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모르는, 엄마의 이야기
엄마의 초상화
유지연 지음|양장 ․ 컬러 ․ 32쪽 ․ 225*297mm |ISBN 978-89-98751-09-8|책값 12000원|펴낸 곳 : 이야기꽃|서울 마포구 합정동 367-9|편집부 070-8797-1656 마케팅부 070-8797-1657|전송 02-6499-1657|전자우편 iyagikot@naver.com|소통, 공감, 평화! 함께 피우는 이야기꽃 http://cafe.naver.com/iyagikot
밥하고 빨래하고 청소하고……, 가족을 위해 사는 사람, 엄마.
하지만 그게 엄마의 모습 전부일까?
엄마의 가슴 속에 감춰진, 미영 씨의 진짜 모습은 어떤 걸까?
부르기만 해도 가슴이 따뜻해지는 이름, 엄마. 생각만 해도 마음이 편안해지는 사람, 엄마……. 엄마는 모든 사람이 처음으로 깃들였던 집이고, 세상에 나와 처음으로 만난 사람입니다. 누구에게나 엄마는 언제라도 돌아갈 수 있는 보금자리이며, 어디서든 나를 지켜 줄 등불입니다. 바꿔 말하면, 엄마는 늘 내가 의지하고 위안을 바라는 대상이며 내가 원하는 모든 것을 주는 헌신적인 후원자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그 한없는 베풂의 신화는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요? 그리고, 대상이요 후원자가 아니라 스스로도 위안을 바라고 일탈을 갈구하는 욕망의 주체로서, 고유한 이름을 지닌 엄마 이전의 한 여성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요?
안타깝지만 당연하게도 베풂의 신화는 주체의 희생에서 시작합니다. 모든 ‘엄마’는 어떤 ‘여성’이 포기하거나 미루어 둔 꿈과 욕망과 자아의 뒷모습인 것입니다. 우리가 그들에게 바라는 것, 보고 싶어 하는 것, 당연히 여기는 것은 늘 바로 그 뒷모습이지요. 어느 순간 내비쳐지는, 엄마의 이면에 감춰진 ‘아무개 씨’의 진짜 모습은 슬프게도 우리에게 낯설기만 합니다. 그런데 그 낯선 느낌은 정당한 것일까요?
이 책은 엄마가 ‘엄마’이기만 한 줄 알고 살아오다가 어느 날 문득 엄마의 또 다른 자아인 ‘미영 씨’의 모습을 발견한 자식이, 자신이 느낀 그 낯섦이 과연 정당한 것인가 라는 질문에 대하여 답을 찾는 과정을 그린 작품입니다.
작품 속 화자인 나는 그림을 그리는 사람입니다. 나는 엄마의 초상화를 그리는데, 내가 그리는 초상화는 늘 익숙한 엄마의 모습 그대로입니다. 갈라진 틈새로 빨간 립스틱이 침착된 메마른 입술, 성긴 세월을 감추는 뽀글뽀글한 파마머리, 무슨 일론가 심하게 삐친 나를 위해 기도할 때 펑퍼짐한 엉덩이를 받치던 울퉁불퉁한 발, 집안의 다른 생명들을 살리느라 정작 스스로는 바짝바짝 메말라가는 손……. 그러나 그 이면엔 문화센터에 나가 라틴댄스를 배우고, 자주 쓰지도 않는 색색깔 모자들을 정성들여 모으며, 주말이면 교회 성가대에서 목청껏 찬송을 한 뒤 도도하게 쇼핑을 하고, 반짝거리는 장신구를 걸치고 거울 앞에 서곤 하는 미영 씨가 있음을 나는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런 미영 씨의 모습들이 나에겐 왠지 낯설기만 하지요.
나는 생각합니다. 이 낯섦의 근원은 어디에 있을까? 그래서 상상해 봅니다. 어쩌면 내가 아는 엄마의 모습 뒤에는 상상치도 못할 미영 씨가 있는 게 아닐까. 소파에 누워 티브이를 보다가 잠들어 버리는 엄마의 일상은 지루해 보이지만, 알고 보면 미영 씨는 동화 속 주인공과 대화를 나누는 재밌는 사람이 아닐까? 몸통일랑 식구들을 위해 양보하며 생선은 머리가 맛있다고 주장하는 엄마이지만, 미영 씨는 카리브 해의 노인처럼 두려움을 모르는 탐험가일 수도 있지 않은가? 엄마는 낡은 블라우스의 꽃무늬처럼 지지 않고 우리를 응원해 줄 것 같아도, 미영 씨는 꽃을 찾아 떠나 버릴지 모르며, 엄마는 언제든 내가 돌아갈 수 있는 집이지만, 미영 씨는 더 이상 집이 아니고 싶을 수도 있지 않은가……?
생각이 여기에 미치자, 이제 알 것도 같습니다. 그림 그리는 나를 자랑스러워하지만, 내가 그려 준 초상화는 좋아하지 않던 엄마의 마음을, 어느 날 느닷없이 가방을 챙겨 먼 이국으로 여행을 떠났던 엄마를, 그리고 그곳에서 낯모르는 이국의 화가가 그려 준 자신의 초상화를 맘에 쏙 들어 하는 미영 씨를 말이지요.
그렇게 해서 엄마는 두 개의 초상화를 갖게 되었습니다. 그 초상화는 엄마의 오래된 자개장 위에 내가 그린 초상화와 나란히 놓여 있습니다. 그러고 보면 이제 미영 씨는 내가 그린 ‘엄마’를 부인하지 않는 듯합니다. 아니, 처음부터 부인하지 않았던 것이 아닐까요. 다만, 잃어버린 ‘미영 씨’를 찾고 싶은 엄마가 있었을 뿐.
두 개의 초상화를 보면서, 나는 이제 낯섦의 근원을 알 것 같습니다. 그건 내가 엄마가 아닌 미영 씨를 부인했던 탓이었을 테지요. 나의 욕망, 나의 꿈, 나의 자아만을 위한, 나의 욕심 때문에. 그러므로 그 낯섦은 정당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이제 나는 미영 씨를 인정하고자 합니다. 미영 씨가 내가 그린 엄마를 인정해 주듯. 그러자 두 개의 초상화가 새로이 내 마음에 들어옵니다. 서로 다르게 생겼지만, 하나뿐인 우리 엄마, 미영 씨의 모습으로. 바야흐로 희생과 베풂의 신화를 끝내고 인정과 사랑의 이야기를 써 나가야 할 때가 되었습니다.
작가의 말
미술대학 시절 전시 소재를 찾던 중, 엄마를 그려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재료도 평소와 다르게, 작업방식도 새롭게 해서 나름 만족스러운 엄마의 초상화가 나왔습니다. 그러나 나의 기대와 달리 엄마의 반응은 시큰둥했습니다. 몇 달 뒤 엄마는 여행지에서 새 초상화를 그려왔고 액자까지 만들어 걸어 놓았습니다. 내가 그린 초상화는 창고 한구석에 처박혀 있었습니다.
몇 년이 지나 엄마에게도 엄마이기 이전에 독립된 자아가, 여자가 존재했다는 걸 어렴풋이 알게 되었고, 왜 엄마가 내 초상화를 싫어했는지에 대한 답을 풀고 싶었습니다. 그렇게 두 개의 초상화에 대한 이야기를 가슴에 품게 되었습니다. 또 몇 년이 흘렀고, 결혼하여 집안 살림을 꾸려 가며 조금씩 엄마의 수고와 희생이 얼마나 값진 것이었는지 깨닫게 되었습니다. 어느 날 친정에 가니 내가 그린 엄마의 초상화가 걸려 있었습니다. 그걸 보며 다시 질문하게 되었습니다. 엄마가 왜 내 초상화를 싫어했는지가 아니라, 왜 새로운 초상화를 원했는지를.
엄마를 이해하기엔 난 아직 많이 부족합니다. 아니 평생 알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또 다시 엄마에게 선물하고 싶었습니다. 지금에서야 다시금 그리게 된 엄마의 초상화를 말이지요. 새로운 초상화를 엄마가 좋아할지 모르겠습니다. 왜냐하면 우리 엄마, 미영 씨는 ‘예측불가’이거든요.
<엄마의 초상화>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