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Z세대의 럭셔리사랑으로 온라인 럭셔리 플랫폼의 매출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MZ Generation flexing muscles behind booming luxury brand market
럭셔리 브랜드시장이 붐을 일으키는 배경에는 MZ세대의 과시욕
By Lee Gyu-lee 이규리기자
Posted : 2021-12-02 15:34Updated : 2021-12-02 15:38
Korea Times
Personal luxury goods market continues to expand despite pandemic
개인 럭셔리 시장은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성장
While COVID-19 has dealt a blow to almost every industry worldwide, bringing chaos and economic recession, the personal luxury goods market in Korea has shown an unusual pattern.
코비드19가 전세계의 모든 산업분야에 혼란과 경제적인 침체를 가져온 가운데 한국의 개인 럭셔리 시장은 특별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
Unfazed by the pandemic, it has set itself apart from the general economic slump with steady growth.
팬데믹에 동요하지 않고 일반적인 경제적인 침체와는 달리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주었다.
According to the global research firm, Euromonitor International, the country's personal luxury goods market has managed to weather the pandemic-caused economic crisis, with its value reaching $12.5 billion in 2020, showing little change from the previous year's $12.52 billion. The figure was $12.24 billion in 2018.
세계적인 조사기관인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에 의하면 한국의 개인 럭셔리시장은 2020년 125억 달러의 매출을 달성해서 저년도의 125억 2천만달러에 비해 거의 변화가 없어서 팬데믹에 의한 경제위기를 극복했다. 2018년의 매출액은 122억 4천만 달러였다.
This situation is in stark contrast to the fact that the global personal luxury goods market value suffered a 23-percent drop during the same period ― from $318.6 billion in 2019 to $246 billion in 2020 ― which saw Korea taking up an even greater portion of the market.
이 상황은 세계의 럭셔리 시장이 같은 기간에 23%의 매출감소를 보인 것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2019년 3,186억 달러에서 2020년 2460억 달러로 감소했고 한국은 전체시장에서 더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Buoyed by these booming luxury goods sales, Korea's online channels for luxury brand shopping have also seen a boost, with new platforms emerging and existing ones stepping up their game in the heated competition.
이러한 럭셔리 판매의 붐과 함께 한국의 럭셔리 쇼핑의 온라인채널은 가열되는 경쟁속에 기존의 사업자들과 새로 출현한 플랫폼과 함께 확대되었다.
Online sales made up about 10.6 percent of the luxury market, compared to 8.6 percent in 2016. In 2020, the market for online luxury goods shopping had an 11-percent jump from the previous year, estimated at 1.6 trillion won ($1.34 billion).
럭셔리 시장에서 온라인 매출 구성비는 2016년 8.6%에서 10.6%로 증가했다. 2020년에 온라인 럭셔리 매출은 전년보다 11% 상승하여 1조 6천억원(13억 4천만달러)으로 추산된다.
Suh Yong-gu, a professor of management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explained that the luxury goods market has been expanding, owing to the so-called MZ Generation ― a newly coined term referring to both Millennials (born 1981-1995) and Generation Z (born 1996-2005) ― consumers.
숙명여대 경영학과 서영구 교수는 MZ 세대 – 밀레니얼(1981년생부터 1995년생) 과 Z 세대(1996년부터 2005년생)를 말하는 새로운 용어 – 소비자들 때문에 럭셔리 상품시장은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The majority of consumers for the luxury goods market are the MZ Generation. Their purchasing power, finance and income might not be sufficient to conveniently afford these goods. But compared to the older generation, they favor luxury goods and are more inclined to make purchases," the professor told The Korea Times.
“럭셔리 시장의 주류소비자는 MZ 세대이다. 그들의 구매력, 수입과 금융능력은 이러한 물건을 구매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기성세대에 비교하면 그들은 럭셔리 제품을 선호해서 훨씬 더 구매를 하게 된다.”고 교수는 코리아 타임즈에 말했다.
"The reasons behind it include the splurging, the flex consumption trend, and the revenge spending pattern due to frustrations from the pandemic, such as not being able to travel abroad," he explained. "Flex" is a slang term coming from hip-hop music, meaning to "show off," and "flex consumption" refers to buying expensive goods to flaunt an extravagant lifestyle.
“그 이유로 사치, 과시소비 트렌드, 해외여행을 할 수 없는 것 과 같은 팬데믹에 의한 좌절에 대한 보복소비 등이 있다.” 고 그는 설명했다. “Flex”는 사치스러운 라이프스타일을 과시하기위해 비싼 물건을 사는 것을 뜻하는 “보여주기”, “과시소비” 를 의미하는 힙합음악에서 온 속어이다.
To grab a piece of the burgeoning market, conglomerates are quickly jumping in to secure their own channels for online luxury goods shopping. 급성장하는 시장을 진입하기위해 재벌들은 신속하게 온라인 럭셔리 상품 쇼핑에 자사 유통망을 확보하기위해 신속하게 조치를 취하고있다. Lotte Group's subsidiary, Lotte Duty Free, opened its first online luxury shopping platform, "Sogong 1st Ave," earlier this month. The online duty-free service became home to about 30 high-end luxury and designer brands, such as Valentino, Moncler, Alexander McQueen and Fendi. 롯데그룹의 자회사, 롯데 면세점은 이달 초 “소공 1번가”라는 온라인 럭셔리 플랫폼을 시작했다. 이 온라인 면세점은 발렌티노, 몽클레어, 알렉산더 맥퀸, 펜디 등 30개 럭셔리 브랜드를 판매하게 되었다. Tech giants Naver and Kakao have been adding more diverse luxury brand goods on their e-commerce platforms. 거대 테크 기업 네이버와 카카오도 그들의 이 커머스 플랫폼에 다양한 브랜드를 추가하고있다. Naver launched a new category dedicated to luxury goods on its Naver Shopping platform this July, and Kakao has been opening up official brand stores, such as Tiffany & Co. and Mulberry, within its e-commerce service. 네이버는 지난 7월 네이버 쇼핑플랫폼에 럭셔리 상품을 새로운 부문으로 추가했고 카카오는 자체 이커머스 서비스에 티파니, 멀머리 등의 공식 브랜드 스토어를 개점했다. Leading menswear online shopping platform Musinsa rolled out an in-app boutique in June to enable its users to shop specifically for luxury brands, curated by the service. 선두 남성복 온라인 플랫폼인 무신사는 6월에 인앱 부티크를 열어서 사용자들이 무신사가 자체 큐레이팅한 럭셔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했다. Professor Suh noted that such diversified channels to supplying luxury goods have triggered a cycle of increased supply and demand. 서교수는 이러한 럭셔리 상품의 다양한 유통채널은 수요와 공급 사이클의 증가를 유발했다고 말했다. "In the past, for most cases, people had to go to a department store and, oftentimes, wait in a line to purchase luxury goods," he said. "But as supply channels have diversified, the supply has contributed to a further increase in demand, which eventually leads to an even greater expansion of its supply chain." “과거에는 대부분 사람들은 백화범에 가서 럭셔리 상품을 사기위해 줄을 섰다.” 그는 말했다. “그러나 공급망이 다양화하고 공급은 수요를 증가 시켰고 결국 공급망 사슬의 대폭 확대를 유발했다.” |
Amid the growing competition, the existing luxury and designer brand online platforms, such as Mustit, Trenbe, Balaan and Catch Fashion, are forging a way to secure their slice of the business, using big-name stars as brand models.
증가하는 경쟁속에 머스트잇, 트렌비, 발란, 캐치패션 과 같은 온라인 럭셔리 디자이너 브랜드 온라인 플랫폼은 브랜드 모델로 유명스타를 활용해서 자신의 비즈니스를 구축하고있다.
Mustit started a marketing campaign with the Netflix series "Kingdom" star, Ju Ji-hoon, in August. The company revealed that it has earned 32 billion won ($27 million) during the month after the campaign's launch, and the number of newly registered users increased by 66 percent, compared to the previous month.
머스트잇은 8월에 넷플릭스 시리즈 “킹돔”의 스타 주지훈과 함께 마케팅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 회사는 캠페인을 시작한 후 월매출을 320억원 (2천7백만 달러) 달성했고 전월대비 66%의 사용자가 증가했다.
The platform, which was founded in 2011, saw a huge jump in its transactions over the past two years, from 95 billion won in 2018, to 150 billion won in 2019, then to 250 billion won ($210.7 million) in 2020, according to the company.
2011년에 설립된 이 플랫폼은 2018년 950억원, 2019년 1,500억원, 2020년 2,500억원(2억천7십만달러)의 매출로 지난 2년간 대폭 증가를 보였다.
Catch Fashion has seen a 183 percent spike in new users during the month following its featuring of actor Jo In-sung in its brand campaign in September. Trenbe, advertised by actress Kim Hee-ae, also saw an increase in monthly transactions by about 4.2 billion won compared to the previous month.
캐치 패션은 9월에 조인성을 브랜드 캠페인에 활용한 후 한달에 새로운 사용자가 183% 증가했다. 김희애가 광고하는 트렌비는 전달대비 월매출이 42억원 증가했다.
A frequent online buyer of luxury goods, surnamed Kim, remarked that the platforms' marketing increases the reliability of shopping online for high-priced goods, which shoppers previously preferred to purchase in person.
럭셔리 상품을 온라인에서 자주 구매하는 김씨는 종전에는 대인 구매를 하던 사람들이 플랫폼의 마케팅 증가로 온라인으로 고가상품을 구매하는 경향을 증가시키고 있다고 했다.
"Those platforms try to ensure their products are authentic and advertise that they will reimburse people for any counterfeited goods. So I can put my trust in these services when making purchases," Kim said.
“이러한 플랫폼들은 상품이 진품임을 확인해주고 가짜상품을 살 경우 환불해줄 것을 보장했다. 그래서 나는 구매할 때 이러한 서비스를 신뢰할 수 있다.” 고 김씨는 말했다.
"Shopping online is convenient because I don't have to wait in line, and some of the platforms will also offer promotional discounts… more recently, I can easily find most of the goods that sell offline on those online platforms, so now I don't really feel the need to buy them offline."
“온라인 쇼핑은 줄을 설필요가 없어서 편리하고 최근에 일부 플랫폼은 할인을 한다. 나는 오프라인에서 파는 대부분의 상품을 온라인에서 살 수 있기 때문에 오프라인에서 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As the online shopping market for the sector grows, investment in those platforms is also flowing in. The total investments that four platforms ― Mustit, Trenbe, Balaan and Catch Fashion ― have secured adds up to over 150 billion won.
온라인 쇼핑시장이 성장하면서 플랫폼에 대한 투자도 증가하고있다. 4개 플랫폼 – 머스트잇, 트렌비, 발란, 캐치패션 - 에 대한 투자가 1,500억원을 넘었다.
Balaan raised 32.5 billion won in a Series B round last month, raising its total funding to 48.5 billion won. Trenbe collected 40 billion won, Catch Fashion 38 billion won, and Mustit 28 billion won.
발란은 지난달 시리즈B 로 325억원의 투자를 받아서 총투자액이 485억원이 되었다. 트랜비는 400억을, 캐치패션은 380억원, 머스트잇은 280억을 받았다.
Yet, despite the thriving business, Professor Suh says that the personal luxury goods market might face a pullback in a post-pandemic world.
비즈니스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서교수는 팬데믹 이후 개인 럭셔리시장이 침체될 수 있다고 말했다.
"One thing we need to consider is that, as we go into the post-pandemic world, when people can travel overseas with no restrictions and have more access to stores for shopping offline, they might not shop as much online, unless the goods are cheaper," he said.
“한 가지 고려해야할 점은 팬데믹이 끝나고 제한없이 해외여행을 하고 더 많이 오프라인 시장에 간다면 가격이 싸지 않으면 온라인에서 구매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라고 그는 말했다.
"This means that the rate of growth in the industry might not be as high as it is now. However, regardless of that, overall luxury consumption will continue to grow, as the MZ Generation shows a strong preference for and knowledge of high-end brand goods."
“이 점은 이 산업의 성장율이 지금처럼 높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전체적인 럭셔리 소비는 MZ 세대가 고가브랜드에 대한 지식과 강한 선호를 보이면서 계속 증가할 것이다.
#MZ 세대 #온라인 럭셔리 플랫폼 # Mustit #Trenbe #Balaan #Catch Fash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