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 四 章 (14장)
視之不見,名曰夷;聽之不聞,名曰希;摶之不得,名曰微.此三者 不可致詰 ,故混而為一.
보려고 해도 (너무 커서) 보이지 않는 것을 이(夷)라 하고, 들으려고 해도 (너무 가늘어서) 들리지 않는 것을 희(希)라 하며, 잡으려 해도 (너무 작아서) 잡히지 않는 것을 미(微)라고 한다. 이 세 가지는 말로 따질 수가 없다. 그래서 통틀어 하나[道]라고 한다.
其上不曒,其下不昧.繩繩兮不可名,復歸於無物.是謂無狀之狀,無物之象,是謂惚恍.
그것[道]은 위라고 더 밝지 않고 아래라고 더 어둡지 않다. (그 길이는) 노끈처럼 이어져 있으나 이름 붙일 수 없다. 결국 아무것도 없는 것으로 돌아간다. 그것을 (없는 것이라고 할 수 없어서) 형체 없는 상태라고 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도 없어서) 사물이 없는 모습이라고도 한다. 이것을 일러 황홀(어리둥절한 상태)이라 한다.
迎之不見其首,隨之不見其後.執古之道,以御今之有.能知古始,是謂道紀.
(앞에서) 맞이하여도 그[道] 머리를 볼 수 없고, 뒤를 따르더라도 그[道] 뒷모습을 볼 수 없다. 그러나 옛날의 도(道)를 파악하여 지금 있는 일을 다스리면 능히 옛날 도(道)의 처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을 도(道)의 실마리라고 한다.
十 五 章 (15장)
古之善為士者,微妙玄通,深不可識.夫唯不可識,故強為之容.
옛날의 훌륭한 선비들은 미묘하고 (사물의 이치에) 깊이 통달하며, 심오하여 (그 마음의 깊이를) 남이 알 수 없었다. 남이 알 수 없었지만 그래도 억지로 형용하여 본다.
豫兮若冬涉川,猶兮若畏四鄰,儼兮其若客,渙然若冰之將釋,敦兮其若樸,曠兮其若谷, 渾兮其若濁.
머뭇거리는구나. 마치 겨울에 냇물을 건너듯 하고. 조심하는구나. 사방의 이웃을 두려워하는 듯하며. 엄숙하구나. 그것이 마치 손님과 같다. 화합하기는 마치 얼음이 풀리는 듯하고. 소박하구나. 그것이 마치 나무둥치 같고. 시원스레 트였구나. 그것이 마치 산골짜기의 (뻥 뚫린) 굴 같으며. (포용하여) 뒤섞였구나. 그것이 마치 탁류와 같다.
孰能濁以靜之徐淸. 孰能安以久動之徐生.保此道者,不欲盈.夫唯不盈,故能敝不新成.
누가 능히 고요하게 정지시켜서 천천히 맑게 할 수 있겠는가. 누가 능히 안정한 것을 오래 움직여서 천천히 생동하게 할 수 있겠는가. 이러한 (선비의) 도를 지키는 자는 가득 (채우면 넘치므로) 채우려 하지 않는다. 무릇 오직 가득 채우려 하지 않기 때문에 능히 (모든 것을) 덮을 뿐이고, 새로운 것을 성취하려고 하지 않는다.
十 六 章 (16장)
致虛極,守靜篤.萬物並作,吾以觀其復.夫物芸芸,各歸其根.歸根曰靜. 靜曰復命,
텅 비게 함이 궁극에 도달하고, 고요함을 지키는 것이 짙어지면, 만물이 일제히 일어나게 된다. 나는 그것들(만물)이 다시 (고요함으로) 돌아감을 본다. 그 만물들이 싱싱하게 자라났다가 각기 그 뿌리로 돌아간다. 뿌리로 돌아가는 것을 고요함이라 한다. 고요함은 천명대로 돌아간 것이다.
復命曰常,知常曰明.不知常,妄作凶.知常容,容乃公,公乃王, 王乃天,天乃道,道乃久,沒身不殆.
천명대로 돌아가는 것을 변함없는 법칙이라고 하고, 변함없는 법칙을 아는 것을 현명하다고 한다. 변함없는 법칙을 모르면 망동하여 흉한 일이 일어난다. 변함없는 법칙을 알면 (만물을) 포용하고, 포용하면 공평하게 되고, 공평하면 왕도인 것이고, 왕도는 곧 하늘의 법칙이다. 하늘의 법칙이 바로 도이다. 도는 영원한 것이라 이 도를 따르면 몸이 마칠 때까지 위태로움이 없을 것이다.
十 七 章 (17장)
太上,下知有之. 其次,親之譽之. 其次,畏之. 其次, 侮之.
가장 훌륭한 군주는 아래 사람(백성들)이 (다만 임금이) 있다는 것을 알 뿐이다. 그 다음의 군주는 (백성들이) 그에게 친근감을 가지며, 그를 칭찬한다. 그 다음의 군주는 (백성들이) 그를 두려워한다. 그 다음의 군주는 (백성들이)그를 업신여긴다.
信不足焉,有不信焉. 猶兮其貴言.功成事遂,百姓皆謂我自然.
(군주에게) 믿음성이 부족하면 (백성들은) 그를 믿지 않는다. 조심하여 그 말을 중히 여긴다. (최고의 군주는) 공을 이루고 일을 완수하여도 백성들은 모두 “내가 저절로 그렇게 되게 하였다.”고 말한다.
十 八 章 (18장)
大道廢,有仁義.智慧出,有大偽.六親不和,有孝慈.國家昏亂,有忠臣.
(무위자연의) 큰 도가 없어지니 인의가 생겼고, (인간에게) 지혜가 나타나자 큰 거짓이 생겨나게 되었다. 육친(부자, 형제, 부부)이 화목하지 않으니 효도니 자애니 하는 것이 있게 되고, 나라가 어둡고 혼란해지니 충신이 있게 되었다.
十 九 章 (19장)
絕聖棄智,民利百倍. 絕仁棄義,民復孝慈. 絕巧棄利,盜賊無.
성스러움을 끊어버리고 지혜를 버리면 백성의 이로움이 백배나 더할 것이다. 인(仁)을 끊어버리고 의(義)를 버리면 백성들이 효성스럽고 자애롭게 돌아갈 것이다. 기교를 끊어버리고 이익을 버리면 도적이 없어질 것이다.
此三者,以爲文不足,故令有所屬. 見素抱樸,少私寡欲.
이 세 가지(성스러움과 지혜, 인의, 기교와 이익)를 끊어버리면 백성의 문화 수준이 부족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백성들이 붙일 데를 있게 하려면 소박함을 보여주어서 친하게 하여서 사사로운 마음을 줄이고 욕심을 적게 할 것이다.
二 十 章 (20장)
絕學無憂.唯之與阿,相去幾何. 善之與惡,相去何若.
학문을 끊어버리면 근심이 없어진다. (대답하는) ‘예’와 ‘응’이 서로 얼마나 다르며, 선과 악은 서로 얼마나 다른가?
人之所畏,不可不畏.荒兮其未央哉. 眾人熙熙,如享太牢,如春登臺.
남이 두려워하는 바를 (난들) 두려워하지 않겠는가? (그러나 다른 사람과) 아득히 멀구나, (무위자연의 도를 깨우친 나는) 거기에 미치지 못하는구나. 여러 사람들은 기뻐하면서 소와 양 고기를 즐기는 듯, 봄날 높은 곳에 오른 듯하구나.
我獨泊兮其未兆,如嬰兒之未孩.傫傫兮若無所歸. 眾人皆有餘,而我獨若遺.
(무위자연의 도를 깨우친) 나는 홀로 쓸쓸하구나, 그 조짐도 없는데. 마치 갓난애가 웃으려는 기미도 보이지 않는 것처럼. 피곤하구나, 돌아갈 곳 없는 사람처럼. 여러 사람들은 모두 여유가 있는데, 나만 홀로 버려진 것 같구나.
我愚人之心也哉,沌沌兮.俗人昭昭,我獨若昏.俗人察察,我獨悶悶.
나의 어리석은 마음이여, 흐리멍덩하구나. 세상 사람들은 총명하고 나만 홀로 어둡구나. 세상 사람들 똑똑한데 나만 홀로 멍청하네.
澹兮其若海,飂兮若無止.眾人皆有以,我獨頑似鄙.我獨異於人,而貴食母.
조용하구나, 그것(큰 道)은 바다와 같네. 높이 부는 바람이여, 그것은 멈추지 않는 것 같네. 세상 사람들은 모두 쓸모가 있는데, 나만 홀로 둔하고 어리석다. (그러나) 내가 홀로 남과 다른 것은 식모(만물을 생육하는 어머니)를 귀하게 여긴다는 점이네.
二十 一 章 (21장)
孔德之容,唯道是從.道之為物,唯恍唯惚.惚兮恍兮, 其中有象. 恍兮惚兮 其中有物.
큰 덕의 모습은 오직 도(道)로부터 나온다. 도라는 물건은 오직 황홀하기만 하다. 황홀함이여, 그 속에 형상이 있도다. 황홀함이여, 그 속에 실물이 있도다.
窈兮冥兮, 其中有精. 其精甚真,其中有信.自古及今,其名不去,以閱眾甫.吾何以知, 衆甫之然哉, 以此.
그윽하고 어둡구나, 그 속에 정기가 있도다. 그 정기는 참으로 진실하여, 그 속에 믿음성이 있도다. 옛날부터 지금까지 그 이름이 사라지지 않고, 그것으로 만물의 시초를 볼 수 있다네. 내가 어떻게 그것을 아는가? 만물의 시초가 이것 (道에서 나온다는 것) 때문에 그러하다네.
二十 二 章 (22장)
曲則全,枉則直. 窪則盈,敝則新. 少則得,多則惑.是以聖人抱一 為天下式.
굽어지는 것은 보전되고, 구부리는 것은 펼 수 있으며, 패인 곳에 (물이) 채워지고, (옷은) 해어져야 새 것을 입게 된다. 모자라면 얻을 수 있고, (욕심이) 많으면 미혹된다. 그래서 성인은 하나의 도를 지켜서 천하의 모범이 된다.
不自見,故明. 不自是,故彰. 不自伐,故有功. 不自矜,故長.
(성인은) 스스로 드러내지 않기에 그래서 밝게 나타나고, 스스로 옳다고 하지 않기에 옳은 것이 드러나며, 스스로 자랑하지 않기에 공적이 있고, 스스로 뽐내지 않기에 (그 공적이) 오래 간다.
夫唯不爭,故天下莫能與之爭.古之所謂 ‘曲則全’者,豈虛言哉. 誠全而歸之.
(성인은) 도무지 다투지 않기에 천하에서 그와 다툴 수가 없는 것이다. 옛말에 ‘휘어지는 나무는 안전하다.’는 것이 어찌 빈말이겠는가. 진실로 안전하게 (천하는) 그(道)에게 돌아갈 것이다.
二十 三 章(23장)
希言自然.飄風不終朝,驟雨不終日.孰為此者天地.天地尙不能久,而況於人乎.
도에서 나오는 말은 자연스럽다. 회오리바람은 아침 내내 불지 못하고, 소나기는 종일 내리질 못한다. 누가 이렇게 하는가? 하늘과 땅이 그렇게 한다. 하늘과 땅도 오히려 오래도록 그렇게 하지 못하는데, 하물며 사람이랴.
故從事於道者,同於道. 德者同於德. 失者同於失,
그러므로 도를 따라 일을 하는 사람은 도와 하나가 되고, 덕에 따르는 사람은 덕과 하나가 되며, 잘못에 따라 일을 하는 사람은 잘못과 하나가 된다.
同於道者, 道亦樂得之. 同於德者, 德亦樂得之. 同於失者, 失亦樂得之. 信不足焉,有不信焉.
도와 하나가 된 사람은 도에서 또한 즐거움을 얻고, 덕과 하나가 된 사람은 덕에서 또한 즐거움을 얻으며, 잘못과 하나가 된 사람은 잘못에서 또한 즐거움을 얻는다. 믿음성이 부족하면 (남이 나를) 불신하는 일이 있다.
二十 四 章 (24장)
企者不立,跨者不行,自見者不明,自是者不彰,自伐者無功,自矜者不長.
까치발로 서는 사람은 오래 서지 못하고, 큰 걸음으로 가는 사람은 오래 걷지 못하며, 스스로 나타내는 사람은 밝게 나타내지 못하고, 스스로 잘했다고 하는 사람은 드러나지 않는다. 스스로 자랑하는 사람은 공적이 없고, 스스로 잘난체하는 사람은 오래 가지 못한다.
其在道,曰餘食贅形物 或惡之,故有道者不處.
그것은 도(의 관점)에서 말하면, 남은 음식 같고, 혹 같은 물건이라. 사람들이 싫어한다. 그러므로 도에 따라 행동하는 사람은 그런 일을 하지 않는다.
二十 五 章 (25장)
有物混成,先天地生.寂兮廖兮, 獨立不改, 周行而不殆, 可以爲天下母.
혼돈에서 이루어진 물건(道)이 있었으니, 하늘과 땅이 생기기보다 먼저였다. 고요히 소리도 없고 형체도 없다. 홀로 서서 고치지 않는다. 두루 돌아다니지만 위태롭지 않다. 그것은 천하 만물의 어머니가 될 만하다.
吾不知其名, 字之曰道, 强爲之名曰大. 大曰逝, 逝曰遠, 遠曰反.
나는 그 이름(名)을 모른다. 그래서 자(字, 다른 이름)를 도(道)라고 하고, 억지로 이름을 붙여 큰 것(大)이라고 한다. 큰 것은 안 가는 곳이 없고, 어디에나 가므로 멀리 간다. 멀리 갔다가 다시 돌아온다.
故道大, 天大, 地大, 王亦大. 域中有四大, 而王居其一焉. 人法地, 地法天, 天法道, 道法自然.
그러므로 도는 크고, 하늘도 크고, 땅도 크며, 왕도 또한 크다. 우주에 네 가지 큰 것이 있는데, 왕이 그 중에 하나다. 사람은 땅의 법칙에 따르고, 땅은 하늘의 법칙에 따르고, 하늘은 도의 법칙에 따르며, 도는 자연의 법칙에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