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돌터 원문보기 글쓴이: 蘭谷
|
餘氣 |
中氣 |
正氣 |
子 |
壬 10일5분 |
― |
癸 20일7분 |
丑 |
癸 9일3분 |
辛 3일1분 |
己 18일6분 |
寅 |
戊 7일2분반 |
丙 7일2분반 |
甲 16일2분반 |
卯 |
甲 10일5분반 |
― |
乙 20일6분반 |
辰 |
乙 9일3분반 |
癸 3일1분 |
戊 18일6분 |
巳 |
戊 5일1분반 |
庚 9일3분반 |
丙 16일5분 |
午 |
丙 10일3분반 |
己 9일3분반 |
丁 10일3분반 |
未 |
丁 9일3분 |
乙 3일2분 |
己 18일6분 |
申 |
戊己 7일2분반 |
壬 7일2분 |
庚 16일6분 |
酉 |
庚 10일5분반 |
― |
辛 20일6분반 |
戌 |
辛 9일2분 |
丁 3일2분 |
戊 18일6분 |
亥 |
戊 7일2분반 |
甲 7일1분 |
壬 16일5분 |
胞胎法 - 어떤 천간이 어느 지지를 만났을 때, 生旺의 기를 얻거나 사장되는 관계. 사주풀이에만 쓴다.
金寅火土亥 木申水巳順 (陽胞胎) 金卯火土子 木酉水午逆 (陰胞胎)
양금인 경이 지지에 인을 만나면 절이 되고, 묘는 태며, 진을 만나면 양이요, 사를 만나면 생이며, 오는 욕이며, 미는 대며, 신은 관이며, 유는 왕이며, 술은 쇠며, 해는 병이 되며, 자는 사며, 축을 만나면 묘(고장)이 된다. 이 12단계는 인간과 우주만물의 생노병사의 과정을 풀이한 것이다.
|
絶 |
胎 |
養 |
生 |
浴 |
帶 |
官 |
旺 |
衰 |
病 |
死 |
墓 |
甲 |
신 |
유 |
술 |
해 |
자 |
축 |
인 |
묘 |
진 |
사 |
오 |
미 |
乙 |
유 |
신 |
미 |
오 |
사 |
진 |
묘 |
인 |
축 |
자 |
해 |
술 |
丙 |
해 |
자 |
축 |
인 |
묘 |
진 |
사 |
오 |
미 |
신 |
유 |
술 |
丁 |
자 |
해 |
술 |
유 |
신 |
미 |
오 |
사 |
진 |
묘 |
인 |
축 |
戊 |
해 |
자 |
축 |
인 |
묘 |
진 |
사 |
오 |
미 |
신 |
유 |
술 |
己 |
자 |
해 |
술 |
유 |
신 |
미 |
오 |
사 |
진 |
묘 |
인 |
축 |
庚 |
인 |
묘 |
진 |
사 |
오 |
미 |
신 |
유 |
술 |
해 |
자 |
축 |
辛 |
묘 |
인 |
축 |
자 |
해 |
술 |
유 |
신 |
미 |
오 |
사 |
진 |
壬 |
사 |
오 |
미 |
신 |
유 |
술 |
해 |
자 |
축 |
인 |
묘 |
진 |
癸 |
오 |
사 |
진 |
묘 |
인 |
축 |
자 |
해 |
술 |
유 |
신 |
미 |
絶은 인간의 생명이 모태에 들어가기 직전 부모결합의 시기에 해당한다. 胎는 한 생명이 모체에 들어간 단계이며, 養은 모태에서 점차 성장해가는 과정이요, 生은 모태로부터 이 세상에 출생하는 것이며, 浴은 유아를 목욕시키고 대소변을 씻겨주는 시기이며, 帶는 옷을 입고 띠를 맬 줄 아는 소년 시기이며, 官은 성장하여 결혼하며 벼슬을 하는 시기이며, 旺은 인생 최고의 극성한 장년 시절을 뜻한다. 衰는 노년기에 접어든 것이요, 病은 사람이 늙어서 시들고 병든 노년기를 말한다. 死는 시들고 병들어 생명이 끊어진 상태이고, 墓은 죽어서 장사지내고 지하에 묻혔음을 말한다.
길신과 흉살
吉神의 종류 - 일주의 천간을 사주의 주인공으로 본다. 따라서 일간과 다른 7자의 관계를 파악하면 된다.
1. 正祿星(관록을 뜻하며 부하고 형통함) - 甲寅, 乙卯, 丙戊巳, 丁己午, 庚申, 辛酉, 壬亥, 癸子
2. 天乙貴人(지혜총명) - 갑무경축미, 을기자신, 병정해유, 임계사묘, 신오인
3. 학당귀인 - 木日主亥月時, 水土日主申月時, 金日主巳月時, 火日主寅月時
4. 역마성(귀인은 입신승진, 평인은 분주다망) - 신자진생인, 인오술생신, 사유축생해, 해묘미생사
5. 天德星(관직이 높고 병이 적음) - 1월생丁, 2월생申, 3월생壬, 4월생辛, 5월생亥, 6월생甲, 7월생癸, 8월생寅, 9월생丙, 10월생乙, 11월생巳, 12월생庚
6. 月德星 - 1월생丙, 2월생甲, 3월생壬, 4월생庚, 5월생丙, 6월생甲, 7월생壬, 8월생庚, 9월생丙, 10월생甲, 11월생壬, 12월생庚
7. 將星(문무겸전) - 인오술년생오, 신자진년생자, 사유축년생유, 해묘미년생묘
8. 총명학자 - 인오술년생술, 신자진년생 진, 사유축년생축, 해묘미년생미
9. 천의성(의사, 종교가, 간호사, 약사 등) - 1월생축, 2월생인, 3월생묘, 4월생진, 5월생사, 6월생오, 7월생미, 8월생신, 9월생유, 10월생술, 11월생해, 12월생자
凶殺의 종류
1. 六甲空亡(길신의 운기가 무기해짐. 과숙과 함께 있으면 고독함)
일주 |
공망 | |||||||||
갑자 |
을축 |
병인 |
정묘 |
무진 |
기사 |
경오 |
신미 |
임신 |
계유 |
술해 |
갑술 |
을해 |
병자 |
정축 |
무인 |
기묘 |
경진 |
신사 |
임오 |
계미 |
신유 |
갑신 |
을유 |
병술 |
정해 |
무자 |
기축 |
경인 |
신묘 |
임진 |
계사 |
오미 |
갑오 |
을미 |
병신 |
정유 |
무술 |
기해 |
경자 |
신축 |
임인 |
계묘 |
진사 |
갑진 |
을사 |
병오 |
정미 |
무갑 |
기유 |
경술 |
신해 |
임자 |
계축 |
인묘 |
갑인 |
을묘 |
병진 |
정사 |
무오 |
기미 |
경신 |
신유 |
임술 |
계해 |
자축 |
2. 寡宿殺 남, 여(귀인과 함께이면 좋음) - 인묘진년생 사 축, 사오미년생 신 진, 신유술년생 해 미, 해자축년생 인 술
3. 桃花殺(방탕 부정) - 寅午戌년생卯, 申子辰년생酉, 巳酉丑년생午, 亥卯未년생子
4. 羊刃殺(권력이고 刑을 주재하는 기상. 군자에겐 위권, 소인은 살벌에 종사, 음일생은 보지 않음.) - 甲日生卯, 丙戊일생午, 庚일생酉, 壬일생子
5. 沐浴殺(주색방탕) - 갑일생자, 병무일생묘, 경일생오, 임일생유
6. 紅艶殺(허영사치, 외정을 즐김) - 병일생인, 辛일생유, 계일생申, 정일생미, 갑일생오
7. 劫殺(모든 것을 파괴하고 이산시킴) - 인오술일생해, 신자진일생사, 사유축일생인, 해묘미일생신
8. 三刑殺(형벌, 官災, 구설수 등) - 인사신, 축술미, 자묘, 진오유해
9. 懸針殺(사주 중 특히 日時에 있을 때, 포수 의약업 기술업에 종사) - 갑, 辛, 묘, 오, 申
10. 曲脚殺(사주 중에 있으면 수족에 상해가 있다) - 己, 乙, 巳, 丑
11. 戈殺(사주 중 특히 日時에 있으면 몸에 중상을 입곤 함) - 戊 戌
六神의 喜忌
사주팔자 가운데 특히 일주의 천간은 사주의 주체를 뜻한다. 명리의 판단은 일주의 천간을 다른 7자와 오행상 어떤 관계인지, 대운의 오행조화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가지고 한다. 육신은 印星, 官星, 財星, 食傷星, 比劫星의 오성에 아신을 합하여 이루어진다.
1. 正印星 - 나를 생해주는 오행 중 일주와 음양이 다른 것을 정인이라 한다.
2. 偏印星 - 나를 생해주는 오행 중 일주와 음양이 같은 것을 편인이라 한다.
3. 正官星 - 나를 극하는 오행 중 일주와 음양이 다른 것을 정관이라 한다. 이 정관성은 길성으로 보지만 나를 극하는 것이 태과하면 흉신으로 본다.
4. 偏官星 - 나를 극하는 오행 중 일주와 음양이 같은 것을 편관이라 한다. 극함이 심하기에 七殺이라 한다.
5. 正財星 - 내가 극하는 오행 중 음양이 다른 것을 정재라 한다. 처와 재물을 본다.
6. 偏財星 - 내가 극하는 오행 중 음양이 같은 것을 편재라 한다. 첩과 횡재를 본다.
7. 傷官星 - 내가 생해주는 오행 중 음양이 다른 것을 상관이라 한다.
8. 食神星 - 내가 생해주는 오행 중 음양이 같은 것을 식신이라 한다. 나의 재물을 생해주는 원신이 된다.
9. 比肩星 - 나와 오행이 동일한 것 중 음양이 같은 것을 비견이라 한다.
10. 劫財星 - 나와 오행이 동일한 것 중 음양이 다른 것을 겁재라 한다.
육신희기론
1. 정인과 편인을 印綬라 하는데 인수의 작용은 나를 생해주고, 상관 식신을 극해주고, 편관과 정관에 의해 생함을 받는다. 따라서 사주를 봐서 인수가 일주를 생하는 경우라면 편관 정관이 사주 중에 있는 것도 좋고, 운로에서 인성이나 관성을 만나는 것을 환영한다.
2. 정관과 편관을 관살이라 하는데 이 관성의 작용은 나를 극하지만 한편 나를 생해주는 인성을 생해주며 정재와 편재에 의해 생을 받는다. 따라서 사주를 봐서 일주가 너무 강하면 관성으로 제재해 주어야 발달할 것이다.
3. 정재와 편재를 재성이라 하는데 재성은 정인과 편인을 극하고, 정관과 편관을 생해주며 상관과 식신에 의해 생함을 얻는다. 또 재성은 일주에게 처와 재물이 되는데 일주가 허약하면 처와 재물을 감당할 수 없으므로 사주 중에나 運에서 만나는 것이 불리하고, 일주가 반대로 강하면 재물을 능히 감당할 수 있으니 이때에는 길신이 된다. 따라서 처와 재물이라 하여 무조건 일주에 이익이 되는 길신이 아니며 나를 극한 관살이라 하여 절대로 흉신이 되는 것이 아니다.
4. 상관과 식신을 상식이라 하는데 정관과 편관을 극하며 정재와 편재를 생해준다. 또 비견과 겁재에 의해 생을 받는바 일주의 기운을 泄氣한다. 그런데 만일 사주의 구성으로 보아 관살이 강한 것이 병일 경우 상식이 사주 중에 있거나 운로에 있어서 강한 관살을 제재해 준다면 무한한 길신이 된다. 이런 경우 상식이 비록 나의 기운을 뺏어 간다고 하지만 나를 해치는 도적을 쫓아주는 귀인의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길신이 된다.
生克喜忌論
1. 印星過多의 해
금이 토에 생함을 받으나 토가 과하면 금이 묻힌다(埋).
수가 금에 생함을 받으나 금이 과하면 수가 탁하다(濁).
목이 수에 생함을 받으나 수가 과하면 목이 뜬다(浮).
화가 목에 생함을 받으나 목이 과하면 화가 일렁인다(息).
토가 화에 생함을 받으나 화가 과하면 토가 마른다(燥).
2. 傷食泄多의 해
금이 수를 생하나 수가 과하면 금이 가라앉는다(沈).
수가 목을 생하나 목이 과하면 수가 오그라든다(縮).
목이 화를 생하나 화가 과하면 목이 타버린다(焚).
화가 토를 생하나 토가 과하면 화가 희미해진다(晦).
토가 금을 생하나 금이 과하면 토가 변한다(變).
3. 身弱財多의 병
금이 목을 극하나 목이 과하면 금이 깨진다(缺).
수가 화를 극하나 화가 과하면 수가 마른다(渴).
목이 토를 극하나 토가 과하면 목이 꺾인다(折).
화가 금을 극하나 금이 과하면 화가 일렁인다(息).
토가 수를 극하나 수가 과하면 토가 무너진다(崩).
4. 身旺官星은 喜神
금이 강한데 화를 만나면 기물을 만든다.
수가 강한데 토를 만나면 못을 이룬다.
목이 강한데 금을 만나면 재목을 구한다.
화가 강한데 수를 만나면 건널 수 있다.
토가 강한데 목을 만나면 소통하게 된다.
5. 身弱官星은 害神
금이 약한데 화를 만나면 녹아버린다.
수가 약한데 토를 만나면 진창이 된다.
목이 약한데 금을 만나면 부러지고 베어진다.
화가 약한데 수를 만나면 꺼져버린다.
토가 약한데 목을 만나면 무너진다.
6. 身旺泄氣는 길하다.
금이 강한데 수를 만나면 강한 기를 줄인다.
수가 강한데 목을 만나면 세력을 늦춘다.
목이 강한데 화를 만나면 通明에 이롭다.
화가 강한데 토를 만나면 열기를 제거한다.
토가 강한데 금을 만나면 비옥하다.
명을 보는 큰 요점
. 用神, 喜神, 忌神, 閑神
사주의 원리를 판별하는 일차적 과정은 먼저 용신을 가려내는 일이다. 용신이란 사주팔자 중 나를 위해 제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간지를 말한다. 가령 木일주가 신약한 경우 사주 중에 水가 있다면 이것은 일주를 생해주는 중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사주의 용신은 수가 되며, 운로에서도 생해주는 관건이 된다. 그래서 사주에 있어 용신을 가려내는 일은 가장 중요한 일이며 가장 어려운 일이다. 이런 용신을 가리는 것에는 격국에 대한 분별을 먼저 명확히 해두는 것이 필요하다.
용신을 생하여 돕는 것이 희신(藥神)이고, 용신을 극하는 것이 기신(病神)이며, 용신이나 일주에 대해 무해무덕한 간지는 한신이라 한다. 예를 들면 앞서 말한 甲木 일주가 약할 경우 용신은 水가 되는데 용신을 생해주는 金은 희신이 된다.
또는 약한 木일주에 水가 전혀 없고 金만 있어서 金이 일주를 극하는 경우에는 火가 있어서 나의 적인 금을 제거해 주면 그것이 용신이 되는 수도 있다.
甲일주에 丙火가 있고 이 병화가 일주에 아무런 영향도 주지 않는 관계에 있다면 이것은 閑神이라고 하는데 만일 한신 병화를 대운에 辛자가 있어서 丙辛合을 이룬다면 辛자의 작용은 무력하게 된다. 그런데 辛자가 사주 原局에 해가 되는 경우라면 한신인 병화가 害神인 辛자를 합하여 작용을 못하게 하는 것이 유리하겠지만 만일 신자가 원국에 이로운 길신일 경우라면 원국에 있는 한신 병화가 길신 신자를 합하는 것은 해가 될 것이다. 지지의 작용도 또한 동일하다.
12달의 五行旺弱
木은 정월, 2월, 10월, 11월에 왕성하고 다른 월은 약하다. 10, 11월은 亥子월로 木을 생해주는 달인데 특히 해월은 목이 크게 자라는 곳이며 小春이므로 목을 생하는 것이 크고, 자월 역시 수가 왕성하여 목을 생하지만 추운 겨울철이며 敗浴이 되므로 목을 생해주는 힘이 약하다. 인묘월은 목기가 제일 왕성하다.
火는 4월, 5월, 정월, 2월이 왕성하고 다른 월은 약하다. 巳午월은 화가 제일 왕성하다. 인묘월은 화를 생해주는 달인데 특히 인월은 화가 크게 자라는 곳으로서 힘이 있지만 아직 찬 기운이 남아 있을 때이니 유의하여 원국의 세를 판단해야 한다.
土는 3월, 6월, 9월, 12월, 4월, 5월이 왕성하고 다른 월은 약하다. 진미술축월은 토가 가장 왕성하고, 사오월은 토를 생해주는 화가 왕성한 달이므로 토기 또한 왕성한 기운을 얻는다.
金은 7월, 8월, 3월, 6월, 9월, 12월이 왕성하고 다른 월은 약하다. 신유월은 금이 가장 왕성할 때이며, 진미술축월은 토가 왕성한 계절로 금을 생해주기 때문에 금도 생기를 얻는다. 다른 월은 금기가 약하다고 하지만 경중이 있다. 巳월의 경우 화가 왕성하므로 금이 약하지만 巳는 금이 크게 자라는 곳으로서 戊土7분과 庚金7분이 감추어져 있는 화가 왕성한 곳이므로 금이 생기를 얻는 면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未월의 경우 土가 왕성하지만 여름이기 때문에 火가 왕성하게 작용하고 있어서 原局에 수기 없이 火가 성하면 마르므로 미토가 금을 생하지는 못한다.
水는 10월 11월, 7월, 8월이 왕성하고 다른 월은 약하다. 해자월은 수가 왕성하고, 신유월은 金生水하여 수를 도와준다. 또 수는 토에 克되어 상하므로 土가 왕성한 진술축미월에는 제일 수축되지만, 丑월은 삼동의 水가 왕성한 계절로서 축에는 癸水9분, 辛金3분의 金水가 들어있으므로 도리어 水를 생해주는 면이 있다.
사계절의 五行旺弱
365일을 오행으로 배분하면 한 오행에 72일씩 나누어진다. 그런데 토가 왕성한 72일은 어떻게 나누어지는가? 바로 사계절 끝에 18일씩 토를 배치한다.
사 계 절 |
|
초기 |
중기 |
정기 |
辰 |
乙9일3분 |
癸3일1분 |
戊18일6분 | |
未 |
丁9일3분 |
乙3일1분 |
己18일6분 | |
戌 |
辛9일3분 |
丁3일1분 |
戊18일6분 | |
丑 |
癸9일3분 |
辛3일1분 |
己18일6분 |
3월은 봄의 끝이니 淸明5일까지 목이 왕성하고, 穀雨 말까지 토가 왕성하다. 진월 초기는 乙木이 9일3분, 癸水가 3일1분, 戊土 정기가 18일6분이 주재하고 있다. 여기서 초기인 을목은 전월인 卯月에서 넘어오고 중기인 계수는 전계월은 丑月에서 넘어오고 정기인 무토는 18일이다. 그리하여 춘하 중간을 나누는 溫土가 된다.
6월은 여름의 끝이니 小暑에는 화가 왕성하고, 그 뒤로 大暑 말까지 토가 왕성하다. 미월은 초기 정화가 9일3분, 을목이 3일1분, 己土 정기가 18일 6분이 주재한다. 정화는 전달인 오월의 정기가 넘어온 것이며 중기 을목은 전계월인 진월의 초기가 넘어온 것이다. 6월은 화가 왕성한 철이므로 토가 왕성하다 하여도 아주 건조하고 뜨거운 토일 수밖에 없는데, 특히 1년 토중에 대서후의 토가 최고로 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하추 사이를 융화하는 潤土이다.
9월은 가을의 끝이니 한로7일까지는 금이 왕성하고 그 뒤 상강 말까지는 토가 왕성하다. 술월의 초기는 신이 9일3분, 중기는 정이 3일1분, 정기인 무토가 18일6분이다. 초기는 전월인 유의 정기가 넘어오고, 중기는 전계월 미월의 초기가 넘어와서 건조한 토에 속하지만 금이 왕성한 계절의 토이므로 미토의 건조하고 뜨거움에 비할 수는 없다.
12월은 겨울의 끝이니 소한 절기에는 수가 왕성하고 그 뒤로 대한 말까지 토가 왕성하며 금도 작용된다. 전월인 자월의 정기 계수가 축월로 넘어와 9일3분을 관장하며 전계월인 술월의 초기가 중기로 넘어오고, 축월의 정기인 기토가 18일6분을 관장한다. 수가 왕성한 겨울의 토인만큼 축토는 습기와 한기가 왕성한 토이다.
通根論
천간이 지지에 동류가 있으면 천간의 뿌리가 지지에 박혀있는 기상을 통근이라 한다. 통근이 있으면 강한 생함을 얻는 것이니 일주가 통근이 잘 되어 있다면 身이 왕성하다. 일주나 용신이 지지에 통근되어 있다면 귀한 명을 구성하는 요건이 될 수 있으며, 반대로 흉신이나 害神이 지지에 강하게 통근되어 있으면 불길하다.
갑목 - 인해에 통근, 다음으로 묘미진
을목 - 묘미진에 통근, 다음으로 인해
병화 - 인사에 통근, 다음으로 미오술
정화 - 오미술에 통근, 다음으로 인사
무토 - 인사진술에 통근, 다음으로 축미오
기토 - 축미오에 통근, 다음으로 진사술
경금 - 신사에 통근, 다음으로 유술축
신금 - 유술축에 통근, 다음으로 신사
임수 - 해신에 통근, 다음으로 자축진
계수 - 자축진에 통근, 다음으로 해신
通關論
이쪽과 저쪽이 막힌 것을 통하게 하는 것을 통관이라 한다. 예를 들어 금과 목은 금극목하는 상극관계이므로 그 사이가 막혔다고 할 수 있는데 만약 그 중간에 수가 이다면 금생수 수생목하는 상생관계로 화해가 된다. 따라서 통관은 흉신이 변하여 길신이 된다.
금목이 상극하는 데는 수가 통관이요, 수화가 상극하는 데는 목이 통관이요, 목토가 상극하는 데는 화가 통관이요, 화금이 상극하는 데는 토가 통관이요, 토수가 상극하는 데는 금이 통관이다.
財星이 印星을 극하는 데는 官星이 통관이요, 印星이 傷食을 극하는 데는 比劫이 통간이요, 官星과 比劫의 상극에는 印星이 통관이요, 傷食과 官星의 상극에는 財星이 통간이요, 比劫이 財星을 극하는 데는 傷食이 통관이다.
中和論
사주 중에 오행이 조화되고, 용신, 병신, 약신 등의 구조가 중도를 지키고 있으면 이것을 중화라고 한다. 즉 일주가 약하지 않고 용신이 유기하며 천간과 지지가 서로 생해주고 있을 뿐 아니라 유정하여 한자 한자가 그 정신이 뚜렷하고 기화단결하여 한중유온하고 열중유윤하여 충파가 없으면 대부대귀할 사주로서 길운을 만나서는 발달하며 불길한 운을 만나더라도 큰 화가 없다.
蓋頭論
개두라 함은 천간을 말하니 사람에 비교하면 천간은 머리와 같고, 지지는 수족과 같으며, 지장간인 인원은 오장육부에 비교한다. 가령 갑신에 있어 갑은 개두이고, 신은 수족이요, 갑중의 무임경은 오장육부와 같다. 사주팔자에 갑을이 복신이라면 경신은 병신이 되는데, 운상에서 갑을이 개두가 되고 지지로 목운을 만나다면 호운이지만 경신이 개두되면 운이 비록 인묘진으로 흘러간다 해도 복이 감한다. 그러나 대운을 볼 때에는 지지에 중점을 두고 판단하는 것이 원칙이다. 만일 운이 갑신이면 갑목이 신금의 극을 받으므로 신에 임수가 비록 생기에 보조가 된다 하지만 갑의 작용을 반감하는 것이며, 을유 대운이라면 을목이 유금에 전적으로 극함을 받아 생기가 전혀 없으니 을목의 작용이 더욱 약한 것으로 보게 된다.
十干性情論
甲木은 陽木이니 큰 재목이라 초봄에 생하였다면 기후가 냉하므로 火로써 보온해 줌이 길하고, 어린 싹에 金은 소용이 없다. 여름에 생하여 火가 많아도 辰土가 있으면 濕土로 열기를 흡수하여 나무뿌리가 생한다. 가을에 생하여 土가 성하면 身弱하므로 불길하고, 겨울에 생하여 地支에 水가 많으면 뜬 나무가 되나 寅이 있으면 祿地로 뜬 나무가 되지 않으며, 地氣는 윤습하고 天氣는 온화하면 千秋에 크게 자랄 것이다. 왕성한 木이 金으로 用이 됨보다 火로 用이 되어 세를 따르게 됨이 더욱 길하다.
-원목과 같아서 身旺한데 金을 못 만나면 쓸모가 없다. 남의 밑에서 일하기 싫어한다. 어디서나 앞에 나서서 우쭐대기 좋아하고 우두머리가 되고 싶어한다. 본성은 선하고 성실하며 명에 火를 만나면 영리하다. 여자가 身旺하면 교육자, 영업사원 등 활동적인 일에 많이종사한다.
乙木은 柔和한 성질이니 화초 또는 뿌리와 같이 어린 나무를 뜻한다. 丑未의 土를 만나도 뿌리를 붙일 수 있고 가을에 생하여도 丙이나 丁이 있으면 왕성한 金을 겁내지 않는다. 겨울에 생하면 午火가 있어도 뜬 나무가 되므로 천간에 甲木이 있든지 地支에 寅이 있으면 보호가 되어 四時를 막론하여 太弱이 되지 않으니 이것을 藤蘿繫甲(덩굴이 갑에 매달림)이라 한다.
-등나무 넝쿨, 포도 줄기, 수양버들과 같다. 강한 바람에 곧 꺾일 듯 하면서 끈질기게 버티는 특성이 있다. 성정이 싹싹하고 부드러워서 성실한 비서가 많다. 身旺하면 문화예술계에 종사하는 사람이 많고, 身弱하면 의지가 박약하고 줏대가 모자라서 직업의변화가 많으며 간기능이 약히니 술은 금물이다.
丙火는 太陽火로서 맹렬한 기세가 五陽 중에 가장 강하다. 물을 보아도 절기를 나타내며 庚金이 비록 강하다 해도 능히 녹여낸다. 그러나 土가 많으면 火光을 흐리게 하며 辛金을 만나면 合하므로 약세를 보인다. 춘하에 생하여 지지로 寅午戌 全局이 되고 甲木이 극에 달하여 나오면(透出) 木을 따라 자연히 타서 없어진다. 병화는 신금과 합이 되나 뿌리가 약해도 從이 되지 않는 성질이지만 하나의 생기가 없으면 부득이하게 從이 되는데 이는 극히 드물다.
-태양과 같은 정열의 소유자가 많고 앞에 나서길 좋아하며 사치하고 화려한 것을 좋아한다. 지식이 없으면 쓸모가 없으니 평생 허송세월한다. 여자가 身旺하고 官星이 약하면 직업 활동을 많이 한다.
丁火는 등잔불이나 화로불과 같으나 內性은 밝게 빛난다. 火가 성하여도 太熟이 아니며 약하더라도 궁지에 빠지지 않으며 갑을이나 인묘가 있으면 가을겨울에 생하여도 金과 水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끈기 있는 노력가가 많고 외유내강형으로 집념이 강해서 남들이 감히 추진 못하는 일을 능히 처리한다. 身旺하고 泄氣가 잘되면 영리한 사람이다. 克泄이 交加하여 身弱하면 교활하고 내숭스러운 아부형으로서 대단히 인색한 사람이 많다.
戊土는 견고하고 무게 있는 산과 들의 땅과 같다. 만물의 사령이며 오행의 원기인바 모든 생물이 土를 의지하지 않고는 살 수 없다. 춘하에 출생하여 지기가 潤濕하면 가히 만물이 생장할 것이며, 반대로 土氣가 燥熟하고 水氣가 없으면 만물은 생장할 수 없다. 반대로 가을겨울에 생하여 地氣가 너무 습하면 만물은 부패하여 병이 될 것이니 천간지지에 火氣를 얻어 온난한 기운이 있으면 만물이 잘 성숙할 것이니 貴命이라 하겠다. 寅申相沖이 柱 중에 있으면 불길하니 토의 생장처가 파손되었기 때문이다.
-중후하여 완고하고 보수적이며 욕심이 많다. 한마디로 미련한 사람이 많다. 그러나 泄氣되고 목으로 토와 통하게 된 명은 성격이 다소 완화된다. 중화되지 않은 격국은 남녀를 막론하고 위장병이 많다. 여자가 羊刃旺局이면 克夫刑子하여 고독한 자가 많다.
己土는 그릇 만드는 흙이나 담장의 흙과 같으니 卑濕하고 유약한 土라 하겠다. 木이 성함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水가 왕성해도 겁내지 않으며 火炎을 능히 泄氣하여 溫濕을 보존하고 滋生金光하는 역할을 한다. 만물이 성장하게 도와주려면 丙火 印星이 온기로써 생해주고 戊土 比劫으로 조력해 줌이 좋다.
-다정다감하고 자애로운 특성이 있다. 한마디로 남 주기를 좋아해서 못산다. 인정이 너무 많아서 곤란한 일이 생긴다. 강한 모성애 때문에 여자는 자식이 있으면 과부가 되어서도 절대 개가하지 않는다. 신약하면 자기 주관이 약해서 남에게 이용당하기 쉽고 남녀를 막론하고 신약사주는 수명에 이상이 있다.
庚金은 강건한 금속에 비유되니 숙살하는 기운이 陽干 중에서 독특하다 하겠다. 壬水를 만나면 티끌을 씻어서 깨끗하고, 丁火를 얻으면 불에 단련되어 예리한 칼날의 기상이다. 봄여르에 생하여 辰丑土를 만나면 생기를 얻고 未戌土는 燥熟하므로 조화가 부족하다. 갑목이 비록 굳세지만 경금이 능히 쪼개어서 재목을 만들며 을목은 비록 유하나 合하여 有情하다. 여름에 생하면 윤습함이 필요하고 겨울에 생하면 온난함이 필요하다.
-원광석이나 강철로서 숙살의 기상이 있어서 필요 없이 남의 약점을 감시하고 구린내 나는 것을 잘 들추려고 한다. 남의 일에 간섭해야 직성이 풀린다. 火를 만나면 정의를 지키고 사람을 다스리는 법관 등 큰 재목이 되지만 身旺無依한 명은 깡패, 무뢰한이 많다. 일주가 경금인 시어머니는 모시기가 힘들다. 身弱格局에 印星운을 못 만나 破格이면 정신질환자가 많다.
辛金은 금은이나 주옥과 같은 금이니 성품이 溫潤하고 청백한 바가 있다. 土氣가 많음을 두려워하고 壬水로써 씻어줌을 기뻐한다. 局의 세가 燥熟하면 土를 환영하고 한냉하면 丁火를 기뻐한다.
-금은보석과 같다. 외유내강한 면이 있으나 임계수를 못만나고 토가 많으면 지능이 낮다. 신약명은 음흉하고 위선자가 많다. 여자 신약명에 식상이 없으면 남의 자식을 키운다.
壬水는 江河와 같다. 금을 능히 泄氣시키며 굳센 가운데 덕이 있는 바, 항상 흘러서 거침이 없는 성품이 있다. 지지에 水局이 있고 천간에 癸水가 透出하면 충천하는 水勢라 土가 있어도 왕성한 세를 막기 어려우니 이렇게 되면 왕성한 기운을 거슬리는 것보다 순응하는 것이 좋으니 木으로써 泄氣하는 것이 길하다. 무릇 왕성한 水는 土를 만나 제방을 해야 길하고, 丁火를 만나서 合하는 것도 또한 길하다.
-계속 흐르는 강과 같아서 일관성이 없고 한곳에 가만히 있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예술을 아는 체하고 풍류를 즐긴다. 중화되지 않은 여자 명에 丁火가 爭合을 하고 운로가 불순하면 성격이 음란하며 예의가 없고 염치를 모른다.
癸水는 五陰 중에서 가장 약하니 金의 뿌리는 언제나 있는 것이 좋다. 戊土가 있고 다시 辰土가 있으면 庚辛金이 생하더라도 從化格이 되기 쉬우니 火土運에 길할 것이며, 가을겨울에 생하여 水勢가 왕성하면 세를 따르는 것이 좋으니 金水木運이 길하다.
-본성은 비와 이슬과 같은 약한 음수이나 지지에 해자를 만나면 임수처럼 강이 된다. 꾀가 많고 비밀이 많은 사람으로 음침하고 구멍난 곳, 틈이 있는 곳을 잘 찾는다. 요주의인물 제1호가 음수 일주이다. 중화되지 않은 여자 명은 일생을 허랑방탕하는 수가 많다.
출처: 돌터 원문보기 글쓴이: 蘭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