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노인 일자리를 대폭 늘리고 신규 노년층으로 진입하는 ‘베이비붐 세대’ 맞춤형 일자리를 창출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27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운영위원회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제3차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종합계획(2023∼2027년)’을 발표했다.
계획에 따라 정부는 ▶노인인구 10% 수준의 일자리 창출 ▶노인 일자리 다양성 강화 ▶정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목표로 세부과제를 추진한다.
통계청 등에 따르면 올해 930만 명가량인 우리나라 노인인구는 2027년 1천167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복지부는 현재 88만여 개인 노인 일자리 총량을 120만 명 내외(전체 인구의 10%)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공익활동형 일자리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고, 사회서비스형·민간형 일자리는 규모뿐 아니라 비중 또한 크게 늘린다.
특히 사회서비스형 일자리는 상대적으로 높은 전문성과 다양한 경험·경력을 보유하고 있는 베이비 붐 세대의 경력과 역량을 활용해 필요한 영역에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으로 현재 9만 개에서 21만 개로 늘릴 예정이다. 이 사업은 국토교통부 연계 시니어 시설안전점검원처럼 공공기관이 주도하거나 민관이 협력해 전문성과 경력을 활용할 수 있는 일자리를 개발한다.
정부는 아울러 노인 일자리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 관련법을 제정하고 수행기관·지자체·담당자 역할을 강화하는 등 제도도 정비하기로 했다.
이기일 복지부 제1차관은 "노인 일자리는 초고령 저소득 어르신뿐 아니라 생산성이 높지만 노후 대비가 부족한 젊은 노년층에게도 필요한 정책"이라며 "노후 소득을 보장하며 사회적 약자를 지원할 수 있는 좋은 일자리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