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를 뛰어넘어 꿈을 찾아 나가는 용기
뛰어난 재주를 지녔으나 천민 신분으로 태어난 주인공 복동이는 주인어른의 시중을 들며 그림에 대한 꿈을 키워 나간다. 그러나 복동이가 태어난 시대에는 그림을 그리는 일에도 신분이 중요했고, 복동이에게 이 신분은 가장 큰 장애물이 된다. 그러나 천민이라는 신분 때문에 그림을 그리겠다는 생각도, 화원을 꿈꿀 생각도 하지 못했던 복동이는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어 꿈을 향해 천천히 걸어 나간다.
그러나 주체적인 인물 복동이도 혼자 힘으로 이 장애물을 뛰어넘기란 쉽지 않다. 신분이라는 한계가 외부에서 주어진 만큼 이것을 허무는 데는 조력자가 필요하다. 다행히 복동이에게는 재능을 알아봐 준 이들이 힘을 보탠다. 당대 최고의 화원이었던 주인어른, 스승이 되어 준 노인, 송암 선생 등이 그렇다. 복동이의 그림을 종놈이 그린 것이 아닌 하나의 사람으로 존중하며 순수하게 인정하고 감탄해 준 마음들이 하나둘 모여 복동이의 등을 밀어 준다. 물론 복동이가 스스로를 대견하게 생각하며 그림을 그린 시간과 해내고자 하는 단단한 용기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다. 우리는 작품을 따라가다 보면 천민의 신분을 가진 복동이가 조선의 화원이 될 수 있을지 마음으로 응원하게 된다. 나아가 마음을 움직이는 그림을 그리고자 하는 복동이처럼 꿈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해 볼 수 있으며. 나를 막는 한계와 장애물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줄 것이다.
한 폭의 그림을 보는 듯 펼쳐지는 이야기
“호랑나비가 날아올랐다. 그 순간 우물가에 핀 패랭이꽃도 흔들렸다.
나비의 날갯짓을 따라 고양이의 고개가 돌아갔다.”
나비에서 꽃, 고양이 가뿐한 리듬으로 독자를 들어 올리며 이야기는 시작한다. 이 장면은 복동이가 젖은 땅에 나뭇가지로 그린 그림을 묘사한 것이다. 복동이라는 아이가 얼마나 재주가 좋은 인물인지 어렵지 않게 알아차릴 수 있 다. 곧이어 이 그림을 발로 짓밟는 ‘원’이라는 도련님이 등장하며, 복동이가 처한 상황까지 짐작할 수 있다. 작가는 복동이 지닌 뛰어난 재주와 그림에 품은 열정을 마치 그림을 그리듯 묘사해 독자들을 깊이 감동시킨다. 곳간에 갇혀 돌멩이로 그림을 그리는 장면, 어수룩하게 호작도를 그리는 과정, 마침내 완전하게 묵죽도를 그려내는 모습까지 모두 복동이의 열정과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작가는 빼어난 묘사, 절제된 문장만으로 한 폭의 그림을 보는 듯 펼쳐져 독자들을 감화시키고, 더 깊은 감상과 감동을 전한다.
또한, ‘세화’라고도 부르는 조선의 민화는 백성의 그림이라는 뜻으로, 당대 백성들이 어떤 소망을 품었는지 짐작하고 상상해 볼 수 있다. 어쩌면 조선의 민화는 백성의 바람을 담은 그림이면서, 그림 자체가 염원을 담은 메시지라고 볼 수 있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서민 문화의 변화가 어떻게 민중 의식으로 발전하고, 변하지 않을 것만 같았던 신분 제도를 붕괴시켰는지 보여 주고 싶었다고 전한다. 독자들은 작가가 깊게 담아낸 메시지와 주인공의 꿈과 소망
에 대한 이야기를 민화라는 소재를 통해 다시 한번 느껴볼 수 있을 것이다.
첫댓글 출간 축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장편동화 출간을 축하합니다, ^^~~
감사합니다~토욜에 뵐게요~♡
한현정 선생님, 축하드려요. 베스트 셀러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선생님도 대박나시길요~~^^
《복을 그리는 아이》한현정 선생님의 동화로
우리문화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이 생겼으면 좋겠어요.
기대되는 책이에요 💕
좋은 말씀 감사드려요~~^^
한현정 선생님, <복을 그리는 아이> 출간을 축하드립니다.^^
한현정 작가님, 출간 축하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