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역전 대화재(1953.11.27)
1953년11월27일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에서 발생하여, 부산역과 부산우체국 주변으로 확대된 대형 화재 사고.
역사적 배경
부산의 도시 기반 시설은 일제 강점기 30만 명의 인구가 생활할 수 있게 준비되어 있었다. 그러나 6·25 전쟁 중
피난으로 인해 약 100만 명의 인구가 부산에 집중되면서 주거지를 비롯한 기반 시설의 극심한 부족을 겪게 되었
다. 특히 주거지 부족으로 부산 시내에는 판잣집이 등장하였다. 판잣집은 용두산, 대청동, 보수동, 부평동, 충무
동 등 빈 공터만 있으면 만들어졌다. 하지만 판잣집의 증가에 따른 상수도와 전기 시설을 비롯한 사회 기반 시설
은 턱없이 부족하였다. 항상 화재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고, 하루에도 몇 건의 화재가 발생하였다.
1953년 7월 휴전이 되어 피난민들의 환도와 귀향이 증가하기는 했지만, 전쟁 중 부산으로 유입되지 못했던 피난
민과 새로이 시골을 떠난 유랑민들의 이주로 부산 인구는 더욱 증가하였다. 정부와 부산시는 전쟁 동안 무질서한
주택 문제와 도시 정비를 위해 판잣집 철거를 꾸준히 추진했으나 부실한 대책 때문에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화재의 위험은 전쟁이 끝나도 없어지지 않았다.
경과
1953년 11월 27일 오후 8시 20분경 당시 부산시 중구 영주동 17통 16반 허도영(許道榮)의 방에서 난로 불 부주
의로 발생한 화염은 시속 11.8㎞[30리]의 강풍으로 순식간에 확대되었다. 14시간에 걸친 화마는 부산역전을 중
심한 번화가의 주요 건물 및 민가 등 약 1,250호를 태우고 다음 날 오전 10시 20분에 완전 진화되었다.
결과
부산역전 대화재로 주택 3,132채가 완전히 소실되었고, 사상자 29명, 이재민 6,000여 세대 3만여 명이 발생하였
다. 피해액은 총 2000억환(현재 금액 추산 1조7700억원)으로 추산되었다. 부산역, 부산우체국, 미후방기지사령
부 등 중요 시설들이 사라졌다.
이재민은 동아 극장, 영선초등학교, 부산 극장 등에 수용되었다. 정부는 ‘부산 화재 사건’ 구호 대책을 협의하여
‘긴급 구호 본부’를 설치하였다. 이재민들은 부산화재지구 복구위원회연합회를 조직하였다. 부산시는 이재민
입주주택을 화재 지역 이외에 건축하기로 결정하고 부산시 부산진구 양정동과 영도 청학동에 재건 주택을 건설
할 계획을 세웠다. 부산역전 대화재를 계기로 전쟁 중에 만들어졌던 판잣집 철거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화재 지역 이외 에 판잣집이 많던 충무동, 보수동, 대청동 등 판잣집이 철거되고, 여기에 살던 피난민들이 부산
외곽으로 이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의의와 평가
부산역전 대화재는 전후 부산의 도시 계획에 큰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향토사 연구의 자료가 된다.
[위 글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에서 발췌]
주민등록상 내 생일 날 발생한 사건입니다. 생일축하 메세지를 받다보니 생각이 나서 옛날에 모아 놓았던 자료를 편집하여 올려봅니다.
1905.1.1 서울 남대문역 ~ 부산 초량역 구간의 경부선이 개통되었다.
경부선 개통후 3년 뒤인 1908.4.1 중앙동 "구"부산역(현 부산 무역회관)이 임시 정거장으로 개업하였다.
그 후 당시 돈 약 97만 4천원으로 역사와 부대설비 공사에 착수하여 1910.10월 준공되었다. 일본인 타츠노 킨고가 설계하였다.
그는 舊 한국은행,도쿄역,만세이바시역도 설계했으며, 당시 일본은 르네상스 양식이 유행이었으므로 부산역 건축 양식과 이들
건물의 외관이 거의 동일하다. 구내 면적 2만 6723평, 본관 총건평 358평. 1층에 각 대합실과 매표실, 전신실, 역원실, 화물취급
실, 식당, 욕실, 화장실을 두었고 2층 이상은 호텔로 사용하였다. 승강장 상옥 철골조는 한국철도 효시라 할 수 있다.
1952년 "구"부산역 모습
1952년 화재전 "구"부산역과 그 주변 모습
1953년 화재후 "구"부산역 모습, 앞면만 남아 있다. 앞벽 뒤쪽과 지붕은 다 타 버렸다.
1950년대 초반 화재 발생전 중앙동 "구"부산역앞 주변 모습, "구"부산시청 방향
1953년 화재후 중앙동 "구"부산역앞 주변 모습, "구"부산시청 방향
1953년 화재후 "구"부산역 주변 모습
1953년 여름 화재전의 "구"부산역 맞은 편 복병산 지역 모습
1953년 화재후의 "구"부산역 맞은 편 복병산 지역 모습
1954년 화재 수습후 "구" 부산역 주변 모습
1960년대 화재후 "구"부산역 임시역사 모습
"구"부산역은 1965년까지 10년 이상 임시역사를 사용했으며, 1965년 7월 23일에 초량역의 영업을 정지하고 1965년 11월 1일에
"구"부산역을 폐쇄하고 부산진역으로 통합하여 운영하였고 1969년 초량에 부산역이 신축 완공됨과 동시에 명실공히 부산의 종점
인 부산역으로서의 업무를 다시 수행하기 시작하였다. 신축된 현 부산역은 구 초량역 위치가 아니고 중앙부두 뒤쪽에 있던 물웅덩이를 매립한 곳 에 신축되었다.
1950년 중앙부두 뒤쪽 물웅덩이 매립전의 부산항 모습
1966년 부두지구 구획정리사업(1962~1966)후 의 부산항 모습
이 화재에 앞서 1953년 1월 30일에 국제시장 대화재로 국제시장이 전소되고 부평동, 신창동, 광복동 일부가 피해를 입는 큰 화재
가 일어났는데 이 국제시장 대화재와 부산역전 대화재를 같은 화재로 착각하여 국제시장, 남포동, 광복동까지 부산역전 대화재로
소실된 걸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리고 1954년 12월에 용두산공원 판자촌에도 화재가 발생하여 3명이 사망하고
192명이 부상당하는 등 많은 판자촌 사람들이 피해를 입었고 궁중유물을 임시 보관했던 국악원 창고가 전소되어 상당수의 내부
유물이 타 버렸다. 그러다 보니 그 당시 사람들 사이에서 "부산이 아니고 불산이라고 불러야겠다"는 우스갯소리가 나돌았다고 한다.
"구"부산역 위치 : 현 부산무역회관
70년 만의 보답…부산 재건 아버지 위트컴, 시민 곁에 섰다
정지윤 기자입력 2023. 11. 12. 21:16수정 2023. 11. 13. 10:13
본지 12년 걸쳐 장군 업적 재조명
- ‘턴투워드’ 맞춰 기념 조형물 제막
- 시민위원회 발족 1년 만의 결실
- 軍·유엔평화기념관도 힘 보태
‘턴 투워드 위트컴’. 70년의 세월이 걸렸다.
지난 11일 부산 남구 평화공원에서 열린 위트컴 장군 조형물 제막식 행사 후 내빈과 시민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원준 기자
지난 11일 오전 11시 전 세계가 부산 남구 유엔기념공원을 향해 묵념하는 ‘턴 투워드 부산(Turn Toward Busan·유엔참전용사
국제추모의 날)’에 맞춰 부산시민은 오전 10시 남구 유엔평화공원에서 6·25전쟁 때 유엔군 부산군수기지사령관으로 근무하며
부산 재건에 앞장선 리차드 위트컴(1894~1982) 장군을 기념하는 조형물을 제막했다. 시민 1만8359명이 1만, 2만 원씩 낸 성금
(3억6565만6048원)으로 기념 조형물이 세워졌다.
위트컴 장군이 지난해 11월 11일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최고 등급인 무궁화장을 추서 받은 것을 계기로 ‘위트컴 장군
조형물 건립을 위한 시민위원회’(시민위원회)가 발족해 성금 모금이 시작된 지 1년 만에 결실을 보았다. 부산역전 대화재 때
군수물자를 방출한 위트컴 장군의 인류애에 부산시민이 70년 만에 빚을 갚은 셈이다. 1953년 11월 27일 밤에 발생한 부산역전
대화재로 29명의 사상자와 6000세대 3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는데 위트컴 장군은 천막과 담요 등 군수물자를 제공해 이재민
에게 큰 도움을 줬다.
위트컴 장군의 이야기를 처음 소개한 2011년 6월 11일 자 국제신문 지면.
숨겨진 위트컴 장군을 발굴하고 재조명하는 데 국제신문의 12년에 걸친 지속적인 보도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게 시민위원회
의 평가다. 국제신문은 2011년 6월 11일 자 1면 머리기사 ‘전쟁 폐허에 희망꽃 피웠던 부산 미군군수기지사령관 위트컴의 혼
깨운다’와 4면 해설기사 ‘위트컴 장군, 부산대·메리놀병원 확충 초석을 놓다’ ‘위트컴 장군 재조명 앞장 김재호 교수 강석환 대
표’를 게재하며 장군의 인류애를 최초로 보도했다.
이어 2012년 6월 19일 자를 시작으로 3회에 걸쳐 ‘위트컴 장군과 부산, 전쟁 폐허에 피운 희망꽃’ 기획시리즈를 연재하며 장군을
체계적으로 재조명했다. 이 시리즈에서 위트컴 장군이 메리놀병원 신축 기금을 모금하기 위해 갓을 쓰고 한복 차림으로 부산 시
내를 돌며 캠페인을 벌여 미국 격주간지 ‘라이프’(1954년 10월 25일 자 42쪽)에 보도된 일, 한국인 부인 한묘숙(1917~2017) 여사
와 인터뷰를 통해 한 여사가 장군의 유언에 따라 6·25전쟁 당시 장진호 전투에 참가한 미군 유해를 발굴하기 위해 북한을 25회
방문한 사연 등이 소개됐다.
군(軍)도 힘을 보탰다. 대구 육군 제5군수지원사령부는 2017년 12월 29일 ‘위트컴 장군실’을 열었다. 이어 부산 유엔평화기념관은
2018년 7월 12일 위트컴 장군의 36주기 추모일을 맞아 2층에 ‘위트컴 장군 상설전시실’을 개관했다.
지난해 6월 위트컴 장군이 별세한 지 40주년을 맞아 국제신문 오상준 총괄본부장(당시 편집국장)이 위트컴 장군 관련 보도와 기
고를 정리해 단행본 ‘리차드 위트컴:6·25전쟁 폐허 속에서 핀 인류애’(호밀밭)를 출간했다. 이 책은 위트컴 장군 국민훈장 추서와
조형물 건립 시민위원회 발족의 기폭제가 됐다.
2012년 6월 19일 자 시리즈 상
2022년 6월 출간된 단행본 ‘리차드 위트컴’
Copyright©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