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술과 인생 |
鄭 憲 培
중앙대 교수
hbjeong@cau.ac.kr
HP: 011-223-8232
www.insamju.net
중앙대학교
1. 주당(酒黨)이란?
술의 전문가인가 자기의 몸을 임상 실험하는 사람인가?
- 불행스럽게도 주당은 술과의 전쟁을 선포한 사람
- 완전 또는 부분적으로 알콜 중독의 경지.
2. 술과 人生:
- 즐거운 인생의 동반자이면서 파괴자.
- 이의 판별은 전적으로 本人의 意志에 달려있다.
3. 술이란 말의 어원?:
‘불타는 듯한 화끈한 물’이라는 의미의 ‘수불’에서 시작
수불(水火) ➡ 수블 ➡ 수울 ➡ ‘술’. |
4. 술의 원천: 효모(Yeast)
* 산소가 있을 경우: C6H12O6 + 6O2 = 6CO2 + 6H2O + 674Cal
* 산소가 없을 경우: C6H12O6 = 2C2H5OH + 2CO2 + 27Cal
5. 제품적 특성:
술은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부가가치 제품.
- 문화적 속성: 전통 식생활 문화의 산물, 고유한 사회가치를 형성
- 경제적 속성: 높은 부가가치산업, 국제화가 용이, 시장의 안전성 등
- 사회적 속성: 개인적 위험(개인-알콜중독, 간, 위장병 등),
사회적 위험(음주운전, 안전사고 등)
고난극복, 사회적 갈등해소 등 이점이 병존함
6. 술의 소비이유:
술은 왜 소비하게 되는가? : 효용과 위험
- 물리적, 심리적, 사회적, 특수적(요리재료 등) 효용
- 남용의 경우 심각한 신체적, 사회적 위험 야기
고난극복(과거)에서 쾌락추구(현재)로...
7. 술의 소비량:
- 술과 경기: 호황기 맥주, 불황기 소주
- 술과 날씨: 여름 온도 1도 상승 맥주 소비 4% 증가
겨울 온도 10도 강하 소주 소비 5% 증가
- 경이적인 술 소비량: 국민 1인당 200병!
8. 숙취의 원인:
간에 농축된 아세트알데히드를 가수분해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탈수 현상
C2H5OH |
➡ |
CH3CHO |
➡ |
CO2+H2O |
|
|
|
|
|
술(에탄올) |
|
아세트알데히드 |
|
이산화탄소+물 |
9. 권장음주량:
- 1단위를 혈중 알콜농도 20㎎/㎖, 맥주250㏄로 볼 때
건강한 성인 남자의 경우 15단위, 성인 여자: 9단위
- 1단위의 혈중 알콜농도는 20 ㎎/㎖임.
* 참고로 음주운전 처벌 기준은 50 ㎎/㎖이상.
10. 우리 술의 특성: 누룩곰팡이
- 우리 술 누룩곰팡이: ‘라이조푸스’(찬 것을 좋아함)
- 일본 술 누룩곰팡이: ‘오리제’(따뜻한 것을 좋아함)
- 같은 원료, 같은 제법이라도 만드는 장소에 따라 다른 술..
*떼루와(Terroir): 특정지역의 토질과 기후가 술맛을 결정..
11. 우리나라에는 왜 세계적 명주가 없는가?
- 구한말: 최소 2천종 이상의 품목이 존재했음이 추정됨.
- 일제하: 1907년 조선총독부 주세령공포,
1916년 약주, 탁주, 소주 + 일본청주로 획일화
1934년 기린(OB전신), 삿포로 맥주회사 설립
참고로 1935년 현재 약주 16종, 탁주 31종이 존재했음
- 해방후: 1961년 양곡관리법으로 증류식 소주 금지
→ 희석식 소주로 전면 대체
1990년 쌀 막걸리 생산 재개
2000년 막걸리(탁주)공급구역 폐지
- 현 재: 맥주, 소주, 청주, 탁주, 약주, 그리고 ?
12. 세계적 명주: 문화적 선진국들은 모두 유명한 증류주 보유.
영국(스카치위스키), 미국(버본위스키), 프랑스(꼬냑, 알마냑, 칼바도스),
멕시코(데킬라) 등
13. 우리의 술과 음주문화
가. 책임 없는 음주문화: 누구를 위해 술을 마시나?
- 수작문화(酬酌文化)의 산물인가? 폭탄주...
- 전투적 음주문화: 약 들고 술마시러가는...
- 酒酊王國(酒邪가 용인되는 나라): 술이 웬수다!
나. 정부의 정책부재(政策不在)
다.「제도의 틀」속에 안주해온 주류제조업체
- 경제적 현실: 수입의존형 산업, 탈세와 불법거래의 온상 ...
- 문화적 현실: 전통민속주의 말살, 건전 음주문화 부재...
- 사회적 현실: 소비자의 술에 대한 정보 취약...
14. 그러면 어떻게 마셔야 하나?:
量보다 質로 그리고 五感으로...
- 천천히, 가급적 작은 잔으로 여러 모금 나누어서 마신다.
- 잔을 내려놓고 있는 다.
- 식사 후 음주한다.
- 절대로 권하지 않는다.
- 개방된 장소에서 마신다.
15. 건전한 음주문화와 사회지도자의 역할
- ‘酬酌文化’보다 ‘對酌文化’를 선도/확산시켜야 할 책임.
- ‘우리 술 사랑 운동’을 실천하여 문화적 자존심 제고.
李太白 ‘對酌’
兩人對酌 山開花 一杯一杯 復一杯 我醉慾眠 卿且去 明朝有意 抱琴來 |
☆☆☆★☆☆☆
酒 國 憲 法
余가 一般 麴民의 飮福을 增進하고 麴價의 隆昌을 圖하며 世界平和를 永遠維持하기 爲하야 玆에 酒國憲法을 發布하노라. 酒降生 一千九百二十九年 二月 一日 大酒國箋著 御 諸 麴務名大臣 署 名 |
一. 이 憲法에 違反하는 자는 一年間 禁酒國에 流配함.
一. 이 憲法은 發布日로부터 施行함.
第一條 酒國은 一般 麴民으로 永遠維持함.
第二條 酒國은 領土는 全世界로 하되 米國과 가튼 禁酒國은 特別食民地로 함.
第三條 酒國은 天子, 大將이 無함(醉中無大子, 酒無大將이라는 由來語에 依하야).
第四條 心身에 故障이 잇는 者, 未成年男女, 基督敎信者는 酒國에 入籍을 不許함.
第五條 酒國의 國都은 鐵甕城으로 定함.
第六條 三盃以上을 먹을 資格이 잇는 者로 酒國에 稅金(酒代)을 納入한 者는
누구나 酒權者가 됨.
第七條 酒國에 入籍한 者는 그 程度如何를 따라서 酒天子, 酒大統領, 酒大將,
酒僉知, 모주兵丁, 알콜博士, 酒太白 等 榮位, 雅號를 與함.
第八條 酒國의 爵位는 空, 厚, 百, 自, 濫 五等으로 하야 술잔을 잘 비도록 먹는
사람은 공작(空酌), 큰잔으로 두둑히 먹는 사람은 후작(厚酌), 百盃를 能히
먹는 사람은 백작(百酌), 自己 손으로 부어 먹는 사람을 자작(自酌), 함부로
부어 먹는 사람을 람작(濫酌)이라 稱함.
第九條 麴民은 蒸甁(술병)의 義務가 有함.
第十條 麴民은 남의 술을 먹고 반듯이 報償할 義務가 有함.
第十一條 술의 盃數는 酒不護盃의 原則에 依하야 반듯이 奇數로 하되 一不若,
三小, 五宜, 七可, 九足으로 하고 此以上 麴民의 體質, 金力, 嗜好에
依하야 自由放任함.
第十二條 飮酒의 適宜한 時期는 左如히 定함.
一, 千里他鄕逢友時
二, 斜風細雨夕陽天
三, 旅館寒燈無聊時
四, 月白雪白夜
五, 花開葉落時
六, 憂露悲哀時
七, 痛快興套時 (但, 飯酒及解酲은 隨時實行함)
第十三條 사람이 술을 먹되 술이 사람을 먹지 안케 할事.
第十四條 수염이 만흔 사람은 잔을 畢한때마다 반듯이 手巾로 口頭大淸潔을 할事.
第十五條 愛人이 잇는 사람은 酒後에 반듯이 양치를 잘하고「키스」할事.
第十六條 술을 붓지 않는 사람은 不傾罪에 處함.
第十七條 술을 혼자 密買飮한 者는 無期로 共同酒會에 參加를 不許함.
但 改悛의 事가 잇는 때에는 酌量減輕함을 得함.
第十八條 술을 먹은 뒤에 言爭, 決鬪를 하야 酒國의 公安을 妨害하거나 拒逆을
하야 公衆衛生을 妨害케하는 者는 卽時 酒會席에서 退場을 命함.
第十九條 酒會에 遲參한 者는 後來者 三盃란 慣習法에 依하야 處罰함.
但, 特殊地方에 施行하는 所謂 谷山사돈목이法은 너무 苛酷함으로 本法
發布日로부터 廢止함(谷山에서는 後來者에게 座客마다 三盃식을 주는
일이 잇다).
第二十條 酒後에 노래나 춤 其他작란을 잘하는 者는 大盃를 賞與함.
第二十一條 左記에 害黨하는 者는 酒國의 十不出로 認함.
一, 술 잘 안 먹고 안주만 먹는 者
二, 남의 술에 제 生色내는 者
三, 술잔잡고 잔소리만 하는 者
四, 술먹다가 딴座席에 가는 者
五, 술먹고 따를 줄 몰으는 者
六, 喪家집 술먹고 노래하는 者
七, 잔치집 술먹고 우는 者
八, 남의 술만 먹고 제술 안내는 者
九, 남의 酒席에 제친구 다리고 가는 者
十, 晏會酒席에 祝辭 오래 하는 者
第二十二條 麴民黨員의 步法은 之字 或은 玄字式으로 하야도 無妨하되 公衆交通을
妨害칠말事.
第二十三條 酒國麴民의 帽子는 左傾하야도 特別히 取締치 안이함.
第二十四條 酒國麴民의 顔面은 赤化하야도 取締치 안이함.
第二十五條 麴民黨員은 少하야도 懷中에 一金五十錢也를 準備함이 加함
(小便濫方의 科料處罰을 當하기가 쉬우닛가).
第二十六條 酒國麴民은 敎養의 必要上長進酒, 飮中八仙歌, 酒德頌等을 一日一回식
朗讚할事.
第二十七條 酒者는 伐性之狂藥也라는 녯 解釋을 곳치여서 酒者는 伐性之狂하니
藥也라 解하되 此를 不準하는 者는 斯門亂賊으로 認함.
第二十八條 酒國의 政黨은 麴民黨, 麴水黨 以外에 他黨의 設置를 不許함.
第二十九條 本法은 麴民黨員의 多數決議가 안이면 變更함을 不得함.
■자료: 鄭憲培 ‘명주와 주도’ 중앙대학교 교양강좌 강의교재 에서 발췌
洪文和 元典, 박수근 역음 ‘술 그것의 전부를 밝힌다.’ 도서출판 풍남 1997에서 발췌.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알콜중독의 50가지 징후
(50 Signs of visible intoxication)
1. 말투가 횡설수설할 경우(Slurred speech) 2. 자세가 왔다갔다 비틀거릴 경우(Swaying, staggering, or stumbling) 3. 똑바로 앉지 못할 경우(Unable to sit straight) 4. 눈이 충혈 되고 흐릿할 경우(Bloodshot, glassy eyes) 5. 고성으로 시끄럽게 떠들 경우(Loud, noisy speech) 6. 시끄럽게 떠들고 나서 조용하게 있는 경우(Speaking loudly, then quietly) 7. 술을 너무 빨리 마시는 경우(Drinking too fast) 8. 술을 두 배로 주문하는 경우(Ordering doubles) 9. 금전관리가 부주의할 경우(Careless with money) 10. 주점 내 모든 사람 또는 주변의 모르는 사람에게 술을 사주는 경우 (Buying rounds for strangers or the house) 11. 다른 손님이나 종업원들을 귀찮게 하는 경우(Annoying other guests and employees) 12. 술값에 대해 투덜거리는 경우(Complaining about prices) 13. 술의 강도와 서비스에 대해 투덜거리는 경우(Complaining about drink strength or preparation) 14. 논쟁을 하는 경우(Argumentative) 15.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는 경우(Aggressive or belligerent) 16. 불쾌한 행동을 하는 경우(Obnoxious or mean) 17. 타인에 대해 적절치 못한 논평을 하는 경우(Making inappropriate comments about others) 18. 천박하고 노골적인 행동을 하는 경우(Crude behavior) 19. 적절치 못한 성적행위를 요구하는 경우(Inappropriate sexual advances) 20. 욕설을 하는 경우(Foul language) 21. 불합리한 언쟁을 만드는 경우(Making irrational statements) 22. 침울해하거나 부루퉁해 있는 경우(Depressed or sullen) 23. 소리를 지르거나 시무룩해 있는 경우(Crying or moody) 24. 과격하거나 또는 급변하는 행동을 하는 경우(Extreme or sudden change in behavior) 25. 과도하게 분위기를 주도하거나 즐기는 경우(Overly animated or entertaining) 26. 졸고 있는 경우(Drowsiness) 27. 혼자서 술을 마시는 경우(Drinking alone) 28. 눈의 초점이 맞지 않는 경우(Lack of focus and eye contact) 29. 허세를 부리는 경우(Bravado, boasting) 30. 기억력이 떨어지는 경우(Difficulty remembering) 31. 사고의 흐름이 오락가락 하는 경우(Rambling train of thought) 32. 질문 또는 논쟁에 늦게 반응하는 경우(Slow response to questions or comments) 33. 술을 엎지르는 경우(Spilling drinks) 34. 소란스런 분위기를 조성하는 경우(Trouble making change) 35. 돈을 다루는데 어려움이 있을 경우(Difficulty handing money) 36. 담배 불 붙이기가 어려운 경우(Difficulty lighting cigarettes) 37. 한 개피 이상의 담배에 불을 붙이는 경우(Lighting more than one cigarette) 38. 담배를 피우지 않고 타도록 내버려두는 경우(Letting cigarette burn without smoking) 39. 꼴사나운 행동을 하는 경우(Clumsy) 40. 잘 일어나지 못하는 경우(Difficulty standing up) 41. 비정상적인 걸음을 걷는 경우(Unusual walk) 42. 거친 행위를 하는 경우(Boisterous) 43. 무엇인가에 자꾸 부딪히는 경우(Bumping into things) 44. 의자에서 떨어지는 경우(Falling off of chairs) 45. 아무 곳에서나 자는 경우(Falling asleep) 46. 술잔을 입에 제대로 대지 못하는 경우(Can't find mouth with glass) 47. 넘어지는 경우( Falling down) 48. 머리칼이 헝클어져 있는 경우(Mussed hair) 49. 복장이 흐트러져 있는 경우( Disheveled clothing) 50. 다른 손님이나 종업원에게 과잉 친절한 경우(Overly friendly to other guests or employees)
|
자료: 미국 오레곤 주류관리청(Oregon Liquor Control Commission) 1999
<정헌배(鄭憲培) 교수 약력>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졸업
영남대학교 상경대학 경영학과 졸업
파리 9 대학교 대학원 졸업 (마케팅 전문학위:DESS)
파리 9 대학교 대학원 졸업 (경영전략 연구학위:DEA)
파리 9 대학교 경영학박사 (국제마케팅전략 전공:Ph.D)
【주요 경력】
파리 9대학교 마케팅연구원(DMTP) 연구원, 파리상공회의소 국제경영연구소 연구원
중앙대학교 경영학과 조교수, 부교수, 교수(현)
미국 Northwestern 대학교 객원교수 역임
재무부 세제발전심의위원회 위원, 재정경제부 주세개편대책반 자문위원 역임
국제연합 지역개발센터(UNCRD) 한국위원 역임
농림부 전통주 심사위원 역임
프랑스 미디피레네 지방정부 자문교수 역임
중앙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장, 인삼산업연구센터 소장, 산업경영대학원장, 창업대학원장
세계경영연구원장, 공정거래위원회, 규제개혁위원회, 청소년보호위원會 자문교수
대한․서울상공회의소 자문교수, 환경비젼 전문위원, 환경경영정보센터 위원
濟州道 국제자유도시 기획단 자문위원, 매일경제신문 환경경영 대상 심사위원장,
한국환경경영학회 회장, 대통령직속 국가결쟁력위원회 자문교수 역임
現, 중앙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음주문화시민연대 이사장
【主 要 著 書】
* 國際마케팅, 法文社 1988., * 환경경영전략, 규장각 1995.
* 환경마케팅. 규장각 1997. * 지구촌마케팅, 법문사 1997
【酒類産業관련 主要 論文】
* 맥주, 청량음료 및 미네랄水의 中期 消費豫測, 프랑스 파리9대학교, 1981.
* 꼬냑의 流通시스템에 관한 연구, 프랑스 파리9대학교, 1982.
* 프랑스産 포도주 流通시스템의 展望, 프랑스 파리9대학교, 1982.
* 世界 酒類市場의 國際마케팅 戰略과 展望, 프랑스 파리9대학교, 1984.
* 酒類産業의 發展的 改編課題에 관한 硏究, 國際經營經濟硏究所 1987.
* 酒稅制度의 合理的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財務部 1990.
* 酒精生産 및 流通制度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財務部 1991
* 美國酒類市場의 마케팅戰略에 관한 硏究, 蓮庵文化財團 1992.
* 酒類産業의 長期發展戰略, 大韓酒類工業協會 1994
* 人蔘酒 世界化 可能性 分析, 大韓酒類工業協會 1996
* 人蔘酒 世界化를 위한 人蔘産業 潛在力 分析, 人蔘協同組合 中央會 1997
* 酒類産業의 制度改善課題에 관한 硏究, 公正去來委員會 1997
* 酒類流通産業의 發展戰略에 관한 硏究, 世界經營硏究院 1998
* 酒類流通 正常化 方案에 관한 硏究, 世界經營硏究院 1999
* 酒類 專門小賣店制度 導入의 必要性과 課題, 靑少年保護委員會 1999
* 酒類 專門小賣店制度 導入方案 硏究, 靑少年保護委員會 2000
* 先進國 酒類 製造免許制度에 관한 硏究, 大韓酒類工業協會 2000
* 酒類 專門小賣店制度의 실천적 導入方案 硏究, 靑少年保護委員會 2001
* 종합주류 유통정보시스템에 관한 연구, 전국종합주류도매업중앙회 2003
* 인삼주제품의 효과적 시장세분화 전략연구, 한국상품학회 2003
* 나무분석을 이용한 인삼제품 마케팅 전략연구,식품유통연구 2005
* 우리 술 세계화를 위한 과제와 전략, 한국국제경영학회, 2009
外 多數
첫댓글 술의 정의,,,어렵다....
한자가 넘많아서 머리아프다 한잔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