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퍼(woofer) 저음용 스피커. 주로 30㎐~400㎐정도의 저음역을 재생하기 윟나 스피커를 말한다.
백색 잡음(white noise) 어떤 주파수 대역 내의 모든 주파수가 포함되어 잇는 잡음을 말한다. 백색 잡음은 주파수와 그 성분의 비율 관계가 정규 분포에 따르기 때문에 가우스 잡음이라고도 한다.
웨이퍼 스피커(wafer speaker) 높은 오디오 주파수 재생에 이용되는 압전 현상을 이용한 스피커.
VU 미터(VU meter) volume unit의 약어이다. VU미터는 피크미터와는 달리 물리 음향과 청감 음향이 비교적 일치되도록 개발한 음량계이다. 음량 지시는 평균 프로그램 레벨을 나타내며 피크값의 측정은 불가능하다.
단일 지향성 마이크폰(uni-directional microphone) 배면과 측면에서 오는 소리에 대해서는 감도가 낮은 마이크로 폰이다.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은 주위의 소음과 간섭음이 담기지 않는 것이 특징인데, 음원에 가까이 접근하면 저음이 강조 되는 근접 효과가 있고, 바람이나 진동 등의 잡음에 약하다.
트위터(tweeter) 고음 재생용 스피커. 단독으로 거의 사용하지 않고 항상 두개 이상의 스피커를 조립해 사용한다. 트위터에 가해질 높은 주파수를 분리하기 위해 크로스 오버 회로를 사용한다.
음색(timbre) 소리를 들었을 때에 생기는 기본적인 심리적 인상의 하나. 소리의 크기와 높이가 같은 경우라도 두 개의 소리가 다르게 느꺼질 때 음색이 다르다고 한다. 음색은 소리의 3요소 이외의 심리적 인상을 포함하는 복잡한 개념이다.
최소 가청값(threshold of hearing) 소리로서의 감각을 느끼는 최소의 음압. 음압은 주파수에 따라 다르지만 정상적인 청력을 지닌 사람의 경우, 귀의 감도에 가장 좋은 것은 2000~3000㎐부근의 순음이고 1000㎐에서의 최소 가청값을 0dB로 규정하고 있다. 이 음압은 약한 바람에 날리는 가랑잎 소리 정도이다.
최대 가청값(threshlid of hearing)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최대 가청값 이상되는 소리가 되면 소리에 대한 감각 이외의 감각. 예를 들면, 통증 등을 느끼는 음압은 대강 120~130dB의 범위인데 이 음압은 50마력의 사이랜소리 정도가 된다.
스레숄드(threhold) 컴프레서, 리미터, 노이즈 게이트 등 이펙터의 입력 신호가 어떤 레벨에 도달해서 동작을 개시하는 수치를 스레숄드 레벨이라고 하며, 그 개시점을 스레숄드 포인트라고 한다. 출발점. 한계.
테이프 레코더(tape recorder) 녹음기, 오디오 주파수대의 정보 기록을 위한 장비, 고리는 전기적 에너지로 변화되어 자기 테이프상에서 적응이 자기 패턴을 형성한다. 이러한 자기 패턴은 재생시 다시 전기 신호로 변화되어 소리로 바꾼다.
테이프(tape) 여기서는 자기 테이프를 말한다. 자기 테이프는 여러 종류로 분류되는데, 편의상 산단하게 테이프라고 호칭한다. 테이프는 미세한 철분인 산화철로 된 분말을 필름에 코팅한 것이다. 테이프는 재질에 따라 노멀, 크롬, 메탈 등으로 구분되며 각각 쓰임새가 다르다.
스테레오 마이크로폰(stereo micrphone) 동축 마이크. 하나의 마이크로폰 몸체에 지향성을 달리 한 2개(LR)의 콘덴서 마이크로폰을 내장시킨 마이크로폰.
분배기(splitter) 하나의 입력 신호 에너지가 둘 혹은 그 이상으로 나뉘는 디바이스(device)
스피커 클러스터(speaker cluter) 수많은 스피커를 하나의 무리로 엮은 스피커 시스템. 예를 들면, 홀의 무대 중앙에 매단 것을 센터 클러스터라고 한다.
음압 레벨(SPL-sound pressure level) 음압의 대소를 나타낼 때는 어떤 기준의 음압을 정하고 그에 대한 비를 데시벨로 나타내는데 이값을 음압 레벨이라고 한다.
사운드 필드(sound field) 음장. 소리의 존재로 인한 매질의 진동이 주위로 전파되어 음파가 존재하게 되는 공간.
사운드(sound) 음향. 모든 음질에 의해서 전파될 수 있는 음성 주파수 범위.
솔로(solo) 클래식 음악에서는 독주와 독창을 가리킨다. 포퓰러와 록에서는 간주에 연주되는 기타와 키보드, 색스폰 등의 애드리브 솔로를 말하며, 재즈에서는 테마를 연주한 후의 여러 악기의 애드리브 솔로를 말한다.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①오디오 신호출력 레벨 대 주변 노이즈 레벨의 비. ②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장비로부터 나오는 신호와 노이즈 출력대 신호 입력이 없을때의 노이즈 출력의 비로 나타내며 특정한 상태에서 측정되어 보통 dB로 표시한다. S/N비.
실드(shield) 전기적으로 피부막이란 말이다. 불필요한 전차나 자기를 차단하여 잡음을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마이크로폰 케이블, 오디오 케이블 등
셀빙 타입(shelving type) 이퀄라이저의 특성 커브 패턴의 하나. 어떤 주파수를 경계로 하여 그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과 낮은 주파수 대역이 신호 레벨을 증감 시키는 타입. 비교적 넓은 대역의 레벨을 증감하기 때문에 세밀한 소리는 만들 수 없다.
세션(ession) 합주. 또 연주자 등이 모여서 임시적으로 연주와 밴드 활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스튜디오 세션과 라이브 세션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시퀀서(sequencer) 일정한 동작은 연속적으로 하는 장치. 신시사이저의 주변 기기로서 자동 연주를 하는 장치를 말하낟. 아날로그 타입의 아날로구 시퀀서와 디지털 타입의 디지털 시퀀서로 분류한다. 아날로그 시퀀서는 제어 출력에 KCV와 게이트 신호를 가지며 자동 연주를 위해 입력 수단이 볼륨으로 되어있다. 음정은 볼륨의 위치로 정하며 이 때문에 세트되는 음부의 수는 12에서 64음이 보통이다. 한편, 디지털 시퀀서는 입력 수단이 디지털 IC를 사용해서 수치로 하기 때문에 대량의 음부를 입력할 수 있다. MIMI 신시사이저용의 시퀀서는 MIMI의 노트 온/오프의 정보를 출력해서 MIMI ls사이저의 소리를 내고 있다. MIMI 시퀀서는 컴퓨터가 내장되어 있어서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대규모적인 자동 연주도 가능하다.
레인지(renge) 범위, 폭이란 의미. 다른 말과 같이 쓰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소리의 크기의 폭은 다이나믹 레인지, 주파수의 폭은 프리켄시 레인지라고 한다.
음색(quality) 음파의 진폭과 소리의 진동수가 같아도 악기에 따라 그 구별이 되는 것은 음색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것은 음파의 고주파 성분의 분포가 다르기 때문이다.
현장감(presence) 스테레오 등에서 소리를 고충실도로 재생했을 때 공간적인 퍼짐이나 원근감이 우너음에 충실하여 그 장소에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것을 말한다. 이 현장감은 공간감에 큰 영향을 받으므로 초기 반사음에 크게 좌우된다. 서라운드 효과란 바로 이 초기 반사음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현장가믕ㄹ 높인 것을 말한다.
지향 특성(polar patterns) 마이크폰의 지향성은 기본적으로 무지향성과 양지향성으로 분류되는데, 이 두 특성을 조합시켜 여러 가지의 지향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즉 단일 지향성, 초지향성 등.
피치(pitch) 일반적으로 소리의 높이르 ㄹ말한다. 이 소리의 높이는 각 소리의 진동수에 의해서 결정되며 진동수가 많으면 높은 소리가 되고 또 적으면 낮은 소리가 된다.
핑크 노이즈(pink noise) 옥타브 대역당 일정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3dB/옥타브로 필터된 노이즈. 핑크 노이즈는 모두 주파수의 성분이 포함된 노이즈의 일종이다. 실내의 음행 특성 등의 측정에 사용한다.
위상 잡음(phase noise) 열산란 잡음 등이 1차 잡음이라 한다면 위상 잡음은 발진, 변조 회로 등에서 불규칙적인 시스템 동작에 의해서 시스템 내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스펙트럼이 교란을 받아 발생되는 2차성 잡음이다.
페이스(phase) 위상. 동일 주파수의 두 파형 사이의 관계. 즉, 위상 변위는 각도차로 표현되는데, 주기가 완전히 일치되면 두 주파수는 "in pfase"되었다고 한다.
피크 미터(peak meter) 입력의 평균 레벨을 나타내는 VU미터에서 관측할 수 없는 순간적인 피크 레벨에 대하여 예민하게 감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눈금의 단위는 데시벨로 나타내고 피크 미터의 -5dB는 VU미터의 0VU에 해당된다. 피크 프로그램 미터라고 한다.
피크(peak) 최대값. 음량과 전력의 최대값으로서 파형으로 표시한 경우는 파고값을 말한다. 특히, 오디오 신호에 관해서는 VU미터에서 나타나지 않는 순간 최대값을 말한다. 또 이것과 별도로 스피커 등 기재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에 특정의 주파수가 특히 강한 상태를 지칭해서 사용한다.
파라메티릭 이퀄라이저(parametric equalizer) 주파수의 대역폭을 조정할 수 있는 이퀄라이저. 중심 주파수를 자유롭게 설정하므로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며 또 그래픽 이퀄라이저에 비해서 작은 포인트 수로 넓은 주파구 대역을 커버할 수 있다. 반면 이퀄라이저의 상태를 시각적, 감각적으로 잡기는 어렵다. 커트/부스트, 중심 주파수외, 설정한 주파수를 중심에 어느 정도 범위의 주파수를 변화시킬 것인가를 정하는 Q라고 부르는 파라미터를 지닌 것이 많다.
팬(pan) 음상의 정위. 또는 정위를 결정하는 파라미터. 모통 레코딩에서는 최종적으로 스테레오로 믹스 다운하는 경우에 믹싱 콘솔의 팬포트로 각 악기의 정위흫 정하는데, 최근의 멀티음원을 사용한 DTM(desk top muise system)에서는 MIDI의 파라미터로 정위를 정하게 된다.
패드(PAD) 신호 선로상에 설치되는 저항 회로망으로 필요한 만큼 감쇠, 임피던스 정합과 관련된 감쇠 또는 두 지점간의 절연도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PA(piblic address) 공항이나 큰 집회 장소에서의 안내 방송과 연회장, 강단, 세미나 장소에서 스피커로 쓰는 확성 장치로, 청중들에게 들려주는 오디오 시스템을 말한다. 최근에는 PA와 SR을 확실히 구분하고 있다. SR은 PA보다 한 단계 위하고 할 수 있는 공연장의 음악 확성 등을 말한다.
옴(ohm) 전기 저항의 실용 단위로서 기로는 [Ω]을 사용한다.1Ω이란 1A의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도체의 2점간의 전압이 1V일 때 그 2점간의 저항의 크기를 말한다.
오프 마이크(off mic) 음원에서의 거리를 떨어져서 마이크로폰을 세트하는 것. 현장감이 있는 소리를 녹음할 때 사용한다. 온 마이크와 병용하는 케이스가 많다. 이 것은 온 마이크로 클리어한 직접음을 수음하고 오프 마이크에서는 잔향음을 수음하는데 쓰인다.
노치 필터(north filter) 주파수 대역 제거 필터. 때로는 단일 주파수 제거용으로 쓰인다. 특정의 주파수에서 급격한 감쇠 특성을 가지고 있는 필터.
노멀 테이프(normal tape) 노멀 테이프는 기본 자성 재료로 침상산화철(Fe203)을 사용하며 일반 회화 녹음이나 어학 녹음용으로 사용된다.
노이즈 리덕션(noise reduction) 테이프의 히스 노이즈와 이펙터의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이펙터. 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기 전에 가공하여 재생시에 원상태로 되돌려 놓는 데 의해서 노이즈 성분만을 저감시키는 엔코드/디코스 타입(돌비 B, C타입과 dbx)과 단순히 악기 등으이 출력단에 접속하는 노이즈 타입의 것과 대별한다.
노이즈 게이트(noise gate) 입력 신호가 설정치(스레숄드) 이하가 되면 소리를 통과시키지 않는 이펙터, 원래는 레코딩과 라이브 스테이지에서 악기와 접속한 이펙터의 최종적인 출력단에 연결하여 신호가 없을 때(무음시) 노이즈를 커트하기 위한 것이었는데, 1980년대부터 드럼의 앰비언스와 리버브를 노이즈 게이트를 사용해서 인위적으로 커트하는 게이트 리버브의 테크닉이 개발되었다.
멀티트랙(multi track) 스테레오 2채널 외 즉, 4개 이상의 신호를 기록하는 테이프 레코더 트랙을 말하는데, 보통 4, 8, 16,24, 32, 48 트랙이 있다.
멀티 이펙트(multi track) 딜레이, 리버브, 코러스 등 여러 가지 이펙터가 내장되어 있는기기.
모듈(module) 장비의 일부분으로서 내부 접속된 구성 부분의 집합체. 모듈은 접속부를 분리시킬 수 잇고 유니크와 같이 탈팔이 가능하다.
믹서(mixer) 여러 종류의 마이크로폰 출력을 혼합하여 하나의 출력 신호를 얻는 장치. 또는 그것을 조작하는 엔지니어.
미디(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의 약어. 전자 악기, 음향 기기등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마이크로폰(microphone) 음향 에너지인 음압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은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마이크로폰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편재는 콘덴서형과 다이나믹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다이나믹형은 습기와 충격, 음압에 강하지만 일반적으로 특성이 좋지 못하며, 콘덴서형은 소형화가 되고 특성이 좋지만 습기와 충격, 그리고 잡음에 약한 것이 흠이다. 요약해서 마이크라고 한다.
메트로놈(metronom) 박절기. 악곡의 박자를 측정하거나 템포를 지시하는 기계.
메탈 테이프(matel tage) 메탈 테이프는 고감도의 초미립 순철(Fe)을 기본 자성 재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노멀 테이프나 크롬 테이프보다 높은 주파수 특성으로 기록할 수 있는 특징이다. 약 1000에스테드의 항자력, 3000가우스 정도의 우수한 잔류 자속 밀도를 지니고 있다.
매칭(matching) 정합. 신호 전송로에서 최대 출력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 매칭의 기본적인 원리는 신호원이 내부 저항을 지니고 있어 최대 출력 전송을 위해서 부하는 신호원의 임피던스와 같아야 한다. 능동 소자가 포함되어 있는 곳에서는 입력과 출력 임피던스는 상당히 다르다. 입력 임피던스는 신호원에 매칭되어야 하며 출력 부하는 출력 임피던스에 매칭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믹서 출력 임피던스가 600Ω의 경우는 앰프의 입력 임피던스도 600Ω이 되도록 한다.
마스터링(mastering) 마스터 테이프로 마무리하는 작업, 예를 들면, CD키팅용의 마스터 테이프가 되면 곡간을 정리하고 악곡의 시간 정보와 프로그램 넘버(곡번) 정보를 기록하는 것 등을 말한다.
메인 앰프(main amplifier) 프리 램프 등의 출력을 증폭하여 스피커 시스템 또는 선로로 보내기 위해 쓰이는 장치이다. 대단히 큰 출력에 대해서도 디스토션이 없도록 만들어져 잇으며 보통 수100~수1000W의 출력이 얻어진다.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 아세테이트나 폴리에스텔 등을 도포한 것으로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잔류 자속 밀도로 변환하여 기록해 놓고 필요할 때 이것을 재생하여 원래의 신호를 살리도록 한 테이프를 말한다.
저역 필터(low pass filter) 주파수의 저역 부분을 통과시키는 필터. 약해서 LPF라 한다.
저주파(low frequency) 보통 20∼20, 000㎐의 가청 주파수를 가리키며 고주파에 대해 일반적으로 낮은 주파수를 말한다. 오디오 주파수라고도 한다.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 진동용의 콘지와 혼을 진동시켜 귀로 들을 수 없는 전기 실호를 공기 진동에 의해 들을 수 있도록 한 변환기. 그 진동판의 타입에 의해서 콘 스피커 등의 종류가 있다.
롱 패스 에코(long path echo) 긴 거리를 전달해서 도달하는 반사음. 홀과 경기장 등의 넓은 장소에서 발생하기 쉽다. 지연 시간이 길어서 직접음과는 확실히 별도로 들리므로 스피치와 연주를 방해한다.
루프 타임(loop time) 에코 머신과 샘플링 머신에서 루프를 행하는 부분의 시간. 루프가 일순할 때까지의 소요시간. 에코 머신은 리피트 타임으로 조정하며 샘플링 머신은 관계 파라미터의 설정으로 조정한다.
라이브 레코딩(live recording) 콘서트 홀에서의 녹음을 말한다. 홀에서의 다이렉트한 소리를 2채널 스테레오로 녹음하는 방법과 악기마다 마이크로폰을 세트하여 멀티테이프 레코더에 각각 별도로 녹음하여 나중에 스튜디오에서 믹스 다운하는 방법이 있다.
라인 필터(line filter) 전선에 함유된 여러가지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필터. 기본적으로는 코일과 콘덴서로된 로 패스 필터이다.
리미터(limiter) 신호의 최대 레벨을 설정한 레벨까지 억제하는 장치, 녹음시에 규정 이상의 신호가 테이프 레코더에 들어가는 것을 막고 PA에서는 대신호에 의해서 스피커가 파손되는 것을 막는다.
레벨 미터(level meter) 저주파 전송 선로의 신호 레벨 등을 측정하는 계기로서 표준 가변 저항기, 증폭기, 지시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시계는 0.775V 또는 0.274V를 0 dB한 데시벨 눈금이다.
인버터(inverter) 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반전기.
인스트루먼트(instrument) 악기. 본래는 도구를 말하는데, 엄밀히 말하면 뮤지컬 인스트루먼트라고 한다.
임피던스(mpedance) 직전류, 또는 음성 신호 등의 교류를 흘렸을 경우,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을 말하며 기호는 [Ω]을 사용한다.
허밍(humming) 입을 다물고 코로 소리를 내어 노래 부르는 창법. 어레인지 상에는 발라드 계통 곡의 인트로와 앤딩에서 멜로디로 쓰인다.
헤드(hsad) 테이프 레코더, 카세트 텍과 DAT 등 테이프와 직접 접촉하여 저오를 읽는 부분을 헤드라고 한다. 헤드는 확실한 음질을 길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한달에 한 번쯤 간단한 메인티넌스를 하는 것이 좋다.
하모나이저(harmonizer) Eventide사가 개발한 피치 트랜스 포저이다. 최근에는 피치뿐만 아니라 딜레이, 리버브도 내장되어 나온다. 피치 트랜스 포저는 입력된 신호를 디지철 처리하는 데 의해서 그 음정을 자유로 변화시키는 이펙터이다. 피치를 약간 어긋나게 한 신호를 원음에 혼합하면 코러스, 더블링적인 효과 외, 원음에 5음도를 부가한다든지 남성을 1옥타브 올려서 여성과 같은 소리를 만든다든지 여러 가지로 응용하고 있다.
그래픽 이퀄라이져(graphic epualizer) 들을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몇 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해하여 각각의 대역마다 레벨을 슬라이드 볼륨이 그래픽한 모양으로 늘어져서 특성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데서 그래픽 이퀄라이져라고 부른다.
게이트(gate) 전기 신호를 통과시키기도 하고 차단하는 회로를 게이트 회로라고 하는데, 이 기능을 게이트라고 부른다. 게이트 회로는 게이트를 개폐하는 전압이 필요하며 이 전압을 게이트 전압이라고 한다. 또는 노이즈 게이트(noise gate)의 약칭.
폴 레인지 스피커(full rasge specaker) 고역, 중역, 저역 전체의 대역을 하나의 유닛으로 재생하는 스피커, 전대역을 하나의 포인트에서 재생하는 타입의 것이 정위감이 좋다. 싱글 콘형, 더블 콘형, 콕셜 스피커 등의 종류가 있다.
필터(illter)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전력만을 통과시키고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전력은 통과시키지 않는 주파수 선택성을 가진 전송 회로망을 말한다. 필터는 필요한 특성에 따라서 지역 필터, 고역 필터, 대역 소거 필터가 있다.
피드백(feedback) 궤환. 출력의 일부를 입력에 되돌려 보내는 것을 말하는데, 노이즈와 디스토션을 개선하기 위해서 응용된다. 전송계에서 출력의 일부를 입력측으로 되돌려 보내는 것으로서 입력과 동위상으로 가하는 것을 정궤환, 역위상으로 가하는 것을 부궤환이라고 한다. 정궤환의 경우는 궤환을 걸지 않을 때보다 출력은 커지지만 궤환량이 많으면 발진을 일으킨다. 부궤환은 이득은 감소되지만 디스토션이 개선되고 안정도를 높이므로 궤환 증폭기 등에 응용된다.
페이드(fade) 믹싱 콘솔의 각 채널의 볼륨을 결정하는 부분. 믹싱 작업에 있어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부분인데, 통상 콘솔의 가장 앞쪽에 배치되어 잇다. 실제의 신호는 페이드 뒤에 팬과 그룹 셀렉터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소거 헤드(erasing head) 자기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녹음한 것을 지우기 위해 쓰이는 헤드이다. 민생용은 녹음 헤드와 공용하는 경우가 많고 프로용은 별도로 장치한다. 테이프 보자력의 4배 정도의 세기가 필요하다.
이퀄라이저(equalizer) 등화기.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보정, 수정하는 장치. 용도에 따라서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Graphic EQ, prametric EQ, presence EQ, shalving EQ
엔벨로프(ENV envelope) 포락선을 말한다. 시간과 같이 변화하는 전기량 등을 그린 선. 구체적으로는 악기의 음량과 음색의 변화를 나타내는 선.
아펙터(effector) 전기 신호(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를 가공하기 위한 장치. 얻어지는 효과(이펙트)의 종류는 대단히 많은데, 몇 가지의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다. ①레벨 컨트롤 계통 : 컴프레서, 리미터, 익스팬더, 노이즈 게이트, 노이즈 리덕션 ②이퀄라이저 계통 : 그래픽 이퀄라이저, 셀빙 이퀄라이저, 파라매트리 이퀄라이저 등 ③딜레이 계통 : 에코, 리버브, 딜레이 등 ④딜레이 응용형 : 플레인저, 페어저, 코러스, 피치 스프터 등
에코(echo) 소리가 벽과 그외 차단되는 물건에 의해서 되돌아오는 소리. 산울림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소리가 사람의 귀에 도달하는 경로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음원에서 직접 귀에 들어오는 직접음 또 한가지는 벽 등에 반사해서 늦게 귀에 들어오는 반사음 이다. 이중에 반사음을 에코라고 한다. 따라서 리버브(rsverb)도 에코에 포함되는데, 반사 시간과 성분이 다른 것을 구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에코라고 하는 것은 직접음과 완전히 분리한 반사음을 말한다.
드럼(drum) 넓은 의미로 받아들이면 북 전반을 말하지만 통상은 드럼 세트를 지칭한다. 이 드럼 세트는 일률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고 음악의 장르와 사용하는 드럼의 기호에 의해서 여러 가지로 꾸며진다. 보통 드럼 세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킥 드럼, 스네어 드럼, 하이해트 심벌즈, 라이드 심벌즈, 2개 이상의 탐탐류의 드럼 등이다.
돌비 시스템(dolby system) 노이즈 리덕션의 일종. 영국의 돌비 박사가 개발한 잡음 감쇠 방식으로 A형(방송, 레코디용)과 B형(일반 대중용)이 있다. 원리는 노이즈 성분이 많은 고음역의 낮은 레벨을 강화하여 녹음하고 재생시에 강화시킨 부분을 원상으로 복귀시킴으로써 10dB정도 S/N비를 개선할 수 있다.
디지털(digital) digit(손가락)에서 온 말. 연속적인 의미를 갖는 아날로그에 대해서 1, 2, 3을 셀 수 있다는 뜻에서 나온 표현으로 컴퓨터 이론의 기초가 된다.
회절(differaction) 파동이 장해물에 충돌했을 때 파장이 장해물의 크기에 비해 짧으면 장해물에 차단되지만 파장이 어느 정도 길면 파동은 장해물의 가장자리를 돌아서 나오는 현상을 말한다.
지연(delay) 입력 신호의 변화에 따라 출력 신호의 변화가 즉각 응답하지 않고 시간적으로 지연되는 현상. 이펙터의 일종으로 사용한다.
디비엑스 노이즈 리덕션(dbx noise reduction) 미국의 dbx사가 개발한 테이프 노이즈 리덕션 시스템. 테이프 녹음시에 음성 신호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½로 압축해서, 재생시에 2배로 신장하여 원래의 다이나믹 레인지로 되돌려 놓음으로써 재생시에 테이프의 히스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는 장비이다.
dBV(decilbel V) 교류 신호의 전압 레벨을 나타내는 단위. 1Vrms에 대한 신호의 크기의 비율을 표시한 것이다. 또 0dBV와 1Vrms는 같다.
dB.SPL(decibel sound pressure level) 음압 레벨을 나타내는 단위. 0 dB.SPL은 20마이크로 파스칼과 같으며 사람이 1㎑로 들을 수 있는 최약음 이기도 하다.
dBm(decilbel milli watt) 종래 dBm은 600Ω의 부하에 1㎜W의 전력을 소비시키는 데 걸리는 부하 양단의 전압(약 0.775Vrms)을 의미했는데, 지금은 임피던스(부하)에 관계없이 0 dBm을 0.775Vrms로 나타낸다. 또 지금까지의 dBm과 구별하기 위해서 dBv와 dBu로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데시벨-dB(decibel) 데시벨(dB)은 음압의 레벨, 전력, 전압 또는 다른 양적인 것의 비율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원래는 전화 회선의 송신측에서 수신측에 도달하는 사이의 전압 손실을 나타내기 위해 고안된 단위의 "Bel"을 10배로 한 단위를 데시벨이라고 부른다. 오디오에서는 주파수 특성이나 소리의 크기 등을 표시하는 데는 2배, 3배와 같은 배율은 사용하지 않는다. 반드시 5dB, 10dB, 20dB와 같이 dB의 단위로 표시한다. 이 표시는 대수로 변환된 수치를 사용. 대단히 큰 배율이라도 적은 수치로 표현할 수 있다. 전압의 파워를 나타내는 전기적 척도. 0dBm과 1㎜W는 같은 파워를 나타낸다.
D-A 변환기(D-A converter) 부호와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양(디지털량)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를 물체의 위치나 전압의 크기와 같이 연속적인 양(아날로그량)으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콘서트(concert) ①음악회, 연주회, 야외 음악회 ②연주 단체.
컴프레서(compressor) 오디오 신호의 다이나믹 레이지를 압축하는 장치. 입력 신호가 어떤 일정한 레벨이 넘으면 입력 신호가 크게 되는데 따라서 역으로 개인이 감소되어 출력 신호의 증대를 방지한다.
크롬 테이프(chrome tape) 테이프 표명에 부착시키는 자성체에 이산화 크롬 등을 사용한 녹음 테이프. 보통의 노멀 테이프보다도 고역 특성이 좋아서 잡음도 적기 때문에 음악 녹음에 많이 사용한다.
버스(bus) 여러 개의 신호를 믹싱해서 보내는 진행 경로를 말한다. 여러 승객을 싣는 버스와 같이 하나의 라인에 여러 가지 신호를 싣는 데서 이 명칭이 생겼다. 믹싱 콘솔은 테이프 레코더로 보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 버스, 이펫터와 모니터로 보내는데 사용하는 AUX버스, 최종적으로 스테레오 아웃인 스테리오 버스등이 있으며 기타 제어 신호용의 컨트롤 버스와 컨퓨터의 데이터용 데이터 버스 등 음성 신호용 이외의 것도 있다.
부스터(booster) ①승압기. ②부스터 증폭기의 약어. 수신기나 증폭기에서 필요한 크기의 감도나 출력이 얻어지지 않을 경우, 그것에 1단 이상의 증폭기를 추가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부스터라고 한다.
빅 밴드(big band) 재즈의 오케스트라를 지칭한다. 풀 편성으로는 색소폰×5, 트럼펫×4, 4리듬(드럼, 베이스, 기타, 피아노) 모두 17인의 편성인데, 다소 변동할 수 있다. 보통 15인 이상의 편성을 가리키며, 소편성이 콤보와 구별된다. 스윙 재즈의 시대에 가장 많았던 편성이다.
양지향성(bi-direction, figure of 8) 마이크로폰의 지향성의 한 가지로, 정면과 배면의 감도가 좋고 측면의 감도가 낮은 것을 말한다. 쌍지향성. 8자 특성이라고도 한다.
BGM(back ground music) 배경에서 흐르는 음악. 음악 자체가 주역이 아니고 어디까지나 드라마나 영화의 장면을 효과적으로 연출하기 위한 분위기를 만드는 데 사용하고 있다.
BBD(bucket brigade device) 아날로그 딜레이 등에 사용하는 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IC. 음질의 열화와 S/N의 문제가 많으므로 지금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비트(beat) 주파수가 조금 다른 두 신호간의 주기적인 증감과 상쇄자가용으로 발생한 제 3의 주파수.
기본 잡음(basic noise) 전송 계통에서 입력 신호의 유무에 상관 없이 생기는 잡음을 말하며, 주로 증폭기와 변복조기등의 능동 회로에서 일어난다. 이밖에 넓은 의미로는 전원잡음과 반송파 누석등도 포함된다.
베이스(base) 트랜지스터에서 이미터로부터 주입된 캐리어의 이동을 컨트롤 하기 위해 전류를 공급하는 부분.
대역폭(band width) ①증기폭에서 고역 차단 주파수(상한)와 지역 차단 주파수(하한) 사이의 주파수 폭을 말한다. 즉, 주파수 특성에 있어서 이득이 그 최대값으로부터 3dB 내려가는 2점간의 주파수 폭. ②송신기에 있어서 점유 주파수 대역폭. ③대역 필터에서 통과 주파수 범위.
대역 잡음(band noise) 화이트 노이즈, 핑크 노이즈를 대역 필터에 통과시켜 특정 주파수 대역 성분을 갖게 한 노이즈. ⅓옥타브 노이즈 등이라고 한다. 주로 실내 음향 특성 측정에 사용된다.
AUX auxiliary 보조적인 입력 단자를 부를 때 사용한다. 믹싱 콘솔 등의 AUX 단자는 이펙터 등의 주변 기기를 접속하는데 사용한다.
어테네이터(attenuator) 감쇠기, 오디오 신호 등의 레벨을 조절하는 장치. 주로 믹싱 콘솔과 앰프. 이팩터 등의 입력 부분에 장비된다.
어택 타임(attack time) 장비가 입력 신호에 응답하는데 걸리는 시간.
아레인지먼트(arrangement) 작곡, 각색, 편곡이란 것을 요약해서 어레인지라고도 한다. 어떤 악곡을 최종적인 연주 스타일로 마무리하는 것을 말한다. 완전히 같은 멜로디 라인에서도 편곡의 기법에 의해서 여러가지 장르의 음악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악곡을 완성 시키는 데 중요한 작업이다.
애널라이저(analyzer) 분석 장치, 예를 들면, 스팩트럼 애널라이저가 그 대표적인 존재인데, 미니 컴퓨터를 내장하여 소리의 분석을 리얼 타임(즉시 처리)으로 그래픽을 사용,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장비.
아날로그(analog) 전류, 전압, 온도, 속도 등과 같이 연속한 변화를 하는 물리량을 나타낸다. 예컨대, 음성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처리할 경우 연속적인 시간에 대한 연속적인 전압이나 전류의 변화라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이것을 가장 이해하기 쉬운 것은 아날로그 시계와 디지털 시계의 비교에서 알 수 있다. 아날로그 시계는 시간이란 양을 "연속한 양"으로 다루는데 비해서 디지털 시계는 "비 연속적인 수치"로 다루고 있다. 전기 회로에서 아날로그 회로는 회로에 흐르는 신호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인데, 예를 들면 볼륨(가변 저항)에 의한 음량(증폭률)을 연속 가변하는 앰프등이 그 대표이다.
진폭(amplitude) 파형의 높이(크기)를 말한다. 클수록 그 파의 에너지는 크다. 소리는 진폭이 클수록 음량이 커진다.
앰비언트 사운드(ambient sound) 멀티채널 사운드를 이용한 공연을 할 때 연주회장의 SR 스피커로 재 유입되는 음향.
앰비언스 이펙트(ambience eftect) 현장감.
아프터 레코딩(after recording) 레코딩이나 영화 제작, 공개 방송할 때 화면이나 연주를 먼저해 두고 나중에 화면이나 연주에 맞추어서 노래나 대사를 녹음하는 것을 말한다. 요약해서 아프레코라고도 한다.
에드리브(ad-lib) 즉흥 연주. 일정의 코드 진행 중에서 자유로 멜로디를 만드는 것을 말한다. 또 보면에 즉흥 연주할 곳을 지시할 때 기본 용어로도 쓰인다. 대개의 경우는 정확한 의미로서의 즉흥(자연 발생적인)이란 것을 일종의 연주 테크닉을 말하고 있다.
AD converter(analog to digital converter) 전압의 크기와 저항의 값과 같이 연속적인 아날로그량(A)을 디지털량(D)으로 변환하는 장치.
ADA(auido distribution amplifier) 오디오 분배 증폭기. 하나의 오디오 출력신호를 여러 개로 증폭 분리하여 여러 종류의 장비입력단에 신호를 공급하는 기기.
액츄얼 사운드(actual sound) 동시 녹음된 오디오
음향(acostic) 본래는 음향 효과와 음진 등을 말하는데, 악기와 음악을 형용할 때도 쓰이고 있다. 어커스틱 악기라고 하면 생악기를 말하며 전기적인 소리의 발생 구조를 지니지 않은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