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문(金文)에 보이는 창(昌)은 입을 뜻하는 구(口)의 안쪽에 둥근 원이 그려져 있는 형태이다. 소전(小篆)에 이르러 해를 뜻하는 일(日)과 왈(曰)이 위아래로 결합한 형태로 발전하여 오늘날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설문해자에서는 '듣기 아름다운 말[昌, 美言也]'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목소리가 길게 이어지며 막힘없이 원활한 것으로부터 '창성(昌盛)하다' '번창(繁昌)하다'라는 의미가 파생되자 창(昌)에 구(口)를 더한 창(唱)으로 본래의 의미를 대신하게 되었다. 사기(史記)에서는 '하늘에 순응하는 자는 창성할 것이요 하늘을 거스르는 자는 죽지 않으면 망하게 될 것이다[順之者昌, 逆之者不死則亡]'라고 하였다. 하늘의 구름이 붉은 빛을 띠며 밝게 빛나는 것을 창광(昌光)이라 하는데 고대인들은 이를 상서로운 징조로 여겼다. 무도(無道)한 자들은 밀어뜨리고 도를 지키어 보존하는 자들을 견고히 하면 나라는 이에 창성해질 것입니다[推亡固存, 邦乃其昌]. 웅장하고 화려한 말[昌辭]보다는 듣기에 아름다운 말이 밝은 햇살처럼 온 누리에 고루 퍼질 때 사회는 건강해지고 창락(昌樂)해지지 않을까?
김영기.동서대 중국어전공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