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여년 전 다 민족 통일국가의 일 부분이었고, 기원전 60년에는 한 왕조가 이곳에 신강 도호부를 설치하였는데, 이곳은 현재 바이칼 호와 파미르 지역이었다. 위, 진 남북조 시기에는 서역에 지방관을 파견하여 직접 통치하기도 하였다. 이로서 중앙집권체제가 이곳에 공고화 되었다. 수당시기에는 이곳을 행정관할지로 설정하여 州, 縣, 鄕이 설치되었다. 청조시기에는 이곳에 신강성을 설립하고 우루무치를 그 행정의 중심통치지역으로 삼아 신강성 전체를 통일적으로 관할하였다. 1911년 신해혁명기간에 무장혁명이 혁명당에 의해 일어나기도 하였다. 1921년 중국공산당 창립이후 신강지역 소수민족의 해방에 늘 관심이 경주되었고 1930년대초 이곳에는 이미 공산당이 파견되어 활동 하였다. 1944년 신강의 각지역에서 국민당에 반대하는 폭동이 발생하기도 하였고 결국 1949년 9월에 중화인민공화국에 편입되어 오늘에 이르고있다 |
기후
대륙성 기후에 속하여, 겨울은 길고 추우며 여름은 짧고 덥다. 天山을 경계로 남 북의 기후 차이가 확연하여, 북은 온대 대륙성 건조, 반건조 기후이고, 남쪽은 온대 대륙성 건조 기후이다. 북쪽의 평균 기온은 -4에서 9도, 강수량 150~200미리이며, 남쪽은 년 평균 7~14도, 년 강수량 25~100 미리이다. 투르판 지역이 전국에서 여름이 가장 더워(최고47.7도), "火州"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
자원
풍부한지하자원 지상은 물론 지하 자원이 매우 풍부한 지역이다. 험준한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는 가운데, 그 에너지 자원도 매우 풍부하다. 일조량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목초의 성장이 매우 빨라 목축업에 유리하고 풀력에너지도 매우 풍부하다. 또한 전체 면적의 41.19%가 농, 임, 목축업에 이용되고 있고, 그 면적은 412.5만 헥타르에 이르는 경지면적이 가장 넓은 지역의 하나이다. 광산 자원은 거의 전국의 수위를 차지할 정도로 풍부한데 이미 138종의 지하 자원의 매장이 확인되었으며 석탄, 석유, 가스전은 전국 5위 내에 있다. |
민족의 분포와 언어
민족의 구성 위구르, 한족, 회족, 만주족, 하사크 족, 컬커무족, 몽고족, 러시아족, 타지크족, 우즈베크족, 타타르족, 다둘족, 등 13 개 소수민족이 비교적 오랜기간 동안 거주하고 있다 . 그 가운데 위그루 족이 가장 주된 민족이다 . 그 밖에 34 개의 소수 민족들이 중화인민 공화국 성립을 전후하여 이주하여 거주하고 있다. 언어 대다수소수민족들은 각기의 언어와 문자를 가지고 있다. 위구르어 하사크어, 몽고어, 중국어등 40여년 동안 신강자치구 정부는 소수민족의 언어와 문자의 보존을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자치구내에서는 위구르어와 중국어가 통용되고, 자치주 자치현에서는 다섯종류의 언어가 사용되고 있다. |
자치구내의 종교 분포
다 종교 지역. 이슬람교, 라마교, 그리스정교, 싸만교 등이 있는데 10여개 소수 민족들이 이슬람교를 신봉하고 있다. 전체 종교 사원이 23,000여개 소에 이른다. |
행정구역
13개 州가운데 자치주가 5개이다. 이리하사크 자치주, 버얼타라멍 자치주, 챵지회족 자치주, 바인구워르멍구 자치주, 커무러쑤걸크무 자치주, 그밖에 하미지구, 투르판지구, 아카쑤지구,커쉬지구, 허티엔지구, 이리지구, 타청지구, 아러타이지구 등 8개의 지구가 있다. 그 밖에 9개의 地轄市, 7개의 州轄市가 있으며, 그 밖에 68개의 縣(6개 민족 자치현), 849개의 鄕鎭(42개의 민족향)이 있다. 그 가운데 우루무치에 신강위구르자치구 정부가 있으며, 하사크시, 투루판시, 쿠얼러시, 이닝시, 보러시와 스허즈시가 있다. |
교통 인프라 현황
비행기 중국 국내의 주요도시에서 우루무치의 디우오푸(地窩鋪)공항으로 운행되는 항공편이 많이 운행되고 있다. 베이징에서 3시간 10분(매일 2~5편), 시안에서 1시간 50분(매일 2~3편), 상하이에서 4시간 15분(매일 1~2편), 청두에서 3시간 20분(매일 1~2편)이 소요된다. 그 외의 란저우, 광저우, 선양 등의 주요 도시에서도 항공편이 운항되고, 홍콩에서도 주 2회 운항된다. 타슈켄트로는 주 1회, 알마아타로는 주 2회 운항된다. 디우오프 공항은 시내에서 약 17km 떨어져 있고, 공항에서 시내로는 리무진 버스가 운행된다. 열차 우루무치역은 중국의 서쪽 종착역이라 할 수 있다. 베이징에서는 정저우와 시안을 경유하여 약 3박 4일(68시간) 정도 소요되는 열차편이 있다. 상하이에서는 난징, 정저우, 시안을 경유하여 오는 열차편이 있는데 이 열차편은 중국 내에서 가장 긴 노선으로 4,079㎞이며 74시간이 소요된다. 투루판의 다예윈역에서는 3시간 소요되는 열차편이 있고, 류위안역에서는 18시간이 소요되는 열차가 있다. 그 밖에 중국을 넘어서 알마아타까지 실크로드간을 운행하는 국제열차편도 있다. 열차 중국과 카자흐스탄공화국을 잇는 국제열차의 실크로드 노선이 개통되어 정기적으로 운행되고 있다. 알마아타로 가는 열차편이 주 2회 운행되는데, 화요일에는 우루무치에서 출발(13次/특쾌)하고, 목요일에는 란저우에서 출발(243次/직쾌)하여 우루무치를 거쳐간다. |
신강위구르자치구 산업
경공업 강철, 석유, 석탄, 전자, 기계, 화공, 건재 등 중공업 기반을 갖추고 있다. 경공업으로는 면 방직, 모 방직, 제당, 제지, 자기, 유리, 피혁, 연초 등이 있다. 수공예 상품도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위구르족 동기, 동 조각, 민족악기, 카페트 및 실크가 유명하다. 원유생산/천연가스 90년대 중엽, 신강은 이 지역 지주 산업으로 석유 산업이 확립되어, 커라마이 유전의 경우 년 1,000 만톤을 생산하고 있다. 타리무 유전의 원유 생산은 500만톤, 투하 유전은 300 만 톤으로 3대 유전의 생산량은 각각 전국 4위, 8위, 10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3대 분지에 천연 가스의 매장량은 300억 톤에 이른다. 농업 신강은 농업 위주의 산업 형태를 보이고 있는데, 소맥, 옥수수, 벼, 수수가 주요 작물이다. 경제 작물에는 면화, 유채, 깨, 등 이 있다. 또한 신강은 4대 목축 지역의 하나로 소, 양, 말을 주로 키우고 있으며, 여러 가지 특색 있는 동물을 사육하고 있다. 신강은 중국 최대의 면 생산지이다. 1998년 면화 재배 면적은 884 헥타르, 140만 톤을 생산하여 전국 면 생산량의 수위를 차지하고 있다. 고 품질의 면화 생산 및 가공은 신강의 주력 교역 상품이다. 2000년에는 150만 톤을 생산하였고, 특히 신강 지역의 阿城區는 전국적인 규모의 면화 교역 시장의 중심적 역할을 하고있어 면화의 교역, 운송 모든 서비스를 갖추고 있다. 그이외에 신강 포도를 이용한 포도주 생산 역시 활기를 띠고 있다. 관광산업 실크로드의 요충지역인 신강은 문물고적이 가장 많고, 경관이 독특하며, 경치가 가장 다양한 지역이다. 전문가들은 신강지역의 관광자원의 유형이 가장 풍부한 지역이라고 인정하고 있다. 투루판시에 잇는 高昌故城과 交河故城은 모두 고대 도시의 유적지이며, 파무커리 천불동에는 동굴이 아주 많으며, 건축 양식도 매우 다양하며, 벽화 내용도 매우 풍부한 석굴사절이 유명하다. 위구르족의 건축 양식이 농후한 蘇公塔, 전형적인 이슬람 건축 양식인 香妓墓, 고대 실크로드의 전략적인 돌성인 蘭古城이 있다. 천산천지는 유명한 관광지역으로 기묘한 경관과 울창한 초원이 매우 아름다운 곳이다. 기묘한 전설이 가득한 "화염산"은 대륙의 화염이 승천하는 듯한 경관이 뛰어나며, 해발 8,611미터의 치아거리봉과 "죽음의 바다"로 불리는 타클라마칸 사막, 신비의 하네스 호수, 싸리리무호수, "얼음 개울의 아버지" 무쓰타거봉 등등. 농후한 민족풍과 독특한 문화예술, 소박한 인심과 가무를 사랑하는 이곳의 주민들은 그야말로 매력적인 여행지이다. |
신강자치구박물관(新疆自治區博物館)
박물관은 전형적인 웨이우얼족 건축형식으로 지어져 있으며 3개의 전시지역으로 나뉘어있다. [신강역사문물 전시실] - 이곳에는 실크, 도기, 토용, 화폐, 병기, 문서, 서적등 5만여점의 진귀한 물건이 전시되어 있다. 한나라와 당나라 때 실크의 조화로운 무늬가 그대로 남아있다. 그 가운데 '궈수어'라는 당나라 때의 실크로드 통행증이 있다. 이 '궈수어'는 본인의 신분뿐 아니라 동행인의 숫자, 특징, 여행목적, 여행에 따른 이익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 '궈수어'에는 통과하는 지역이 씌여있어서, 당시 실크로드이 주요 경로를 파악할 수 있으며, 학술적으로 많은 도움을 준다. [미이라 전시실] - 이곳에는 고대 미이라가 전시되어 있어서 관광객들의 눈길을 끈다. 약10여구의 미이라가 있는데, 그중 '하미'에서 출토된 '잠자는 미인'이 유명하다. 이것은 약 3,000년전의 것으로서 중국에서 자장오래되고 잘 보존된 고대 미이라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당나라 초기의 '까오창'왕국의 대장군 '쟝송'의 미이라도 있다. 이것은 '투루판 아스타나' 고분군에서 출토된 것이다. 또한 어른, 어린아이, 황인종 미이라뿐 아니라, 코가 큰 아리안인등의 미이라가 있는 것을 미루어 보면, 옛날에는 신강지역에 여러 민족이 어울려 살았던 것을 알 수 있다. [민족 민속 전시실] - 신강에는 웨이우얼족, 하사커족, 커얼커족, 한족, 회족, 타지커족, 우즈베커족등 10여개 민족이 어울려 살고 있다. 전시실에는 10개의 대표적인 민족을 선정, 실물과 사진등이 전시되어 있다. 각 민족의 의복, 주거, 관혼상제, 축제일, 오락, 음식, 종교등 각 방면의 풍속을 볼 수 있다. |
![]() 한대사주(漢代絲綢) | |||
![]() |
![]() |
![]() |
![]() |
토로번(吐魯番)
동쪽 천산 산맥의 남쪽 산록에 있다. 吐魯番이란, 위구 르어로 ‘ 패인 땅 ’이라는 의미이다. 투루판 분지는 중국에서 표고가 가장 낮은 지역으로 그 중에서도 바닥에 해당하는 애정호의 수면은 면보다 154m가 낮다. 뒤로는 흰 만년설을 두른 천산의 주봉을 볼 수 있다. 투루판은 신강위구르 자치구의 일부분으로, 1975년 7월 15일, 국무원의 비준을 거쳐 성립된 도시이다. 신강과 대륙간의 교통의 요충지로, 서한(西漢)시대부터 오랫동안 서역 지방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다. 실크로드 북행코스의 중요 도시로 해수면 보다 280m가 낮아 중국에서 가장 낮은 곳이며, 세계에서는 이스라엘의 사해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곳이다. 그래서 아시아의 우물'이라고 일컬을 만큼 지리학상으로도 유명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곳은 중국에서 가장 더운 곳으로 연간 최고 기온은 47.5℃, 지표의 온도는 70℃나 된다. 그러나 사막기후의 특성상 일교차가 크기 때문에 해가 지면 급격히 기온이 내려가 15℃ 정도가 된다. 11월에서 3월경까지는 낮에는 23∼24℃ 정도까지 올라가지만, 야간에는 영하 17℃까지 내려가기 때문에 두터운 옷과 준비를 철저히 해야 낭패를 보지 않는다. | ||||
![]() |
![]() |
![]() |
![]() |
![]() |
카스카르(喀什)
서쪽에 자리잡고 있다. 실크로드의 대표적인 도시로, 이국적인 풍물 때문에 실크로드 여행에서 빼놓을 수 없는 도시중의 하나이다. 카스카르에서는 유창한 중국어는 여행에 손해. 그들의 중국에 대한 반감은 신강 어느도시 보다도 강하다. 가능한 한 외국인임을 나타내는 것이 편하고 안전하다. (물론 신강 다른 도시에서도 외국인인 것이 유리하다) 카스는 신강 위구르족 자치구의 극서쪽, 구소련과의 국경선으로부터 약 164㎞ 떨어진 곳에 자리잡고 있는 도시로서 캬슈가르(Kashgar)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동서 문물의 접촉지, 동서 교역의 시장으로 번영하였으며, BC 2세기에 한(漢)나라가 서역(西域)과 교섭을 가졌을 때는 도시 국가를 형성하였는데, 한나라 때는 소륵국(疏勒國)이라고 하였다. 당(唐)나라의 지배를 거쳐 11세기부터 투르크 이슬람의 영향을 받았고, 다시 차가타이 한국(汗國)/티무르왕조의 지배를 받다가, 티무르 왕조 몰락 후인 16세기에 카슈가르 한국이 성립되자 그 수도가 되었다. 청(淸)나라 때에는 반청(反淸) 독립운동을 일으켰다. 1860년 러/청조약으로 시장이 개방되자 러시아인의 왕래가 많아지고, 그 밖에 인도인/아프가니스탄인 등이 혼거하면서 교역에 종사하였다. 그러나 실크로드가 쇠퇴한 후 이곳도 쇠퇴의 길을 걸어 현재는 인구 20만의 소도시로 전락했지만, 실크로드의 역사를 증언하는 도시이다. 현재도 인도/러시아 연방의 교역 중계지로서 곡물/목화/생사/과일 및 가축/피혁제품 등을 집산한다. 주민은 위구르족/한족(漢族) 외에 위의 종족들이 혼주하고 있다. 이국적인 풍물 때문에 아직까지는 관광객들이 찾고 있으며, 중국에서 유일하게 여자들이 베일을 쓰고 다니는 도시이기도 하다. |
고차 : 쿠처(庫車)
일반 사람들에게는 많이 알려지지 않은 관광지이다. 물론 경관은 뛰어나지만 신강위구르 자치구에서 거리가 멀기 때문에 7~8월 성수기를 제외하고는 차를 구하기도 쉽지 않아 외부 관광객은 많이 이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 ||||
![]() |
![]() |
![]() |
![]() |
![]() |
![]() |
![]() |
![]() |
![]() |
![]() |
천지(천산)
우루무치와 90km 상거한 부강현경내의 천산 버거다봉 북쪽 기슭에 위치해 있다. 해발 1,910m의 길이는 3.3㎞이고, 넓이는 평균 1㎞이며, 최고 깊이는 105m이다. 설산의 빙설이 녹아서 합류된 것이다. 천지 풍경구는 관광여건이 보완되어 산간도로가 호수가에까지 개통되어서 관광하기 편하며, 천지 주변에는 침엽수림이 자라는데 박격달봉의 만년설과 어울러져 장관을 이루고 있다. | ||||
![]() |
![]() |
![]() |
![]() |
![]() |
홍산공원
홍산은 여러 해를 거쳐 울창해진 결과 홍산공원이 되었다. 근래에는 청대 민족 영웅인 칙서의 돌조각상과 홍산의 녹화를 기념하는 조각이 있다. 홍산 정상의 "원조루"에 오르면 시내의 모습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시내 중심에 위치한 홍산은 산세가 동서쪽으로 향해 있고, 해발 1,391m의 봉우리를 자랑한다. "호두산", "홍산취"라고도 불리우고 있다 | ||||
![]() |
![]() |
![]() |
![]() |
![]() |
남산목장(南山牧場)
우루무치에서 남쪽으로 75㎞ 어진 곳에 있는 방목 지구로서, 맑고 푸른 하늘, 비단결 같은 초원, 춤추듯 떨어지는 천산폭포가 그림과 같은 풍경을 제공한다. 이 지역은 카자흐족이 모여 살고 있는데, 그들이 사는 파오에서 묵을 수 있고 말을 타는 재미도 누릴 수 있다. | ||||
![]() |
![]() |
![]() |
![]() |
![]() |
소공탑
동쪽 2㎞ 지점에 있는 목납촌에 있는 신강에서 제일 오래된 고탑이다. 청대 명장인 액민화탁이 짓기 시작해 액민탑이라고도 불린다. 액민화탁이 죽고 나자 그 아들이 완공시켰다. 청회색의 원형탑으로 내부에는 나선형 층계 있다. |
백자극리극천불동
화염산 아래에 위치해 있다. 원래는 83개의 동굴이 있었지만 현재 57개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천불동은 현존하는 석굴 중 가장 벽화가 많기로 알려져 있다. 위구르어로 '아름답게 장식된 집'이라는 뜻의 천불동은 너무 많이 손상되어 현재는 초라한 석비들만 남아 있을 뿐이다. |
아사탑나고묘
고창 고성 북쪽에 있는 위치한 이 외국 탐험대에 의해 모습을 드러낸 고분이다. 고창국과 당나라 귀족들의 공동묘지다. 아쓰타나의 뜻은 위구르어로, '영원히 잠든 묘지' 또는 '휴식의 장소'라는 뜻이다. 진귀한 물건들이 많이 출토되었는데 그 중 가장 진귀한 것은 속눈썹과 안의 눈동자까지 볼 수 있는 미이라다. |
파지키리크천불동
낭떠러지 굴착과 흙벽돌을 쌓는 건축형식을 사용했다. 서역의 각이한 민족특징을 반영한 벽화는 상당수가 파손되었지만 남아있는 양도 꽤 된다. 고창지역에서 내용이 풍부하고 보전이 비교적 잘 된 석굴로 알려져 있다. |
화염산(火焰山)
고창고성 뒤로 약 500m 정도의 산으로 약 100㎞에 걸쳐 길게 이어진다. 위구르인은 이 산을 '붉은 산' 이라고 부 는데, 이는 산이 붉은 사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햇빛을 받아 반사하면 마치 불타는 듯한 모양이어서 이런 이름을 붙었다고 한다. 실제로 한 여름에는 표면 온도가 80℃를 넘기 때문에 접근하기조차 어렵다. | ||||
![]() |
![]() |
![]() |
![]() |
![]() |
포도구(葡萄溝)
화염산의 서쪽에 있는 수목원으로 500m 정도 폭으로 길게 약 8㎞쯤 이어지는 계곡의 수로를 따라 나무숲이 이어진다. 이곳에서 나는 포도는 특히 맛이 좋고 달기로 유명하다. 약 200여 종의 포도가 재배되고 있으며, 포도 이외에는 여러 가지 과일들을 재배하고 있다. 두루판이라고 하는 지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지역의특산품은 포도이다. | ||||
![]() |
![]() |
![]() |
![]() |
![]() |
아이드카모스크 사원(艾提朶爾淸眞寺)
1442년에 세워진 신강 위구르족 자치구에서 가장 큰 규모의 이슬람 사원으로, 과거에는 이슬람교 대학으로 사용되었다. 정문은 12m이고, 이 양 옆으로 있는 18m 첨탑은 이슬람 건축 양식을 보인다. 그 안에는 아름다운 조각 무늬로 장식된 홀이 있어 이곳에서 예배드리고 있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평일에는 찾는 사람이 거의 없고, 하루 다섯 번씩의 기도시간에 몇 명 정도만 찾아와 기도한다. |
향비묘(香妃墓)
17세기경 이 지역의 권력자인 아바흐호자의 손녀로 청나라 건룡제의 비가 되었던 여인으로 끝까지 건룡황제를 거부하다가 죽은 여인이다. 그녀는 북경에서 25년간 살다가 죽었는데 그녀의 친정 사람의 소원에 따라 시신이 이곳으로 운구되었다. 그녀의 묘가 바로 향비묘로 지금도 이슬람교를 믿는 위구르인에게는 성지처럼 여겨지고 있다. 녹색의 타일로 벽을 장식한 주요 돔 건물 안에는 이 묘를 만든 호자(和卓)의 묘가 가운데에 자리잡고 있으며, 오른쪽 구석으로 향비가 묘가 안치되어 있다. | ||||
![]() |
![]() |
![]() |
![]() |
![]() |
교하고성
서쪽 10㎞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유적지로 실크로드의 길목이다. 두 갈래의 강이 합류하는 곳이라서 교하고성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실크로드의 교통의 요지였다. 전쟁으로 훼손당했지만 지금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보존이 잘 된 도시라고 평가받고 있다. 고성을 발굴하는 도중 지하 사원과 차사국의 귀족무덤의 바다 진주, 사리 등의 진귀한 물품들이 출토되었다. |
신강위구르자치구의 볼거리
![]() |
![]() |
![]() |
객납사 | 천아호 | 대파찰 |
![]() |
![]() |
![]() |
인민극장 | 한문령 | 수마구 |
![]() |
![]() |
![]() |
천산천지 |
섬서대사 |
오랍박고성 |
![]() |
![]() |
![]() |
신강 민가 | 석인산 | 한등경리사 |
![]() |
![]() |
![]() |
문묘 | 창악성경 | 백양구 |
![]() |
![]() |
![]() |
일호빙천 | 고창고성 | 소공탑 |
![]() |
![]() |
![]() |
련화호 | 남산목장 | 포로극초원 |
![]() |
![]() |
![]() |
오채만 | 마귀성 | 명사산 |
![]() |
![]() |
![]() |
박격달봉 | 새리목호 | 박사등호 |
![]() |
![]() |
![]() |
포도구 | 요마산 | 감아정 |
![]() |
![]() |
![]() |
홍산 | 교하고성 | 고창고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