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제시 의제 | 세부의제 | 노조 요구 |
기 본 의 제 1 | 1 단 계 | 복리후생 3종 수당 차별 개선 | 명절상여금,식비,복지포인트 | ○ 복리후생 공무원 기준 동일 적용 |
실비변상, 법상 의무 수당 차별 | 출장비,특근매식비,연장근로수당,휴일근로수당,연차휴가수당 | ○ 실비 변상 성격 복리후생비 차별 철폐 : 출장여비, 야근식대 등 ○ 법정수당 보장 : 연차, 시간외 |
비금전적 처우 차별 해소 | 직장어린이집,휴양시설,신분증,회의실 | ○ 편의시설 이용, 기타 복지 제도 동일 적용 |
2 단 계 | 공무직 직무, 직급 체계 마련 |
| ○ 경력 인정, 승진 체계 |
공무직 임금체계 마련 |
| ○ 적정임금 보장되는 평등한 임금체계 ○ 노동3권 보장하는 임금결정‧교섭구조 마련 |
임금 및 수당 격차 해소 |
| ○ 정규직-비정규직 격차 해소 예산 편성 ○ 자회사, 용역, 위탁 등 공공부문 도급 과정에서 인건비 삭감 방지 |
성과급 차별 해소 |
| ○ 수당 차별 해소 |
공무직 인건비 제도 구축 |
| ○ 임금‧복지 관련 지침‧인건비 예산 제도 개선 |
기 본 의 제 2 | 1 단 계 | 공무직 인식‧문화 차별 해소 | 공무직 호칭, 규정상 불합리적 요소, 내부소통(전산망), 제도적 소통장치 | ○ 노조 사무실 보장, 전임자 대체인력 채용, 노조활동 보장 등 ○ 관리자 노동인권 교육 |
교육훈련 기회 차별 해소 | 교육훈련 규정 및 계획 수립, 유형별 교육훈련 실시, 교육훈련 활용, 교육훈련 여건 | ○ 연수‧교육훈련 보장 및 차별 철폐 |
공무직 인사관리기준 마련 | 채용, 경력인정, 휴가‧휴직, 유연근무, 전보, 포상, 징계, 인사관리시스템 | ○ 경력 인정, 승진 체계 ○ 휴가‧휴직 차별 철폐, 인력 충원을 통한 휴가권 보장 |
공무직 성과평가체계 마련 | 성과평가 규정, 평가제도 운영, 결과 활용 |
|
공무직 산업안전 보호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안전보건관리책임자,안전보건교육,안전보건관리규정,휴게시설 설치 및 안전장구 지급, 건강진단 | ○ 코로나19 예방 안전보건 지침 시행, 소득 감소 보전, 총고용 보장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원‧하청산업안전보건위원회 전 사업장 의무화 ○ 위험업무 안전인력 충원 ○ 휴게실‧샤워실 등 휴식 공간 보장, 작업환경 개선 ○ 감정노동 보호‧직장내괴롭힘 제도 개선 |
3 단 계 | 공무직 정원‧직제제도 개선 |
| ○ 필수 공공서비스 관련 인력 충원 ○ 적정 인력 기준 마련 / 정원 관리 제도 개선 |
공무직 법제도 개선 |
| ○ 정부부문 무기계약직 공무직 제도화 ○ 공공기관 무기계약직 정규직 통합 ○ 용역형 자회사 직영화와 운영제도 개선 ○ 강요된 단시간 일자리 전일제 전환 ○ 공공부문 상시지속 기간제‧파견‧용역‧위탁 사용 제한 제도화 ○ 상시지속 업무임에도 전환 제외된 기간제‧파견‧용역‧위탁 추가 전환 ○ 미전환 기간제‧파견‧용역‧위탁 고용 안정 및 처우 개선 대책 |
공무직 관리체계 정비 |
| ○ 노동3권 보장하는 임금결정‧교섭구조 마련 |
첫댓글 휴게시설과 건강진단 부분은 정말... 할말을 잃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