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착 장애 3]
하지만 불우한 환경에서 자랐어도
애착이 안정된 사람들이 있다.
그들을 통해 본 애착 장애 극복법이다.
1. 애착 접근법
부모를 비롯한 보모,
교사 등의 양육자가 심리적으로
포옹(홀딩)한 상태를 계속 유지해
상대가 안정감을 되찾도록 애착을 재형성한다.
2. 애착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사물이나 현상을 냉철하게 바라보고
객관적으로 생각하는 훈련을 시킨다.
자신이 잘할 수 있는 취미활동을
심도있게 하거나 자신만의 심오한
작품을 만드는 것도 매우 도움이 된다.
절망이 죽음에 이르는 병이라고 했던
키에르케고르도 애착 장애가 있었다.
그러나
그는 깊이가 있는 수많은
글을 써서 애착 장애를 극복했다.
"서로 친절하게 하며 불쌍히 여기며
서로 용서하기를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너희를 용서하심과 같이 하라" (엡 4:32)
첫댓글 장애가 있슴 마음의
상처가 깊지요,
평생 아픔을 담고 살아야하는
고달품 없어야 겠슴다,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