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련재배(별빛드는집에서 펌)
Ⅰ. 서 언
1. 현황과 문제점
본 기술개발은 정원이나 아파트 베란다 주택창가 등에서 수련을 재배하여 관상하고 꽃은 건조시켜 차로 마실 수 있는 상품화기술 개발로 용기를 이용한 수경재배 시 광부족으로 인한 생육저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용수에 발생하는 이끼류의 생장을 최대한 억제하여 동절기 수온 상승의 효과를 기대하는 기술로 광부족의 문제점은 나트륨 보광 등을 이용하여 부족한 광량을 보충해 주고, 이끼발생억제 방법으로는 용도에 피트모스를 적량 섞어 사용하여 용수에 황산동 적당량을 용해시켜 사용하면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보며 수련의 건조기술은 일반 건조기를 이용하면 수련고유의 색상이 변색되고 향이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어 냉동 건조 방법을 이용하면 상품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가. 수련의 역사
수련은 피자식물로 일찍이 빙하시대부터 전세계 소택지에 광범위 하게 분포하는 원시식물이다. 화석에 의거하면 1억 5천만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며 이집트 사적중 (기원전 3000 - 4000년) 왕릉주변에 연못을 조성하여 재배한 정황이 발견되었으며, 종교의식, 장례식, 신에게 바치는 봉헌의식, 손님접대시 사용한 근거가 묘지의 벽화에 나타난다. 이외 인도불교 기록중 2종의 연꽃과 5종의 수련을 신성의 상징으로 기술하였으며 중국의 수련재배 역사도 장구하여 송대 주돈이의 “애련설(愛蓮說)”의 연꽃의 신성하고 깨끗함을 칭송하는 글이 나온다.
이때는 주로 백색의 수련(Nymphaea) 9속중 연속(Nelumbo)과 수련속(Nymphaea)을 포함하는 종류가 제일 많으며 분포지역 또한 광대하다. 수련과의 기본 염색체 수는 연속과 수련속이 서로 다르며 연속 2× = 16 수련속 2× = 14의 염색체 수를 가지며 생장 형태 또한 다르다. 한국지역은 아열대 일부와 온대기후를 가지며 남부지역과 중·서부지역에 비교적 많은 소택지가 분포하며 수련속의 분포 또한 이 지역에 편중한다.
우리나라 연꽃 재배역사는 불교의 전래와 같이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일부에서는 이전에 이미 신성한 꽃으로 숭앙 받았을 것으로 생각한다. 근래들어 사찰을 중심으로 연잎차를 만들어 이용하고 있으며 일부 대도시 근교의 화훼생산농가에서 재배를 시작하여 시장에 출하하고 있으며 생산량과 소비량 공히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나. 수련의 분류
수련의 원산지는 열대.온대지역이며 우리나라의 수련과 식물은 4속 5종으로 나뉜다.
4속 : Brasenia, Nuphar, Euryale, Nymphaea
5종 :
Brasenia schrehea : 순채
Nuphar japonicum : 개연꽃
Nuphar pumilum : 왜개연꽃
Euryale ferox : 가시연꽃
Nymphaea tetragona var angusta : 수련
근래 상공업의 발달과 급속한 인구 증가로 인한 자생지 파괴로 야생 수련의 수가 급감하였다. 수련은 수련과중 분포지역이 제일 넓은 1속이며 남극을 제외한 세계각지에서 종적을 찾을 수 있다. 분포 특징으로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종자 꼬투리 벌어짐에 의한 분류
가. 난생심피군(難生心皮群 - (Apocarpoes grop))
심피 측부가 상호 분리되며 바깥쪽 수술이 먼저 성숙하고 악생부에 부속의 돌기가 있으며 화경이 수면 10~30cm정도 올라온다.잎이 크며 가장자리는 파상형을 이룬다.
원산지는 열대지방이며 주간 개화형이다.
예) N. nouchali, N. capensis var. zanzibariensis
나. 합생심피군(合生心皮群 - (Syncarpous grop))
심피 각 측면이 완전 합생이며 수술의 악상 상부에 돌출부가 없다. 꽃은 수면 가까이에서 피며 대부분의 온대 수련이 이에 속하며 일부 열대수련도 포함된다.
예) N. mexicanaN. tetragona
(2) 원산지 기후에 의한 분류
가. 한대수련(寒帶睡蓮) - 주간개화형
개회시기가 이르며 입추전에 개화가 멈춤. 잎은 평평하며 광택이 있고 원형에 가까우며 크기는 대중소로 분류 한다. 꽃송이는 수면에 가까이 피며 내한성이 강하다. 추위에 강해 월동이 용이하고 유럽 백수련(N. alba) 방향수련(N. odorata)등이 이에 속한다.
나. 열대수련(熱帶睡蓮) - 주간.야간개화형
개화의 특징은 꽃대가 수면위로 높게 솟으며 꽃이 크고 개화 기간이 길며 다양한 꽃색을 지닌다. 향기 또한 짙고 좋은 꽃을 보려면 매년 다시 심어주어야 하고 따뜻한 환경에서 잘 자라므로 온대지역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하다.
(3) 꽃피는 시간에 의한 분류
가. 주간개화 (晝間開花)
꽃피는 시간이 오전 06~08시 사이에 개화하고 오후 12~13시 사이에 꽃잎을 오므린다.
나. 야간개화 (夜間開花)
꽃피는 시간이 오후 20~22시 사이에 개화하고 다음날 오전 08~11시 사이에 꽃을 오므린다.우리나라에는 90년대초 도입되어 공원 연못이나 분화로 재배되고 있다.품종이 다양하지 못하며 흔히 볼 수 있는 품종은 흔꽃이 피는 치옆수련(N. lotus L. var. denntata) 붉은 꽃의 홍화수련(N. rubra Roxb) 보라색의 변남수련(N. carenlea Savigny)등이 있다.근래 전업농이 주로 재배하는 품종으로는 향수수련과 관음수련 두가지 계통이며 주간개화 품종 중에서 우량품종을 선발하여 재배하고 있다.
다. 식주식생장 상태
수생식물의 생장환경은 육지식물과는 다르며 생육상태와 식주형태 또한 환연히 구분된다. 수련은 초본 수생식물로 뿌리는 토양에 두고 생육중 침수와 부수의 2단계를 거친다. 잎의 형태상 물속잎과 뜨는잎, 기생잎으로 분류한다.
○ 물속잎 : 눈이 트고 수중에서 생장하는 시기의 잎으로 화살촉 모양을 하고 잎의 색깔은 적홍색이다.
○ 뜨는잎 : 물속잎의 단계를 지나 수면에 뜨는 잎으로 수련의 주요잎 이다.
○ 기생잎 : 소수 열대수련 중에서 나타나며, 성장이 급속히 진행될때 발생하여 수면위로 올라오며 뜨는잎과 대조되게 작은 잎이다.
2. 기술개발의 필요성
현재 우리나라 농업은 어려운 여건에 직면해 있다. 수입 농산물의 범람과 농업생산물의 가격하락으로 경쟁력을 상실하여 전통농업이 설 땅을 잃어가고 있다. 이에 그동안 등안시 여겼던 수생식물을 수입관상 식물로 대체하고 국내화훼 시장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재배방법과 가공 유통의 기술을 개발하여 농가소득에 일조하고자 재배온실과 노지포장을 활용하여 환경 적응실험과 비배관리를 체계적으로 행하여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화훼농가에 관심의 대상이 되어있는 수련의 개화시기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분화류 주 소비시기에 출하할 수 있는 재배기술 개발과 수련의 상품화 방법을 찾고자 한다. 수련은 그 기능이 다양하여 관상용, 약용, 식용, 오수정화식물로의 개발 가치가 무궁하여 이미 화훼 선진국에서는 오래전부터 그 가치를 인정받아 상품화 되어 유통이 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재배기반은 일부 남부지방에서 연근생산을 위한 재배가 이루어 지고는 있으나 본격적인 관상용 재배는 미흡하여 시급히 재배 기반이 정립되어야 한다.
3. 연구개발의 목적과 범위
가. 기술개발의 목적
우리나라의 여름철 고온과 풍부한 광량을 이용하여 수도작 위주의 농업에서 특별한 시설비의 부담없이 여러 수련품종중 분화재배에 적합한 품종을 찾아내어 분화재배기술을 연구 개발을 통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키고 수련 제차 및 보관기술의 개발로 부가가치를 창출하여 농가소득증대에 기여함.
나. 기술개발의 범위
(1) 수련 분화재배용 용기 및 운반용기 개발
(2) 수련 분화재배용 수련품종 선별
(3) 수련꽃 채화시간에 따른 상품화기술 확립
(4) 수련꽃 건조시간 및 방법에 따른 상품화기술 확립
(5) 수련꽃 건조시 적정온도, 습도 정립
(6) 병해충 방제방법 개발
Ⅱ. 기술개발 수행내용
1. 재료 및 방법
○ 연구수행 장소
본 연구가 수행된 곳은 충남 서산시 성연면 예덕리에 위치한 장인재 농가의 “귀거래향”이란 수생식물 농장에서 2007년 3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2년동안 행하여 졌다.
가. 재배못의 설정
수련재배의 기본 공간으로 재배 작업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대부분의 품종이 수심 60cm전후의 깊이에서 잘 자라나 너무 깊으면 초기 생장이 불량하고 재배와 수확시 불편하다. 절화를 목적으로 재배할 경우 40~60cm수심이 채화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심이 너무 얕을 경우 수온 변화가 심하여 식주생장이 불리하며 개화수가 감소하고 가을철 수면 시기가 빨라지고 월동에 불리하다. 식재 초기에는 물속에 광선이 잘 투과되어야 광합성에 유리하여 수중옆의 생장이 빨라지므로 수위를 10~20cm로 하고 이후 성장속도에 맞추어 천천히 수위를 높인다.
재배지의 수위는 가능하면 안정을 유지한다. 쉽게 누수되는 지역, 물 보충이 어려운 지역과 수위의 급변지역은 수련생장에 좋지 못하다. 그러므로 수련 재배지는 논이 제일 적합하다. 수련은 각종 수질 조건에 비교적 잘 적응하나 염분이 적은 중성급의 수질이 좋다. 수련은 비교적 중금속과 비유기화합물 흡수력이 좋아 수질 정화능력이 뛰어나지만 식용 꽃 생산을 목적으로 재배할 경우 반드시 중금속 함량에 주의해야 한다.
(1) 노지재배지 시험구 배치
(2) 무가온 하우스 재배지 시험구 배치
(3) 비배관리
화분재배의 경우 비배는 화학비료 위주로 하고 유기질 거름은 재배중간중간에 추가하는 정도로 한다. 유기질 거름을 과용하면 녹조발생이 심해지며 이로 인하여 수온을 떨어뜨려 생육에 지장을 준다. 우리나라의 토양은 대부분 인산질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논 흙을 직접 사용하는 것은 녹조와 논 잡초의 발생을 가져오므로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화학비료는 N, P, K비율을 2:1:3 위주로 사용하고 25 : 11: 35 비율의 복합비료를 논 300평당 120~160kg을 시용한다. 생육 후반기의 추비는 가리질 비료 위주로 하면 화색과 맛이 좋아진다. 질소질이 과다할 경우 꽃대가 약해지고 수확 후 쉽게 마른다. 일반적으로 수련의 재배 전반기의 비료 요구량이 그다지 많지 않으므로 비료의 과용을 피해야 수중 녹조류의 발생을 피할 수 있으며 녹조의 발생정도를 보아가며 추비하는 것이 수련재배시 비배관리의 요점이다. 또한, 산성비료의 시용을 최소화 하므로써 식주의 생장불량을 피할 수 있다.
(5) 온실 수조 시험품종별 배치도
나. 세부 과제별 처리내용
(1) 수련 용기 및 운반용기 개발
일반 시중에 나와있는 화분은 그 크기가 천차만별이어서 수련재배에 적합한 것을 찾기가 어렵다. 또한 화분을 하나하나 배치해 놓거나 운반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너무 오래걸려 운반용기를 가벼운 재질로 자체 개발하기 위하여 용기 및 운반용기 금형틀을 제작하기로 하였다.
(2) 수련의 번식방법에 관한 연구
수련의 번식방법에는 종자번식, 옆삽, 괴경분할, 부주 등등 여러 방법이 있으나 번식이 쉽고 분화재배에 적합한 번식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3) 재식밀도와 성장관리에 관한 연구
수련은 각 품종별로 그 크기가 달라서 식재간격을 적절히 넓혀주어야 제대로 성장할 수 있다. 식재주수가 너무 과다하게 많으면 생육에 지장을 주어 도장할 수가 있으며 또 너무 넓을경우에는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어 경제성에 문제가 생기게 마련이다. 본 과제에서는 향수수련과 관음수련 등 중·대형 계통의 재식밀도를 조사하였다.
(4) 갱신(更新)에 관한 연구
수련은 기본적으로 구근번식을 많이 하나 구근의 눈이 많을 경우 꽃이 많이 피지 않아 구근에 있는 눈의 수 대로 분주를 하여 정식을 하게 되는데 이때 필요한 물의 온도와 과 태양광량 그리고 수련의 뿌리, 줄기의 상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5) 병해충 방제법에 관한 연구
일반적으로 병해충 방제에는 일반 농약이 많이 쓰이나 주변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환경친화적인 방법을 이용한 방제법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6) 분화재배에 적합한 품종선별에 관한 연구
수련은 세계적으로 많은 량이 분포해 있으며 원산지 기후에 따라 또는 꽃피는 시간에 따라 그 품종이 다양하다. 분화재배에 적합한 품종을 선별하기 위하여 먼저 52종의 품종을 노지와 비가림하우스내에 배치도에 의하여 분화에 정식해 놓은후 그 생육상태를 조사해 보았다.
(7) 채화 시간에 관한 연구
수련꽃의 채화시간은 그 이용 목적에 따라 달라지는데 즉 절화용과 수련차 제조용의 채화시간이 차이가 난다. 특히 수련차 제조용 수련꽃은 수술이 성숙하여 화분이 제일 많이 나올때 채취를 해야 하므로 그 시기를 조사하여 채화시간을 조사하였다.
(8) 수련 꽃의 건조시 적온, 적습에 관한 연구
수련차는 채화시간도 중요하지만 그 향을 그대로 유지시키고 수련꽃을 상하지 않게 하기위하여는 건조시 온도와 습도 그리고 건조시간이가장 중요하므로 가장 적당한 온도와 습도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9) 수련차 제조용으로 가장 적합한 수련 품종 선별에 관한 연구
수련꽃은 그 품종이 다양하여 그 목적에 따라 재배되고 있다. 수련차 제조에 가정 적합한 품종은 향이 많은 것으로 선별 하여야 하므로 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0) 수련차 제조과정에 관한 연구
수련차 제조를 위하여 먼저 수련차에 가장 적합한 품종을 선별하고 이를 재배하는 적지를 선정하여 수련꽃에 담겨져 있는 향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재배법을 알아보았으며 건조방법과 포장에 이르기 까지 그 제조과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11) 상품유통 용기 개발에 관한 연구
수련차 제조후 이를 유통시키기 위하여 포장재를 개발 하였다.
Ⅲ. 기술개발 결과 및 고찰
1. 결과 및 고찰
가. 수련 용기 및 운반용기 개발
나. 수련 번식방법 구명
향수수련은 종자번식을 할 경우 파종후 개화~ 수확까지의 기간이 2년이상의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채용하지 않는 방식이며 전업재배를 할 경우에는 무성번식의 방법을 취하는 것이 유리하다. 번식 방법으로는 옆삽, 괴경분할, 분주의 방법이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분주와 괴경분할방법을 쓴다. 일반적으로 광량과 세기, 일조시간이 번식의 주요요인이며 일조시간의 연장은 곧바로 자구와 괴경의 생산율 증가와 직결 된다. 묘주의 성장엔 고온과 양광 그리고 저 수위가 유리하며 일반 식재시 분주와 괴경분할을 막론하고 봄철 식재가 유리하며 수온이 23℃이하 일때는 불량하며 12℃이하에는 고사한다.
다. 재식밀도와 성장관리에 관한 구명
향수수련과 관음수련 등 중·대형 계통의 성장률은 상당히 빠르므로 매주식재 간격은 최소 1.5㎡ 간격으로 식재하여 번식공간을 확보해 주어야 하며 식재주수가 과다하면 생육불량은 물론이고 채화 수량감소와 빠른 노화를 초래한다. 또한, 품종이 각기 다른 묘를 심을 경우 각 품종별로 분리해 식재해야만 품종간의 경쟁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재배기간중 수시로 노화된 잎과 씨, 꼬투리를 제거하여 성장을 돕는다.
라. 갱신(更新)에 관한 구명
향수수련 수확후 첫 서리가 내리면 화분에 재배된 수련은 보온가능한 곳으로 옮기고 논에 정식한 수련은 수염뿌리와 잎, 줄기를 제거한 후 수온 12~14℃정도 되는 수중에 보관한 후 다음해 봄에 분주하여 정식한다.
마. 병해충 방제법
수련의 주요 해충으로는 수면 상부에 발생하는 진딧물과 수중에 발생하여 막대한 피해를 주는 물 달팽이류가 있다. 진딧물은 시중에 유통되는 농약으로 쉽게 방제가 되지만 식용으로 쓸 경우 목초액과 식초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수중의 달팽이류는 방제가 까다롭다. 일반적으로 어독성 1급인 살충제로 방제가 가능하며 점액질로 덮여있는 알은 방제가 까다로워 5일간격으로 3회 2000배액을 살포한다.
재배중 상시발생하는 이끼류는 인력으로 제거하는 방법이 가장 확실하며 약재를 사용할 경우 유산동 0.35~2.0ppm을 처리하면 비교적 좋은 성과를 볼 수 있으나 농도가 짙을 경우 식주자체의 손상이 심하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연못재배시 잉어류를 사육하여 조류와 달팽이류를 제거하는 것이 친환경적이며, 식용꽃 생산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바. 분화재배에 적합한 품종 선별 에 관한 연구
분화재배에 적합한 품종을 다음과 같이 선별 하였다.
<온대수련>
이 름 | 꽃 색 | 특 징 |
Alba | 흰색 | 흰꽃에 잡색이 없고 꽃달림이 좋다 |
Gonnere | 흰색 | 화형이 크고 꽃달림이 좋다 |
Rose Aley | 분홍색 | 꽃달림이 좋고 개화 기간이 길다 |
Perry's Fire Opal | 분홍색 | 연등 모양의 꽃이 피며 꽃달림이 좋다. |
James Brydon | 붉은색 | 밝은 붉은색의 연등 모양의 꽃 |
Almost Black | 붉은색 | 검은색에 가까운 붉은색으로 꽃은 중형이며 꽃달림이 좋음 |
Sioux | 주황 | 중형 꽃이며 개화 기간이 길다. |
Colorado | 주황 | 개화기간이 길고 재배하기가 쉬워 분화상품중에 최고품종 |
Yellow sensation | 노랑 | 대형꽃 |
Marliacea Chromatella | 노랑 | 중형꽃, 꽃 색이 선명하고 단정하며 꽃달림이 좋음 |
Al | Gonnere |
Rose Aley | Perry's Fire Opal |
James Brydon | Almost Black |
Sioux | Colorado |
Yellow sensation | Marliacea Chromatella |
사. 채화시간에 관한 연구
분화재배에 적합한 품종을 다음과 같이 선별 하였다.
수련꽃 채취시간은 이용 목적에 따라 절화용 채취는 당일 개화송이를 새벽 1-5시간 사이에 채취하고 절화즉시 물통에 담그어야 절화 수명이 길어지고 수련차 제조용 채취는 일출 2~3시간 이후 채취하는 것이 좋다. 즉 수술이 성숙하여 화분이 제일 많이 나올 때가 채취의 적기이다.
아. 건조 방법에 관한 연구
꽃색은 분홍, 노랑, 흰색, 자주색, 남색, 빨강색 등이 있으며 일부 품종에 향기가 있다. 중국 본초강목에 『그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장복하면 안색이 좋아지고 미백효과가 있으며 꽃, 줄기는 채소로 식용이며 꽃은 차로 만들어 음용한다』라고 쓰여있다.
자. 제차용으로 적합한 품종 선별에 관한 연구
한국에는 근래 여러국가로부터 다양한 열대 품종이 도입되어 재배되고 있으나 태국, 인도에서 들여온 품종중에 몇가지를 제외하고는 차 제조에 적합하지 않은 품종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본 농장에서는 수련의 외부형태에 의하여 분류하여 제차시험을 진행하였다. 통상적으로 식주의 옆면에 산재하는 반점 유무와 꽃색깔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각 품종별로 특성을 찾아냈다.
(1) 잎에 반점이 있는 품종
(가) 자홍색 꽃 계통
화판기저부가 노란색이며 떫은맛이 적고 단맛이 있으며 여러차례 우려내도 향미가 유지되는 품종으로 속칭 <향수수련 >
(나) 자남색 꽃 계통
화판이 비교적 작으며 처음 우려내면 쓴맛이 진하고 두 번째 우려내야 비로소 단맛이 난다. 결점으로는 제차 시에 온도와 습도관리가 적당치 않을 때 쉽게 흑자색으로 변색되어 상품가치를 떨어뜨린다.
(다) 분홍색 꽃 계통
화판기저부가 백색이며 화형은 가늘고 길며 단맛이 있어 제차에 적합한 품종이다.
(라) 흰색 꽃 계통
제차가 가능한 중등급 품종이다.
(마) 노란색 꽃 계통
향과 맛이 뛰어난 상등급 품종이다.
(2) 잎에 반점이 없는 품종
(가) 자홍색 꽃 계통
화판기저부가 노란색이며 꽃받침이 두껍고 떫은 맛이 강하다. 제차에 부적합한 품종이다.
(나) 자남색 꽃 계통
향기가 진하고 쓴맛이 난다. 절화에 적합한 품종이다.
(다) 흰색 꽃계통
품질이 좋지 않으며 쓴맛이 강하여 제차에 부적합한 품종
(라) 분홍색 꽃 계통
화판기저부가 백색이며 약간 쓴맛이 나고 두 번째 우려내면 쓴맛이 감소하나 제차에 부적합한 품종 위에 상술한 결과 제차에 적합한 품종은 잎에 무늬가 들어간 품종으로 꽃색이 자홍색과 노란색인 품종이 제차에 적합하며 잎에 무늬가 없는 품종중에서는 제차에 적합한 품종중 에서는 제차에 적합한 품종이 없지만 관상용으로는 최고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차. 향수 수련차 제조과정
<수련꽃 채화 장면> | <채화후 정리 장면> |
<건조전 수련꽃 종이말림> | <수련꽃 채반 건조 장면> |
<건조 완료된 장면> | <수련차 포장 장면> |
(1) 개화 첫째날의 꽃송이를 오후에 꽃이 오므린 다음 채취함
(2) 채취한 꽃송이를 맑은 물에 깨끗이 씻은후 거꾸로 하여 물기를 말린 다음 수련꽃의 씨방부분을 절반쯤 제거하여 꽃잎과 씨방이 동시에 건조될 수 있게 조제한다. 조제전 꽃송이를 종이로 만든 고깔에 넣어(건조시 꽃모양 변형방지) 고온으로 건조한다. (고온 건조가 떫은 맛을 제거해 준다.)
(3) 우선 100℃의 온도로 4시간을 건조하여 물풀냄새를 제거하고 난 후 건조기의 전원을 끄고 6시간동안 식힌다.
(4) 완전히 식은 꽃송이를 다시 85~90℃의 온도로 천천히 12~15시간동안 건조하면 떫은 맛이 사라진 향기로운 향수련차가 만들어 진다.
카. 수련차 포장재 개발
파. 결론
향수수련은 식품, 제차, 절화, 관상용, 약용등 다양하고 폭넓게 사용되는 작물로 우리나라에는 여름철 고온과 풍부한 광량을 이용하여 재배하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수도작 위주의 농업에서 특별한 시설비의 부담 없이 전업할 수 있는 작물이다.
향수수련은 매년 매주의 개화량이 약 120~150송이 정도가 되어 절화나 제차용으로 생산할 경우 농가소득에 일조를 할 것으로 기대되며 성결한 꽃으로 모든 사람이 좋아하는 작물로 미래 발전 잠재력이 무궁하다. 하지만 아쉽게도 아직은 소비시장이 협소하고 절화를 할 경우 그 수명이 길지 않으며 식용차로 제조할 경우 향기의 보존 문제가 숙제로 남아있다.
Ⅳ. 지도사업 활용 방안
1. 분화용기 및 운반용기 개발 보급
2. 분화재배에 적합한 품종 선별로 수련분화재배 기술 보급
3. 계절 가능한 상품생산으로 정서적 가치 창출
4. 커피 등 수입차를 내체항차 개발로 수입대체 효과
5. 계절개화식물인 수련의 사계절 개화기술을 적립한 농업상품화
6. 분화 비수기에 생산된 수련 제차 기술 개발 보급
7. 수련의 사계절 개화기술 적립으로 수련분화재배의 상품화
8. 수련차 건조기술 개발 및 포장재 개발 활용
Ⅴ. 참고문헌
1. Waterlilies and Lotuses
- PERRY D. SLOCUM
2. 水生花卉
- 金盾出版社
3. 現代水生花卉
- 廣東科技出版社
4. 荷花睡睡蓮蓮王蓮
- 中國林業出版社
5. 水生觀賞植物
- 中國觀賞植物圖鑑叢書
Ⅵ. 관련사진
비정상으로 건조된 수련꽃 | 정상으로 건조된 수련꽃 |
사진32. 수련꽃 건조시 온.습도에 따른 색 변화 장면 |
과제선정년도: 2008
갱신일: 2009-11-25
작물: 화훼
지역: 충청남도
제목: 수련 분화재배 및 제차 개발
출처 : 별빛드는집 카페 - 수련재배( https://cafe.daum.net/dreamstdry/7HvJ/13 )
담당자: 지도개발과 김쌍수 031-299-2745
가정집에서 겨울철 열대수련을 보관하는 방법
(2024년11월~2025년 현재)
1. 실내온도 : 22~23℃
2. 햇볕을 쬐는 시간 : 거실 유리창으로 통과한 햇빛은 간접 빛을 포함 5시간, 유리창 통한 직사 2~3시간.
3. 간혹 비닐이나 프라스틱 뚜껑을 벗겨서 부채로 인공 환기 5분 이상.
4. 잎이 생긴지 오래된 잎이 물러져 상한 것은 제거함.
5. 물은 한달정도 지나 흙에 뿌리를 뻗은 수련은 50mg 정도 보충해 줌.(물이 줄어졌다고 느낄 때)
6. 액비나 일반 거름은 오히려 죽일 염려가 됨으로 투여하지 말것.
7. 보관 용기는 프라스틱 제품을 권장함(유리나 사기제품은 열전도율이 높아 저온 피해를 줄 수 있음).
8. 보관 용기는 거실 바닥에서 받침대를 높은 것을 사용하거나, 바닥에서 30cm 높혀서 보관 권장. 이유는 거실바닥 의 온도가 직접 전해지는 것은 물의 온도를 높혀 생장에 지장을 주거나 뿌리가 녹아 사그라짐.
열대수련 품종 중에 잎의 배꼽에서 생장하는 새싹을 틔우는 품종은 위의 사진처럼 새 생명이 자라나옴. 위의 새싹은 생장점이 크게 자라서 2 포기로 늘어난 상태처럼 잎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전체 모습을 보면 타일본드를 사용한 용기에 심어놓은 수련인데, 수련의 뿌리에 해당하는 부분인 괴경의 옆으로 작은 포기들이 흙속에서 나와 자라거나 보이는 앞쪽의 왼쪽 부분에 잎에서 자란 새 생명이 원 잎은 녹아서 없어지고 따로 분리가 되어 물 위에 떠서 자라고 있습니다.
위의 열대수련의 품종은 "Nympaea Waree Rutt"라는 종으로 연분홍색의 꽃을 피우는 수련임.
원거리 이동으로 차에서 흔들려 심어놓은 괴경이 물위로 떠서 자라다가 뿌리를 흙속에 뻗어내려 현재 안전하게 생장을 계속하고 있음.
위의 수련품종은 잎에 갈색점이 제법 많이 들어간 Nympaea Amalia Rose 열대수련으로 흰색꽃의 가장자리에 아주 작은 분홍색이 살짝 들어가는 품종의 수련입니다.
새로 나오는 잎은 갈색 무늬가 제법 선명하게 드러나지만 자람에 따라 점차 갈색의 무늬가 옅어져서 구별하기 힘들어짐. 이제 2월달이 들어서면서 점차 일조량이 늘어나서 어린 잎의 크기도 많이 크게 자란 모습을 보임.
Nympaea Amalia Rose 열대수련도 잎에서 자구가 생겨 자라는 모습을 위의 사진 상단 왼쪽에 잎의 배꼽(잎과 줄기의 만나는 잎사귀 부위에 처음에는 솜털같은 점이 점차 자라서 어린 새싹을 틔워내고 있음) 부위에 새로운 싹이 자라고 있습니다.
배꼽 부위에 새싹이 자라는 외의 잎에는 배꼽이 보이지 않고 그저 밋밋하게 보이고 있습니다.
괴경에서 나온 새싹의 처음 잎은 색다른 모양의 극형의 잎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수련의 잎은 보통 V자형의 갈라지면서 둥근 하트형이지만, 괴경에서 나온 새싹은 모양이 다르게 보이고 있습니다.
잎의 뒷면도 열대수련의 품종에 따라서 각기 다른 무늬를 가지거나 초록의 옅은 색깔을 갖기도 함.
보관 용기는 된장이나 고추장, 또는 과자 등의 음식물을 저장하는 플라스틱 용기에 흙을 넣고 물을 새싹의 크기에 적합하게 물을 부어 흙의 바닥과 너무 멀리 뿌리가 떨어지지 않게 가까이 닿을 수 있도록 적당량을 넣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