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방장님의 감자탕 뿌랏쓰 소주 두병
제안에 헬렐레 하고 씁니다.
그까이꺼에 헬렐레 하냐고 물으 신다면
찌질한 따라지 인생
어쩔 수 없다고 말씀 드릴랍니다.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나
짜임새에 대한 이론을 ,육서,라고 합니다.
육서는
상형, 지사, 회의, 형성, 전주, 가차
이렇게 6가지로 분류 됩니다.
상형문자는
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것처럼
사물의 모양을 본떠 만든것이죠.
日, 月, 雨 등이 있고요.
지사문자는
추상적인 뜻이나 점 선으로 만든 글자 입니다.
一, 二, 三, 上, 下, 등이 있지요.
세번째가 회의문자 인데요.
두 개 이상의 글자를
그 뜻으로 합쳐 새로운 뜻으로
만든 글자 입니다.
日과 月 을 합치면 밝을 明 자가 되죠.
女자와 子자를 합치면 좋을 호(好)자가 됩니다.
人자에 木자를 합하면 쉴 휴(休)자 입니다.
明자와 好자 休같은 글자를
일, 월, 여, 자, 인, 목으로
풀이 하는 것을 인수 분해 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인수 분해 할 수 있는 글자가 있고요.
인수 분해 할 수 없는 글자도 있습니다.
한자를 인수 분해 해서 기록 한 책이
,설문해자, 라는 책 입니다.
현재 이 책에 기록 되어 있는 한자는
약 8000자 정도 된다고 합니다.
한자 전문가들에 의하면
한자가 약 3만에서 4만자 정도 된다니까
인수 분해 할 수 있는 자는 반에 반 정도 되겠네요.
형성문자.전주문자.가차문자는
머리 복잡한 관계로
다음에 방장님이 또
감자탕 뿌랏쓰 소주 2병 사준다면
따로 쓰겠습니다.
질문 하신 荊 자를 인수 분해 하면
풀초, 열개, 칼도, 이렇게 됩니다,
저 풀 초자는
위에 있다고 해서 초두머리
또는 초두머리변 이라고 합니다.
열개(開)자는 중국 간자체 이구요.
칼 도자(刀)를 저렇게도 습니다.
왜 3개의 글자를 합쳐서 형자라 했는지
그건 모르겠습니다.
荊자는 가시나무 형
또는 가시 형이라고 합니다.
가시나무를 가르키는 또 다른 자는
가시나무 극(棘) 자가 있어요.
이것도 역시
가시 극 이라고도 합니다
나무 목자가 두개 있네요.
莽 <-- 이건 망자인데요
풀 망 또는 가시 망 이라고 합니다.
轟 (굉)
굉음 할때 쓰는 시끄러울 굉자 입니다.
인수 분해 하면
수레 세대가 나란히 가니까 시끄럽겠지요.
얼추 맞아 떨어집니다.
아래 한자를 보실까요?
蠱 <---인수 분해 하면
벌래 세마리에 그릇 명자 입니다.
그릇에 벌래가 담겨 있죠.
그런데
벌래와 상관 없이 고혹 하다 할때 쓰는
고혹할 고자 입니다.
독벌래 라는 뜻도 있긴 한데
고혹 외엔 거의 쓰지 않는답니다.
인수 분해 했다 합쳤을 때
전혀 다른 뜻으로 변하는 한자가 많습니다.
荊자도
그런 한자 중 하나라고 보시는게
속 편 합니다.
負荊請罪
부형청죄
짐질 부, 가시 형, 청할 청, 허물 죄.
이걸
번역기에 돌리면
,죄를 뒤집어 쓸래, 로 번역 됩니다.
한자 참 어렵습니다.
더군다나 요즘 중국은 간자체 라서
우리가 쓰는 한자 하고 많이 다르답니다.
어렸을적 아부지 한테
한자 좀 배웠는데 연세 들면서
가물 가물 합니다.
감자탕 뿌랏쓰 소주 두명에 쓰긴 했는데
답변이 되었나 모르겠습니다
아는게 이것 뿐이라서...
감사합니다
땡큐
첫댓글 방장님 나뻐유~ ㅎ
재미있네요. 잘읽었습니다.
그런데 연세 들었다니
많이 이른 말 아닌가요?
捐世라~
그것 참 ㅠ
@석촌
그러게나 말입니다 ㅎ
애들이 연세라니 건방지게
누드 정도 나이가 되면
고추에 물이 들었다 ㅋ
이렇게 이야기 해야지요
부형청죄에서의
형자가
가시나무 형(荊)으로
죄 형자와 초두이변의 조합인데
죄를 벌할 때 쓰는
가시나무면 나무목변을 하지 왜 풀초변을 했을까오?
이건데...
호테님 답변이
옛날에는 식물구분이 엄격치 않아서
굵은 나무 아니면
죄다 그냥 풀로 본 게 아니냐?
이게 쫌 그럴듯 하던데요 ㅋㅋㅋ
방장님이 준 숙제라
마지못해서 페이지를
채운 줄로 알고 계셔요 ㅋ
@호 태 막걸리와 감자탕요?ㅋㅋ
@아사코
어허~ 우리끼리만 알고
모른척 덮어 둡시다요 ㅋ
@호 태 방장님이
양주 한 병쯤 상품으로 내건다면
싸그리 다 외울 수 있는데요ㅋㅋ
@아사코
봤다면 양주 주실거요 ㅎ
그런데 정작 중국에서는
우리가 아는 번체가 아닌,
새로이 만든 간체를 사용하고 있다는군요.
오히려 더 이해하기 힘들더군요.
간체.....나빠요....ㅎㅎ
그나저나 한자풀이에 인수분해도 나오고~
역시 한자 잘 알려면 수학도 잘해야 할듯요..
대만 가신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게네들이 쓰는 한자는 무슨놈의 획수가 그리 많은지..
글쓰다가 숨 넘어 갈듯요..
요즘
男子탕이라 부르고
실제맛은 남다른 감자탕이 뜨고 있더라구요ㅎ
감자탕과 막걸리는
벌어논 당상입니다요
한자에 대해선 빠삭하신 양반이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