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보이경이(步移景異)와 시각행동의 양분법(view-step dichotomy)
한자에서 말하는 의미가 뭘까부터 고민했습니다.
1. 보이경이와 시각행동의 양분법
1) 보이경이
-걸어다님으로 인해 보이는 경관의 변화를 의미
2) 시각행동의 양분법
-영역에 대한 시각흡수능력에 대한 분석방법
2. 연구학자
1) Halprin : motation symbol
-이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변화하는 경관에 대한 변화정도를 지각하는 정도를 나타냄
2) Thiel : 영역성
-공간은 그대로 있으나 이용자의 변화에 따른 환경의 변화 생김
저는 이런 내용으로 풀어나간듯 합니다.
영역성에 대한 문제로 인식하고 풀었는데...
방향은 맞을지 모르겠습니다..
4. 표면배수의 영점유출(zero runoff)
표면배수의 영점유출이라하면 표면으로 배수되는 우수가 없음을 뜻하는게 아닐까...
이런 생각으로 풀어나갔던 문제였습니다..
아직도 잘 모르겠습니다..
1. 표면배수의 영점유출
1) 정의
- 강우시 지표상으로 유출되는 우수의 지하로 흡수되는 정도의 수치
2) 필요사항
-생태면적률확보
-우수의 재활용시스템 확보(분산식빗물처리시스템)
-투수성포장재의 이용 확대
-우수와 오수의 배수시스템 분리체계
이런 내용으로 풀어나간듯한데...
어찌 풀어나갔는지 잘... 생각이 안납니다..
다음은 위키백과에 나온 표면배수의 의미입니다..
표면배수의 영점유출과는 어떻게 연관시켜야 할지는 참 난해합니다..
표면배수 : 물이 땅 속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지표에 둔 불투수층과 배수구를 통하여 배수하는 것.
그럼 영점유출은 100%투수성을 말하는건가요??
저는 표면배수시 유출량을 제로화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서 투수성포장재와 생태면적률확보, 우수의 재활용시스템확보의 내용으로 작성했는데...
두문제는 찾아도 안나와서 제가 풀었던 내용위주로 작성해서 올려봅니다..
다른 분들은 어찌 푸셨나요???
첫댓글 저도 용어를 정확하게 몰라서 비슷하게 유추했읍니다.
3.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다양한 경관의 체험유도 방법으로 열린경관과 닫힌경관의 조절
4. 표면배수상의 유출률을 제로에 이를 정도로 자연침투량을 늘려나가는 방법
이런식으로요.
그런데 삼형제맘님은 상당히 체계적으로 풀어나가셨네요. 좋은 결과가 기대됩니다.
보이경이 문제는 보지도 않고 포기했구요.
표면배수는 제로로 가야 한다는 방향으로 풀었습니다. 우수확보와 침식방지 개념으로요....
표면배수 영점유출은 저는 우수집수의 개념으로 보았는데..표면배수는 침투를 막기위한 것
유출은 외부로 나가는것니깐
영점유출은 외부로 조금도 나가지 못함 그래서 표면배출수를 집수하는 개념으로 해석 했습니다..
그냥 혼자의견입니다..ㅜㅜ
아... 표면유출량을 전량 집수해서 수순환에 재활용하는 뭐 그런 개념인가요?
보이경이 문제가 1교시에서 가장 어려웠어요.....ㅠㅠ
상당한 실력입니다. 저는 언제 그런 실력이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