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광역시 (9)
남구 (1)
용연서원
신정동

1737년(영조13)에 도(道) 유림의 공의에 의해 황용연(黃龍淵) 위에 용연사(龍淵祠)가 창건되어 충숙공(忠肅公) 이예(李藝)를 배향하였으며 1782년(정조6) 웅촌 석천리로 이건되어 사호(祠號)를 석계라 하였다.
1860년(철종11)에 서원으로 승격되었으나 1868년(고종5) 훼철되었고 1900년(광무4) 9월9일 설단하여 그 후 매년 9월 9일 향사를 봉행하여 왔으며 1915년 경수당(敬守堂)과 필동문(必東門)이 중건되었고 2002년 9월 9일 설단을 훼철하고 복원하여 2001년 3월에 옛 용연사(龍淵祠) 유허지(遺墟地)에 울산 향유의 공의와 월진문회(越津門會)주도로 용연서원(龍淵書院)을 복원하였다.
중구 (3)
구강서원
반구동

1678년(숙종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몽주(鄭夢周)와 이언적(李彦迪)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94년에 ‘구강(鷗江)’이라 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가 2003년에 복원되었다.
태화서원
옥교동

정조 21년(1797년)에 세웠으며 정면 4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에 홑치마의 집이었다고하나 그 외의 정보는 알 수 없으며 1951년 월성이씨 종중에서 서원을 설치하고 이름을 태화서원이라 부르고 있다.
학산서원
태화동

1851년(철종31)봄에 사림(士林)과 후손들의 공의(公議)로 양산시 용당동 후록에 건립하였다. 그해 9월에 완공하고 울산박씨 시조이신 휘 윤웅 흥여백 시호장무공(諱 允雄 興麗伯 諡號莊武公)을 주변에 봉안하고 여말(麗末) 충의 충청감사 휘 추 사은선생(諱 諏 沙隱先生)을 배향하고 매년 9월중정에 향중사람들과 자손들이 향사하였다.
1871년(고종8년)에 방영(邦令)으로 훼철되어 향화가 끓겼다가 1905년(광무9년)에 설단하고 강당간과 포사4간 신삼문과 대문 3간을 세웠다.
1940년 경진에 모선재 중수를 하고 중수기문은 학성 이우락(鶴城 李宇洛)이 찬하고 1973년 계축에 모선재를 재 중수하고 재중수 기문을 학성 이희락(鶴城 李曦洛)이 찬하고 동년 9월에 사은선생 종제 휘 유여말충의 유은선생(沙隱先生 從弟 諱 愈(麗末忠義愈隱先生))를 배향하고 사은선생은 좌 류은선생은 우로 설단하였다.
현용당동은 본래 울산고을이였으나 행정구역개편에 의거 양산시로 속하여 1986년6월에 종회에 의하여 우리 시조 이신 흥려백은 현 울산시내 학성 산하를 근거지로 활약하였으니 용강사를 울산시 중구 태화동 459-31번지로 이건 2005년 8월에 준공추배에 임진왜란 찬의수공으로 선무원종 1등공신이신 호 학수당 박홍춘(朴弘春)을 추배하였다가 동년 9월 중정(中丁)에 향도유림 파록(鄕道儒林 爬錄)하고 위패(位牌) 4위를 봉안하니 학산서원이 개원되었다.
울주군 (5)
반구서원
언양읍 대곡리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 조선시대 문신 이언적(李彦迪), 정구(鄭逑)의 높고 곧은 뜻을 이어받기 위해 1712년(숙종 38) 지방의 유생들이 세웠다. 1728년(영조 4) 화재를 입어 소실되었으나, 이듬해 다시 세웠다.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 방침에 따라 문을 닫았다. 그 후 지역 유림들이 포은 대영모비[1885], 포은 대실록비[1890], 반계서원 유허비실기[1901] 3기의 비석을 차례로 세웠다. 1955년 이후 꾸준히 보수를 하였으나 1965년 사연댐이 건설되면서 반구대 아랫마을에서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석계서원
웅촌면 석촌리

1737년(영조13)에 도(道) 유림의 공의에 의해 황용연(黃龍淵) 위에 용연사(龍淵祠)가 창건되어 충숙공(忠肅公) 이예(李藝)를 배향하였으며 1782년(정조6) 웅촌 석천리로 이건되어 사호(祠號)를 석계라 하였다.
1860년(철종11)에 서원으로 승격되었으나 1868년(고종5) 흥선대원군의 서월 훼철령으로 훼철되었고 1900년(광무4) 9월9일 설단하였고 1915년 경수당(敬守堂)과 필동문(必東門)이 중건되었고 2002년 9월 9일 설단을 훼철하고 복원하였다.
원강서원
삼동면 둔기리

1799년(정조 23) 울산에 거주하던 엄흥도의 후손들과 울산 지역 유림의 공의에 따라 당시 울산도호부사 이정인(李廷仁)이 조정에 상주한 바 윤허가 있었으므로 울주군 온산읍 대정리 원강마을에 원강사를 건립하였다.
1817년(순조 17) 원강서원으로 승격되었으나 1871년(고종 8) 서원 철폐령에 따라 훼철되었다가 1904년 부조사판(不祧祠版)을 울산의 원강서원에서 배향하라는 조정의 명에 따라 복원되었다.
1947년 온산면 산성마을로 이건(移建)하였는데, 1988년 울산 온산공단 조성 부지에 편입되어 1995년 현재의 위치에 옮겨 세웠다.
자암서원
웅천면 통천리
![[울산 서원시리즈 ④] 통천마을의 역사를 그대로 보존한, 울산 자암서원](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blogfiles.naver.net%2FMjAxNzAxMDVfNDQg%2FMDAxNDgzNTk0Njc4MDQ2.MAF2b_DhB5XXDFZl3keGjMN2S6SMD0RbJ9cgV68G-icg.uqd19P3YuGW9jShZWnbvBRC18CTX-C7QlEuvPa2RF3Ig.JPEG.ulsannuri%2F1.jpg)
1804년(순조 4) 연안차씨 문중에서 울주군 웅촌면 통천리 631번지에 통천사(桶川祠)를 세워 차원부를 제향하기 위하여 건립하였고, 뒤에 차운혁을 배향하였다. 1843년(헌종 9) 통천리 자암동 잿밭골에 사우를 새로 지어 위패를 옮기고 지명에 따라 자암원(紫巖院)이라 하였다.
1861년(철종 12) 자암서원으로 격상되었다가 1868년(고종 5) 서원 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었다.
1919년 차진용과 차세규 등이 중건 계획을 세워 1920년 현재 위치에 복원하였고, 2005년 기와를 새로 갈았다.
치산서원
두동면 만하리

신라시대 충신 박제상(朴堤上)의 처를 제사지내기 위해 신라시대 경주 묵장산(墨匠山)의 치술령(鵄述嶺)이라는 고개에 세워졌던 ‘신모사(神母祠)’에서 출발하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1745년(영조 21)에 영해박씨 주도로 신모사가 있던 두동면에 다시 건립하여 박제상과 그의 부인 및 두 딸을 제향하고 있다.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91년에 복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