1983년 · 삼성반도체 64KD램 반도체칩 국내개발 양산돌입
ㆍ1983년 · 일해재단 발족
ㆍ1982년 · 세계최초로 인공심장 이식수술 성공
ㆍ1982년 · 마이클 잭슨 앨범 `스릴러` 발매
ㆍ1981년 · 유고 여객기. 프랑스 공항서 추락. 178명 사망
ㆍ1980년 · 새마을운동 중앙본부 발족
ㆍ1980년 · KBS-TV, 첫 컬러 방영
ㆍ1980년 · 대구매일, 부산일보, 경남매일, 광주일보 창간
ㆍ1978년 · 루마니아, 탈소련 선언
ㆍ1978년 · 황룡사 터에서 사상최대 크기의 치미 발굴
ㆍ1977년 · 해태그룹의 창업자 박병규 사망
ㆍ1977년 · 버스 토큰제 실시
ㆍ1976년 · KBS 여의도 새 방송종합청사 준공식
ㆍ1975년 · 미국-중국, 정상회담
ㆍ1975년 · 국산승용차 1호 ‘포니’ 생산 개시
ㆍ1973년 · 이스라엘 초대 총리 벤구리온 사망
ㆍ1972년 · 동서독관계 정상화 기본조약 조인
ㆍ1971년 · 영남고속도로, 서울~원주 구간 개통
ㆍ1968년 · 영화배우 김승호씨 별세
ㆍ1966년 · 빌리 브란트 서독 외상에 취임. 동방정책 시작
ㆍ1962년 · 소련, 라오스 경제원조협정 조인
ㆍ1960년 · 한일정기해상항로(부산~하카다) 종전후 처음 취항
ㆍ1959년 · 서울은행 개점
ㆍ1959년 · 프랑스-소련, 무역협정 조인
ㆍ1959년 · 세계 12개국, 워싱턴서 남극조약 조인
ㆍ1957년 · 이스라엘-요르단 교전
ㆍ1955년 · 한국-독일, 국교 수립
ㆍ1955년 · 서독, 대한민국을 승인
ㆍ1955년 · 극장 지정좌석제 실시
ㆍ1953년 · 소련, 외국인과의 혼인금지령 폐지
ㆍ1953년 · 삼남지방에 비상계엄령
ㆍ1951년 · 대구 부산을 제외한 남한전역에 비상계엄령 선포
ㆍ1950년 · 유엔총회 한국재건단(UNKRA)설치 결의안 채택
ㆍ1950년 · 중국군, 티베트의 수도 라사에 진주
ㆍ1949년 · 사회부 신설
ㆍ1947년 · 북한 화폐개혁 발표
ㆍ1945년 · 일본, 전범 53명에 체포령
ㆍ1945년 · 역사학회 창립
ㆍ1945년 · 동아일보 복간
ㆍ1943년 · 카이로선언 발표(11.27 서명)
ㆍ1942년 · 전국에서 청년특별연성소 입소식
ㆍ1937년 · 일본, 재만(在滿)한국인의 치외법권 철폐
ㆍ1932년 · 중국정부 낙양서 남경으로 천도
ㆍ1927년 · 한강철교 복선 운행 시작
ㆍ1927년 · 조선일보, 한국 최초의 신춘문예 도입
ㆍ1925년 · 로카르노조약 조인(독일국경문제)
ㆍ1923년 · 진주선(마산~진주간)철도 개통
ㆍ1921년 · 우측통행(1906년 실시)을 좌측통행으로 변경
ㆍ1920년 · 장덕수 등 조선청년연합회 조직
ㆍ1918년 · 잡지 `유심` 폐간
ㆍ1915년 · 총독부 박물관 경복궁내 개관
ㆍ1913년 · 국제 전신 개통(서울~도쿄)
ㆍ1911년 · 헤이그 국제아편회의
ㆍ1910년 · 덕수궁 석조전 준공
ㆍ1905년 · 전(前)의정(義政) 조병세, 전(前)참판 이명재 자결
ㆍ1905년 · 동학, 천도교로 개칭
ㆍ1894년 · 일본군 전신국, 공중전신 개시
ㆍ1878년 · 미 백악관, 처음으로 전화 설치
ㆍ1825년 · 러시아의 황제 알렉산드르 1세 사망
ㆍ1792년 · 러시아 수학자 로바체프스키 출생
ㆍ1783년 · 샤르루, 최초 수소기구 샤를리엘 개발
ㆍ1430년 · 아악보 완성(세종12년)
ㆍ1413년 · 중외인민에 호패 사용(태종 13년)
[출처 : 조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