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주로 판소리나 민요, 산조, 시나위 등에서 사용되는 장단으로, 일정한 틀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연주됩니다. 주로 시나위와 산조반주에 쓰이는 진양, 중모리, 엇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등은 장단의 이름이 그대로 곡의 이름이 되어 곡명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본래는 빠르기가 다른 각 장단을 나타내는 말로 진양에서 휘모리로 갈수록 장단의 속도가 빨라집니다. 정악장단에 비해 잔가락을 많이 사용하는 것이 민속악 장단의 특징이며 민요에 서 가장 많이 쓰이는 장단으로는 세마치와 굿거리가 있습니다. 특히 민속악 장단은 음악의 흐름에 따라 여러 가지 변형장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
 |
전라도 지방의 사투리로 '긴 것'의 '긴'을 '진'으로 발음하지요. 진양조는 '진 조' 즉 '긴 조'로 그 속도가 몹시 느린 장단입니다. 한 장단은 6박자가 넷이 모인 24박자가 한 단위가 됩니다. |
박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구음 |
덩 |
- |
- |
- |
기덕 |
덕 |
- |
덕 |
쿵 |
- |
- |
- |
기덕 |
덕 |
- |
덕 |
박자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구음 |
쿵 |
- |
- |
- |
덕 |
덕 |
- |
덕 |
- |
덕 |
쿵 |
- |
- |
- |
쿵 |
쿵 |
- |
쿵 |
- |
쿵 |
|
|
|
 |
중간의 속도로 모는 장단으로 한 장단 4분음 12박자입니다. |
박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장단부호 |
|
- |
|
- |
|
|
|
- |
|
- |
|
|
구음 |
덩 |
- |
덕 |
- |
덕더 |
덕덕 |
쿵 |
- |
덕 |
- |
덕더 |
덕덕 |
서양식 표현 |
| |
|
|
 |
중모리를 조금 더 빠르게 연주하는 8분음 12박자입니다. |
박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장단부호 |
|
- |
|
|
|
|
|
|
|
|
- |
|
구음 |
덩 |
- |
덕 |
쿵 |
덕 |
덕 |
쿵 |
쿵 |
덕 |
쿵 |
- |
쿵 |
서양식 표현 |
| |
|
|
 |
본래 자진모리의 <자진>은 <잦다, 빠르다>는 뜻입니다. |
박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장단부호 |
|
- |
- |
- |
- |
- |
- |
- |
|
|
|
- |
구음 |
덩 |
- |
- |
- |
- |
- |
- |
- |
덕 |
쿵 |
덕 |
- |
서양식 표현 |
| |
|
|
 |
빠른 속도의 장단입니다. |
박자 |
1 |
2 |
3 |
4 |
장단부호 |
|
- |
|
|
|
|
|
- |
구음 |
덩 |
덕덕 |
읏덕 |
읏 |
서양식 표현 |
| |
** 읏은 장구 북편을 왼속으로 막고 손가락으로 살짝 짚어 주는 것을 말한다. |
|
|
 |
5박입니다. 3박과 2박의 혼합박이죠. |
박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장단부호 |
|
- |
|
|
- |
|
- |
|
|
- |
구음 |
덩 |
- |
덕 |
쿵 |
- |
쿵 |
- |
덕 |
쿵 |
- |
서양식 표현 |
| |
|
|
 |
굿거리 장단은 한 장단에 완전 두 동작을 하게 되어 경쾌하거나 건둥건둥 하는 동작에 알맞은 장단입니다. 궁중무에는 전혀 쓰이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
박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장단부호 |
|
- |
|
|
|
- |
|
- |
|
|
|
구음 |
덩 |
- |
기덕 |
덩 |
더러러러 |
- |
쿵 |
- |
기덕 |
쿵 |
더러러러 |
서양식 표현 |
| |
|
|
 |
9박계통의 장단입니다. |
박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장단부호 |
|
- |
- |
|
- |
|
|
|
- |
구음 |
덩 |
- |
- |
덕 |
- |
덕 |
쿵 |
덕 |
- |
서양식 표현 |
| |
|
|
 |
▶▶▶ |
장구의 오른편을 채편이라하고 왼편을 궁편이라 합니다. 왼쪽 궁편은 손바닥으로 치거나 궁굴채로 치고, 오른쪽 채편은 대나무로 만든 채로 칩니다. 정악에서는 궁편은 손바닥으로 치고 채편은 채로 칩니다. 민속악에서는 정악에서 궁편을 손바닥으로 연주하는 경우와 궁굴채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궁굴채를 사용할 경우는 장구의 크기가 조금 작고 소리가 큰 것으로 연주합니다. |
◀◀◀ |
명칭 |
부호 |
구음 |
서양식표현 |
연주방법 |
합장단 |
|
덩(떵) |
|
채편과 북편을 동시에 치는 것 |
채편 |
|
덕 |
|
채편을 치는 것 |
북편 |
|
궁(쿵) |
|
궁편을 치는 것 |
굴림채 |
|
더러러러 |
|
채편을 굴리는 것 |
겹채 |
|
기덕 |
|
채편을 겹쳐 치는 것 |
찍음채 |
|
더 |
|
채편을 찍는 것 | |
| | |
첫댓글 좋은 정보입니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