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스턴의 한 보호소에 앤(Ann)이란 소녀가 있었습니다. 앤의 엄마는 죽었고 아빠는 알코올 중독자였습니다. 아빠로 인한 마음의 상처에다 보호소에 함께 온 동생마저 죽자 앤은 충격으로 미쳤고 실명까지 했습니다. 앤은 수시로 자살을 시도하고 괴성을 질렀습니다. 결국 앤은 회복 불능 판정을 받고 정신병동 지하 독방에 수용되었습니다.
모두치료를 포기했을 때 노(老)간호사인 로라(Laura)가 앤을 돌보겠다고 자청했습니다. 로라는 정신과 치료보다는 그냥 친구가 되어주었습니다. 그래서 날마다 과자를 들고 가서 책을 읽어주고 기도해 주었습니다. 그렇게 한결같이 사랑을 쏟았지만 앤은 담벼락처럼 아무 말도 없었고, 앤을 위해 가져다 준 특별한 음식도 먹지 않았습니다. 어느 날, 로라는 앤 앞에 놓아준 초콜릿 접시에서 초콜릿이 하나 없어진 것을 발견했습니다. 용기를 얻고 로라는 계속 책을 읽어주고 기도해 주었습니다.
앤은 독방 창살을 통해 조금씩 반응을 보이며 가끔 정신이 돌아온 사람처럼 얘기했고, 그 얘기의 빈도수도 많아졌습니다. 마침내 2년 만에 앤은 정상인 판정을 받아 파킨스 시각장애아 학교에 입학했고, 교회에 다니면서 신앙심으로 밝은 웃음을 찾았습니다. 그 후, 로라가 죽는 시련도 겪었지만 앤은 로라가 남겨준 희망을 볼 수 있는 마음의 눈으로 시련을 이겨내고 학교를 최우등생으로 졸업했고 한 신문사의 도움으로 개안 수술에도 성공했습니다.

수술 후 어느 날, 앤은 신문기사를 봤습니다. "보지못하고, 듣지 못하고, 말하지 못하는 아이를 돌볼 사람 구함!" 앤은 그 아이에게 자신이 받은 사랑을 돌려주기로 결심했습니다. 사람들은 못 가르친다고 했지만 앤은 말했습니다.
"저는 하나님의 사랑을 확신해요."
결국 사랑으로 그 아이를 20세기 최대 기적의 주인공으로 키워냈습니다.
그 아이가 ' 헬렌 켈러 '이고, 그 선생님이 앤 설리번(Ann Sullivan)입니다. 로라는 앤과 함께 있어주고 앤의 고통을 공감하면서 앤을 정상인으로 만들어냈고,
앤도 헬렌과 48년 동안 함께 있어주었습니다. 헬렌이 하버드 대학에 다닐 때는 헬렌과 모든 수업에 함께 하면서 그녀의 손에 강의내용을 적어주었습니다. 헬렌은 말합니다.
"항상 사랑과 희망과 용기를 불어넣어 준 앤 설리번 선생님이 없었으면 저도 없었을 것입니다. 만약 제가 볼 수 있다면 가장 먼저 설리번 선생님을 보고 싶어요."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것은 상처에 대한 적절한 분석과 충고가 아니라 그냥 함께 있어주는 것입니다.
한 마음은 충고를 주기보다 자신을 줄 때 아뭅니다.
좋은 충고보다 좋은 소식이 중요합니다.

헬렌켈러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잘 알고 있으나 그녀의 스승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보지도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삼중고를 안고있는 헬렌켈러를
전세계가 놀라게한인물로 만든 사람이 바로앤 설리반 (ANN SULLIVAN)이다.

헬렌켈러를 가르칠수있는 방법은 감각기관 뿐이었다. 헬렌켈러는 손가락으로 상징적인 터치를 통하여 말하는법을 배우고 열심히 공부하여박사도 되고 영감을 주는 위대한 인물이 되었다.
앤 설리반은 늘 되풀이해서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고 한다.
시작하고 실패하는것을 계속하라.실패할때마다 무엇인가 성취할것이다. 네가 원하는것을 성취하지 못할지라도 무엇인가 가치있는것을 얻게되리라.
시작하고 실패하는것을 계속하라.
헬렌 켈러 (1880 ~ 1968)
1880년 미국에서 태어난 헬렌켈러. 그녀는 세상에 태어난 지 9개월 만에 큰 병을 앓아 시력을 잃었고,
귀로는 들을 수 없게 되었으며, 입으로는 말도 할 수 없는 '삼중고'의 가련한 장애인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녀는 20세기의 기적이란 칭호까지 받는 놀랄 만한 인물이 되었습니다.
보지도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어찌보면 나무토막 같은 그녀를, 전세계를 놀라게 한 위대한 사람으로 만든 사람은
다름아닌 그녀의 스승인 앤 설리반입니다.
7세가 될 때까지 제멋대로 행동하던 헬렌 앞에 나타난 설리번 선생은, 사랑과 인내로써 어둠 속을 헤매던 헬렌에게
말과 글은 물론 인생의 참의미를 깨우쳐 주었습니다. 헬렌은 설리번 선생의 도움을 받으며
열심히 노력한 끝에 20세때 하버드 대학에 입학하였습니다.
설리반 선생님은 헬렌 켈러에게 늘 다음과 같은 말을 되풀이했습니다.
“시작하고 실패하는 것을 계속하라. 실패할 때마다 무엇인가 성취할 것이다. 네가 원하는 것은 성취하지 못할지라도 무엇인가 가치있는 것을 얻게 되리라. 시작하는 것과 실패하는 것을 계속하라.”
1937년 우리 나라에도 방문한 적이 있는 그녀는 힘들고 긴 시련을 극복하고 정상적인 사람도 감히 쓸 수 없는 <나의 회상록>,
<내가 살고 있는 세계>, <믿음을 가지고> 등의 유명한 저서까지 남기게 되었습니다.
그녀는 맨 처음 '물'이라는 말 한마디를 배우는 데 7년이란 긴 세월이 걸렸습니다.
그녀는 시련 극복의 의지로 최고 학부까지 나오게 되었고, 희랍어, 라틴어, 불어 등에 통달하게 되어
온 세계인들에게 큰 감동을 주었습니다.
특히 헬렌은 장애인들에게 이렇게 말하며 장애자들에게 큰 힘과 용기를 주었으며, 그들을 위해 많은 일을 하였습니다.
"태양을 볼 수 있는 사람은 행복하고, 볼 수 없는 사람은 불행한 것이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마음입니다.
마음 속에 빛을 갖는 일입니다. 힘과 용기를 가지세요."
헬렌 켈러는 자신의 불행에 꺾이지 않고 극복하여 많은 사람들을 위해 애쓰다가 1968년에 숨을 거두었습니다.
미국의 유명한 TIME 지는 20세기의 위대한 100명의 인물에 '기적의 헬렌 켈러'라는 제목과 함께 헬렌 켈러를 포함시켰고
그의 인간 승리의 드라마를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지금 자신의 처지와 환경을 원망하며 비관과 반항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면 그 불행앞에 굴복하지 말고 이겨내시기를 바랍니다. 우리보다 더 비참하고 나쁜 상황속에서도 포기하지 않은 헬렌 켈러처럼 말입니다
만일 단 3일만이라도 눈을 뜰 수 있다면
첫째날,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습과아가들의 얼굴을 바라보겠습니다.
눈으로 책을 읽고, 숲속의 자연과 노을을 보겠습니다.
둘째날,
밤이 낮으로 변하는 순간을 보고
미술관, 극장이나 영화관에서 시간을 보내면
얼마나 행복하겠습니까?
세째날,
해 뜨는 풍경과길가에 사람들이 오가는 모습을 보겠습니다
빈민가,공장,아이들이 뛰노는 놀이터에도 가보겠습니다
외국인이 사는 지역도 방문 하겠습니다
그것으로 외국여행을 대신 하겠지요.
볼 수 있다는 것은 가장 큰 축복이라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헬렌 켈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