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란성 쌍둥이 아닌가. 국민들은 똑똑히 현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민주화를 부르짖는 사람들은 민주화의 진실에 눈이 먼 모양이다. 국회에서 자유롭게 토론도 할 수 없다. 누구를 위한 민주화인지, 궁금하다. 한편 평화를 주장한 북한은 유엔 제재를 피해가면서, 대량살상 무기를 계속 개발하고 있다. 그들에게는 진실이 없고, 선전⦁선동만 있다. 신뢰가 없으니, 관계는 난망이다. ‘우리민족끼리’로 살아가갈 수밖에 없다. 동아일보 황인찬⦁김성휘 기자는 〈여권 내부서도 ‘김연철(통일장관 후보자) 자질 문제’〉라고 했다 동 기사는 “김연철 통일부 장관 후보자의 북한 편향 발언과 과거 정치권을 향한 원색적인 막말이 끊임없이 터져 나오면서 자질 논란이 여권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라고 했다. 통일부 장관은 청와대의 복심으로 봐야 한다. 그는 판에 찍듯 같은 386세력이다. 김 장관 내정자에게 전체주의와 민주주의 개념이 정확하지 않다. 동 기사는 “김 후보자의 부적절한 발언들은 이날도 추가로 드러났다. 김 후보자는 2011년 언론 인터뷰에서 ‘남북관계까지 파탄 난 것은 금강산 관광객 피격이나 천안함, 연평도 사건 때문이 아니라 이명박 대통령의 10⦁4선언 불이행으로 남북 간의 신뢰가 약화되면서 우발적인 사건이 잇따라 터져 비롯된 것’이라고 했다.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을 ‘우발적 사건’으로 규정하며 남북 경제협력 전면 확대 내용을 담은 10⦁4공동선언을 이행하지 않는 한국 정부에 책임을 돌린 것. 김 후보자는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이던 2000년 6월 한 보고서에선 ‘(북한에) 대형투자, 첨단산업 분야 등에서 시범 사업을 전재해야 한다.’며 ‘ 남한 내 공업단지 북한 이전과 반도체, 자동차 등 투자 추진을 주장했던 것으로 확인됐다.”라고 했다. 한편 조선일보 권순완 기자는 3월 12일 〈‘전사한 남편의 명예를 지키려..이 책을 썼습니다.’〉이라고 했다. 동 기사는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한 고(故) 한상국 상사의 아내 김한나 씨가 책을 낸다. 제목은 ‘영웅은 없었다.’ ‘ 부제는 ’연평해전, 나의 전쟁‘이다. 김 씨는 11일 본지 인터뷰에서 ’전투를 승리로 이끌다 희생된 영웅들이 제대로 예우 받지 못하고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았던 지난 17년 동안의 일을 책에 담았다.‘고 했다.”라고 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평화공세로 희생된 가족의 비극이다. 동 기사는 “김씨는 ‘2002년 남편 장례식을 치르면서 한없이 슬프면서도, 전사자 예우를 못 받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없었다.’고 했다. 당시 군인 예우에 관한 법령엔 순직자(공무 중 시민) 규정밖에 없었다. 김씨는 ‘군인이 전투 중 희생당한 것이 어떻게 일반 순직과 같을 수 있는지 이해가 잘 잘 안 됐다 .’고 말했다.”라고 했다. 북한 평화를 구걸하는 인사들은 현실을 바로 볼 필요가 있다. 동아일보 박용⦁이정은 기자는 〈북한이 미국의 ‘참수(decapitation) 공격’에 대비해 핵과 미사일 시설을 민간 시설에 분산하고, 북쪽 국경지대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지를 건설하고 있다는 증거가 공개됐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산하 대북제재 위원회는 12일(현지 시간) 공개한 연례보고서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이 온전하게 남아 있다’며 관련 자료를 내놨다. 이는 지난해 비핵화 대화 국면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지속적으로 핵과 미사일 개발 및 은폐활동을 벌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라고 했다. 또한 동 신문 뉴욕 박용, 워싱턴 이정은 특파원은 〈‘북, 회정리 등 북-중 접경에 ICBM 기지 건설’〉이라고 했다. 동 신문 사설은 〈유엔 ‘北 제재 피하며 核활동’..비핵화 협상은 눈속임용이었다.〉라고 했다. 북한이 유엔 보는 곳에서 ‘거짓 평화쇼’를 하고 있다. 동 사설은 “북한이 한층 교묘한 수법으로 유엔 제재를 회피하면서 핵 미사일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12일 공개된 유엔 대북 제재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국제적 감시망을 피하기 위해 석유 제품의 선박 간 환적은 물론이고 수중 송유관까지 이용하고 있다. 아울러 북한은 더 많은 핵무기를 만들기 위해 우라늄 채광과 원심분리기 구매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군사적 타격 대상이 될 것을 우려해 민간공장이나 비군사 시설을 활용했다.”라고 했다. 동 사설은 “유엔 보고서는 북한의 사치품 금수 위반을 지적하며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평양서 벌인 카퍼레이드 사진을 게재했다. 북한의 불법 입수한 벤츠 리무진에 한국 대통령이 타고 있는 장면이 유엔의 대북 고발장 서류에 증거자료로 실린 것이다. 남북관계진전에 매달려 북한의 제재 해제 요구에 사실상 동조하고, 북한산 석탄 밀반입을 막지 못한 우리 정부를 향한 간접적인 경고 메시지가 아닌지 되돌아봐야 할 것이다.”라고 했다. ’북한 평화세력에 평화가 없다.‘라는 말에 설득력을 얻는다. 한편 민주화 세력에게 민주화는 없었다. 국회에서 표현의 자유도 막고 있다. 민주화와는 거리가 먼 모양이다. 조선일보 최연진⦁이슬비 〈여⦁야, 지지층 결집 노린 ’원내대표 맞제소‘〉라고 했다. 동 기사는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 연설로 촉발된 여야 간 ’국가 원수 모독‘ 공방이 13일 ’윤리위 맞제소‘로 격화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나 원내 대표가 전날 문재인 대통령을 김정은 수석대변인’에 빗댄 것을 문제 삼아 나 원내대표 징계안을 국회 윤리위에 제출했다.”라고 했다. 구원투수가 나왔다. 동아일보 이지훈 기자는 〈문정인 ‘나를 김정은 대변인이라 하면 몰라도...’〉라고 했다. 동 기사는 “문재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별보좌관은 13일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의 ‘김정은 수석대변인’ 발언에 대해 ‘나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대변인이라고 하면 모르지만 어떻게 문재인 대통령을 대변인이라고 하나.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라고 했다. 이정도면 대학교수 출신이 곡학아세(曲學阿世)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 의 말에 공정성, 객관성은 전혀 없다. 조선일보 사설은 3월 13일 〈‘김정은 대변인’ 외신엔 침묵하더니 갑자기 ‘국가원수 모독’〉이라고 했다. 이 때 쓰는 말은 이성을 잃었다고 한다. 동 사설은 “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가 국회 연설에서 ‘더 이상 대한민국 대통령이 김정은 수석 대변인이라는 낯 뜨거운 이야기를 듣지 않도록 해 달라.’고 했다.... ‘김정은 수석 대변인’ 표현은 작년 9월 블룸버그 통신이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에서 김정은의 수석 대변인(top spokesman)이 됐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처음 쓴 것이다. ’김정은이 유엔 총회에 참석하지 않았지만 그를 칭송하는 사실상의 대변인을 뒀다.. 바로 문 대통령‘이라고 한 것이다.“라고 했다. 대북제재도 유엔 안보리 만장일치로 정한 제재이고, ‘김정은 대변인’도 유엔 연설에서 얻어진 이름이다. 세계에 공개된 내용이다. 이해찬 여당 대표는 5⦁18 민주 유공자로, 1988년 민주화로 국가원수 모독죄가 형법에서 사라진 것 자체도 모르고 있었다. 여당은 정신을 차려야 한다. 국민들은 더욱 현실을 제대로 봐야 한다. 국제사회를 그렇게 호락호락하게 보면 안 된다. 신뢰 없는 관계가 얼마나 지속할 수 있을 것인지... 국민 먹고 사는 국부 86%가 외국에서 온다. 손바닥으로 해를 가릴 수는 없는 일이다. 결론적으로 ‘민주화세력에 민주 없고, 북한 평화세력에 평화 없다.’라는 말이 설득력을 얻어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