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워한다고 소중한 생명에 대하여 폭력 을 쓰거나 괴롭히지 말며, 좋아한다고 너무 집착(執着, cling)하여 곁에 두고자 애쓰지 말라.(Don't use violence or harass your precious life because you hate it, and don't try to be too obsessed with it because you like it.)
사랑하는 사람에게는 사랑과 그리움이 생기고 미워하는 사람에게는 증오와 원망(憎惡와 怨望, hatred and resentment) 이 생기나니,(Love and longing come to those who love and hatred come to those who hate,)
사랑과 미움을 다 놓아버리고 무소(a false accusation)의 뿔 처럼 혼자서 가라.(Let go of all love and hate and go alone like the horns of a false accusation.)
너무 좋아할 것도 너무 싫어할 것도 없다.(There's nothing to like or dislike too much.)
너무 좋아해도 괴롭고, 너무 미워해도 괴롭다.(It's painful even if you like it too much, and it's painful even if you hate it too much.)
사실 우리가 알고 있고, 겪고 있는 모든 괴로움은 좋아하고 싫어하는 이 두 가지 분별(分別, fractionate)에서 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In fact,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all the suffering we know and go through comes from these two categories of likes and dislikes.)
늙는 괴로움도 젊음을 좋아하는 데서 오고, 병의 괴로움도 건강을 좋아하는데서 오며,(The suffering of old age comes from the love of youth, and the suffering of disease comes from the love of health,)
죽음 또한 삶을 좋아함, 즉 살고자 하는 집착(執着, obsession)에서 오고, 사랑의 아픔도사람을 좋아하는 데서 오고,(Death also comes from liking life, an obsession to live, and the pain of love comes from liking people,)
가난의 괴로움도 부유함을 좋아하는데서 오고, 이렇듯 모든 괴로움은 좋고 싫 은 두 가지 분별로 인해 온다.(The suffering of poverty also comes from liking wealth, and in this way, all suffering comes from two different categories: good and bad.)
좋고 싫은 것만 없다면 괴로울 것도 없고 마음은 고요한 평화에 이른다.(If there is nothing good or bad, there is nothing to suffer from, and the heart reaches a peaceful peace.)
그렇다고 사랑하지도 말고, 미워하지도 말고 그냥 돌처럼 무감각하게 살라는 말 이 아니다.(That's not to say don't love, don't hate, just live as insensitive as a stone.)
사랑을 하되 집착이 없어야 하고, 미워 하더라도 거기에 오래 머물러서는 안된다는 말이다.(It means that you should love but not be obsessed, and even if you hate it, you shouldn't stay there for long.)
사랑이든 미움이든 마음이 그 곳에 딱 머물러 집착하게 되면 그 때부터 분별의 괴로움은 시작된다.(Whether it is love or hate, when the heart stays there and becomes obsessed, the agony of discernment begins from then on.)
사랑이 오면 사랑을 하고, 미움이 오면 미워하되 머무는 바 없이 해야 한다. 인연따라 마음을 일으키고,(When love comes, love comes, and when hate comes, hate it, but you have to stay. The relationship arouses the heart,)
인연따라 받아들여야 하겠지만, 집착만은 놓아야 한다.(You have to accept it according to your relationship, but you have to let go of your obsession.)
이것이 인연은 받아들이고 집착은 놓는 수행자의 걸림없는 삶이다.(This is the uninterrupted life of a practitioner who accepts relationships and lets go of obsession.)
사랑도 미움도 놓아버리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는 수행자의 길이다.(It is the path of a practitioner who lets go of love and hate and goes alone like the horns of a muso.)
- 법정스님 글중 편집(編輯) -(- an edited version of the Buddhist monk's writings -)
※ [주석(註釋, annotation)]
● 법정 스님(法頂, 1932~2010) : 승 려, 수필가. 1945년에 출가하였으며, 불교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하여 일상적 인 소재를 쉽고 간결하게 표현한 수필을 많이 썼다. 주요 작품으로 ‘무소유’, ‘설 해목’, ‘나그네 길에서’, ‘맑은 기쁨’ 등이 있다.
[요약(要約, summary)]
o 세속명:박재철(朴在喆)
o 출생:1932년 10월 8일, 전남 해남군
o 사망:2010년 3월 11일 (향년 77세)
o 학력사항:해인사대교과
o 경력사항:~2003.11.
대한불교조계종길상사 스님
대한불교조계종 송광사 수련원 원장
동국대학교 역경원 역경위원
o 수상내역:2004년 제2회 대원상 대상.
[해설(解說, commentary)]
속명은 박재철(朴在喆). 수십 권의 수필 집을 통해 힘겨운 삶에 허덕이는 현대인 에게 진정한 사유의 기쁨과 마음의 안식 을 제공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 은 작가이자 '무소유'를 실천한
승려이다.
목포상업고등학교를 거쳐 전남대학교 상과대학에 진학했으나 3학년 때인 1954년 출가하여 통영 미래사(彌來寺) 효봉스님의 행자로 있다가 다음해에 사미계를 받고 지리산 쌍계사에서 정진 했다. 1959년 3월 양산 통도사에서 자 운율사를 계사로 비구계를 받았으며, 1959년 4월 해인사 전문강원에서 명봉 스님을 강주로 대교과를 졸업했다. 지리산 쌍계사, 가야산 해인사, 조계산 송광사 등 여러 선원에서 수련하였다.
1960년대 말 봉은사에서 동국역경원의 불교경전 번역작업에 참여했다. 이후 〈불교신문〉 편집국장, 역경국장을 지 내다 송광사 수련원장, 보조사상연구 원장 등을 지냈다. 서울 봉은사에서 운 허스님과 불교경전 번역을 하던 중
함석헌·장준하·김동길 등과 함께 '민주 수호국민협의회'를 결성하여 민주화운 동에 참여했다.
1975년에 본래의 수행승으로 돌아가기 위해 송광사 뒷산에 손수 불일암(佛日庵)을 지어 혼자 지냈으나, 또다시 사람 들이 찾아오자 1992년 제자들에게 조 차 거처를 알리지 않고 강원도 산골 오두막에서 혼자 지냈다. 1993년 시민 운동단체인 '맑고 향기롭게'를 만들어 소리없는 나눔을 실천했으며, 1996년 성북동의 요정 대원각을 기부받아 1997년 12월 길상사를 개원한 이후에 는 정기적으로 대중법문을 해왔다.
'선택한 가난은 가난이 아니다'라는 청빈의 도를 실천하며 1976년 4월 산문집 〈무소유〉를 출간한 이후, 불교적 가르침을 담은 산문집을 잇달아 내면서 대중적인 반향을 일으켰다. 그의 저서는 〈무소유〉 외에 〈서 있는 사람들〉·〈물소리 바람소리〉· 〈산방한담〉·〈오두막 편지〉·〈텅 빈 충만〉·〈홀로 사는 즐거움〉 등의 산문집과, 명상집 〈산에는 꽃이 피네〉·〈아름다운 마무리〉, 잠언집 〈살아 있는 것은 다 행복하라〉, 법문집 〈일기일회〉·〈한 사람은 모두를 모두는 한 사람을〉, 번역서 〈깨달음의 거울(禪家龜鑑)〉· 〈진리 의 말씀(法句經)〉·〈불타 석가모니〉· 〈숫타니파타〉·〈인연이야기〉·〈신역 화엄경〉·〈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스승을 찾아서〉 등 30여 권에 달한다.
폐암으로 투병하면서 '많은 사람에게 수고만 끼치는 장례의식을 행하지 말라'고 당부하며 마지막까지 무소유의 삶을 실천했다. 사후에 '더 이상 책을 출간하지 말라'는 유언에 따라 그의 책을 출판하는 출판사들이 모든 책을 절판하기로 했다. <끝>
= 朴圭澤, 華谷·孝菴 公認 大法師(佛學硏究員)의 좋은글 중에서(Park Gyu-taek, Among the good articles of Hwagok and Hyoam's official a great judge Dharma-Bhanaka
(Bulhak Research Institute) =
첫댓글 지극한 마음으로 최선을 다하여 올려주신 정성이 가득한 훌륭하고 아름다우며 소중한 아주 멋진 좋은 작품 감명 깊게 잘 감상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방문하시고 "댓글"과 "좋아요"는 저에게는 큰 힘이 됩니다. 꼭 흔적을 남겨주시기 부탁드립니다.
= 朴圭澤(華谷)·孝菴 公認 大法師(佛敎學 碩士課程)의 좋은글 중에서(Among the good articles of Park Gyu-taek(Hwagok) dharma-bhānaka and Hyoam's official Daebosa(an academic course in Buddhis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