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박 2일 일정으로 강화군의 교동도에 있는 '화개정원'과 '화개산전망대', '대룡시장'을 찾았다.
강화도에서 '교동대교'로 연결된 교동도는 고려시대부터 왕족들의 유배지였으며, 특히 '연산군 유배지'로 유명하다. 교동도에서 가장 높은 산은 259m의 '화개산'(華蓋山)으로, 이는 산정의 형태가 '솥뚜껑을 덮어 놓은 것 같다'고 하여 화개산으로 불렸다고 한다. 교동대교가 개통된 후 관광자원 개발요구도가 높아지면서 교동도의 대표 산인 화개산 일대에 연산군 유배지를 포함한 새로운 관광지 '화개정원'과 '화개산전망대'가 2023.5.1 정식 개원하였다.
오늘의 여행지 '교동도'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의 본 섬이다. 인천 본토와 강화도의 서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한강을 건너 황해도 연안군과 휴전선을 경계로 마주하고 있는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북쪽에 있으므로 교동대교 입구에 있는 군부대 근무초소에서 인적사항(성명, 생년월일, 연락처, 차량번호)을 확인받아야 들어갈 수 있는 곳이다. 이곳은 물길이 험해서 탈출이 어렵고, 한양과 가까우며, 감시하기가 쉬워서 왕족들의 유배지로 각광받았던 곳이다. 중종반정으로 왕좌에서 쫓겨난 '연산군'이 유배되어 사망했고, 광해군도 제주도로 이배되기 전 여기서 잠시 지냈으며, 그 외에도 임해군, 영창대군, 능창대군, 숭선군, 익평군, 화완옹주, 영선군(고종의 조카 이준용) 등이 여기에 유배되었다.
예전에는 배를 타야만 들어갈 수 있는 곳이었지만, 2014.7.1 '교동대교'가 개통되면서 자동차로 갈 수 있게 되었다. 섬이라는 지리적 특징과 '민간인 통제구역'이라는 점 때문에 외부와 오랜 시간 단절되었는데, 교동대교가 개통되고 최근에는 핫한 곳으로 소문이 나면서 강화도 여행의 필수코스가 되었다.
이번 여행코스는 '1일차'에 교동도 '화개정원'과 '화개산전망대', '대룡시장' 코스가 주 여행지였지만,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여 '아라뱃길트레킹'을 먼저 한 다음 일행들과 합류하여 본격적인 교동도 여행을 하였고, '2일차'는 전등사와 강화읍내에 있는 '조양방직'카페를 다녀 왔다.
(1일차) 아라뱃길트레킹
'호텔 마리나베이서울'에 주차 후 아라마리나 수상계류장을 우회하여 아라뱃길 우측경로를 따라 '트레킹'을 시작하였다.
아라뱃길 '크루즈' 선착장과 '119 경비정' 전용 선착장
아라뱃길가에 '금계국'이 무리로 피어 있다. 아라뱃길(운하) 건너 수목도 잔잔한 물에 아름답게 비춰지고 있다.
아라뱃길(운하)의 우측편에는 '도보산책로'와 '자전거도로' 겸용으로 되어 있다.
화개정원과 화개산전망대
화개정원 입구
'화개정원 입구'의 매표(도로 우측) 및 검표(도로 끝부분)하는 곳이다. 입장료는 성인 5천 원(65세 이상 경로 3천 원)이고, 주차료는 무료이며, 화개산전망대에 오르는 모노레일은 별도 매표(성인 왕복 1만 2천원, 편도요금과 경로 및 유공자 할인 없음)를 하여야 한다. 하지만 노약자나 어린이 등과 같이 걷는 것이 아니라면 화개정원을 구경하면서 걸어서 전망대에 오르면 된다. 화개정원 끝 지점에서 약 10~15분이 소요된다.
14명의 일행 중 먼저 도착한 친구들에게만 기념사진을 남긴다.
화개정원에 '들어가는 곳'(입구)이다. 노란 조끼를 입은 확인자 입회 하에 '바코드'를 찍고 들어간다.
화개정원에 들어가면 '자전거를 타는 모습'을 형상화한 조경물(造景物)이 있다.
화개정원의 입구 왼쪽 끝에는 2칸짜리 '기와집'으로 된 '휴식장소'가 있다. 화개정원이나 화개산전망대를 구경한 후 '집결하는 장소'로 활용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모노레일
화개정원의 입구(정원 입장 전 왼쪽편 건물에 탑승장이 있다)에서 외곽으로 화개산전망대까지 '모노레일'을 운영하고 있다. 몸이 불편하거나 전망대가 목적이라면 이용해도 괜찮겠다. 하지만 걷는데 무리가 없다면 굳이 탈 필요까지는 없는 다소 값비싼(왕복 1만 2천 원) 이동수단일 뿐이다. 모노레일 탑승을 문의해 보니 3시간 후에 탑승할 수 있단다. 공급이 적은 것인지? 수요가 많은 것인지? 하여튼 언바란스한 느낌은 지울 수 없었다.
화개정원을 상징하는 '저어새 조형물'이 공원 중앙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새의 부리에는 방금 잡아 삼키기 직전의 한마리 물고기가 물려 있다. 위기일발의 순간이다.
물을 공급하는 상수도관의 연결이 없는 것 같은데, 물은 아래로 힘차게 흘러 내린다. 어떻게 물을 공급하고 흘러 내리는지 원리와 사용한 수도관 재질들을 짐작해 보시기 바란다. 아이들에게 질문해도 좋을 것 같은 재미있는 원리로 만들어졌다.
화개산전망대
'화개산전망대'의 컨셉은 '비상(飛上)'이다. 강화군의 군조(郡鳥)인 '저어새'의 눈과 부리를 형상화한 것으로, 손에 닿을 것 같이 가깝지만 결코 쉽게 갈 수 없는 북녘을 향한 비상을 상징한 것이라고 한다. 전망대의 좌측과 우측에 있는 카페와 본관 밖에 설치된 보조(?) 엘리베이터가 보인다.
화개산전망대(스카이워크)를 뒷쪽과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화개산전망대에서 북녘을 바라본 모습
북한의 '연백평야'가 한눈에 들어온다. 바로 앞에는 교동도 '고구저수지'가 보이고, 저 멀리 바다 건너 땅이 '북한'(좌로부터 연안군, 배천군, 개풍군)이라니... 최근에 남북간 상호 비방전을 펼치며 날려보내는 대형 풍선과 기구들이 넘나드니 이 무슨 징조(긴장, 평온)란 말인가? 그럼에도 남과 북의 바다는 서로 어울려 하나되어 흐른다는 사실에 애써 위로를 느낀다.
모노레일과 소규모 인공폭포가 조화롭게 위치하고 있다. 또한, 화개정원 내에 화개산을 상징하는 '솥뚜껑조형물'이 다양한 모습으로 8군데 설치되어 있다는데, 그 중 하나의 모습이다.
연산군유배지(위리안치)
'강화도'와 '교동도'는 고려시대 희종·고종·우왕·창왕 등과 조선시대 폐위된 연산군·광해군 그리고 왕족인 안평대군 등에 이르기까지 1,000여 년 동안 왕과 왕족의 '유배지'로 사용되었다. 이는 서울과 가까운 섬이어서 격리와 감시가 쉬웠기 때문이다. 왕족의 유배생활은 다른 사람과의 만남이 제한되었고, 글을 쓰는 것조차 함부로 할 수 없었기에 유배생활에 대한 기록은 많지 않다. 다만 '왕조실록' 등에 간략하게 기록이 남아있다.
연산군 위리안치소
왕족이나 고위관리에 적용된 유배의 형태에 '안치(安置)'가 있는데, 이는 일정한 장소에 죄인을 격리하여 구속시키는 형벌(절도絶島안치, 위리圍離안치, 천극荐棘안치, 본향本鄕안치) 중의 하나이다. 집 주위에 가시나무로 둘러쌓인 초가집은 연산군이 유배되어 안치 기거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장소에 '위리안치소'를 재현하여 찾는 이들에게 시대적 상황을 이해시키고, '반면교사(反面敎師)'의 교훈적 가치와 역사를 알리기 위해 설치한 조형물이다. 한쪽에는 소달구지를 타고 '유배'온 연산군의 모습이 '재현'되어 있다. 호송함거와 연산군의 복색 등은 사료를 근거로 설치하였다고 한다.
대룡시장
1950.6.25 한국전쟁 때 '황해도'에서 교동도로 월남(피난)하였던 실향민들이 휴전 이후 북으로 갈 수 없게 되자, 황해도를 추억하는 마음으로 황해도 연안군에 있다는 '연안시장'을 본떠서 만든 재래시장이다. 1960~70년대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풍경과 간판들을 마주할 수 있다. 지금은 많이 현대화되었지만, 그래도 옛 모습을 카메라에 담기 위한 작가들의 필수 코스이기도 하다. 현재는 인구 감소와 1세들이 대부분 돌아가시고, 그 자손들이 시장을 지켜가고 있다. 예능프로 1박2일, 드라마 전설의 마녀(시장 내 거북당 빵집), 장미빛 연인들, 선을 넘는 녀석들(시장 내 뚱이 호떡집) 등을 촬영한 인기있는 곳이다.
대룡시장 입구
교동다방
대룡시장 내에 있는 '교동다방'은 구식 찻잔에 달걀 노른자를 띄운 그 옛날식 '쌍화차'가 유명하다.
대룡시장의 이모저모이다. 각종 먹거리 위주로 시장이 서고, 특히 시식 인심이 후한 곳이기에 이것 저것 맛보면서 먹거리를 선택할 수 있는 곳이다.
'1일차' 일정을 재미있게 마무리하고, 강화도 남단에 있는 '동검도'에서 하루를 유하기 위해 숙소행을 서두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