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롱꽃:
잎은 광택이 없고 흰색 또는 연한 홍자색으로 전국에 분포되어있다 줄기에 털이 많다
산기슭의 풀밭에서 자라며 줄기는 30∼80cm로 곧게 서며 전체에 퍼진 털이 있으며 옆으로 뻗어가는 가지가 있다. 뿌리잎은 잎자루 가 길고 달걀처럼 생긴 심장 모양이며 줄기 잎은 세모진 달걀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피고 흰색 또는 황백색으로 밑을 향해 종 또는 초롱 모양으로 달린다. 화관은 길이 4∼5cm이고 초롱(호롱)같이 생겨 초롱꽃이라고 한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털이 있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씨방은 하위이고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2. 자주초롱꽃 : 줄기와 잎에 짙은 자주색.


3. 금강초롱꽃 : 한국특산종으로 경기도와 강원도 심산에 자생한다 연한 남보라색이다.
초롱꽃과의 금강초롱꽃(Hanabusaya asiatca)은 중부 이북의 높은 산에서 자라며 8~9월에 꽃피는 한국특산식물로 보호 종이다. 30~90cm 높이로 자라며 잎은 어긋나고 4~5개가 돌려 난 것처럼 배열한다. 줄기 끝에 종 모양의 보라색 꽃 1~2개가 아래를 향해 피며 수술은 5개에 암술대는 3개로 갈라져 있다. 금강초롱이 한국특산종임에도 학명에 ‘하나부사’라 되어있는 것은 일제강점기 Nakai가 발견하여 학계에 보고하며 학명을 당시 총독이었던 하나부사로 이름 붙여진 것이다. 우리로서는 금강초롱이라는 우리 이름이 있음에도 학명이 우리나라를 강탈하던 총독의 이름이라 화가 나지만 국제적 규약으로 처음 명명 자가 정한 이름을 바꾸기 어려워 안타까운 상황이다

4. 섬초롱꽃 :
6-8월에 피고 연한 자줏빛 바탕에 짙은 점이 있으며 길이 3-5cm로서 가지와 원줄기 끝에서 밑을 향하여 달린다
- 흰섬초롱꽃과 자주섬초롱꽃이 있다
- 섬초롱꽃은 꽃에 짙은 주근깨 같은 짙은 점이 있다
- 연한 자주색 빛 줄기에 털이 적다
- 줄기가 붉다 잎이 광택이 있다
- 초롱꽃보다 크다
***점이 있으면 섬 초롱종류
초롱꽃과의 섬초롱꽃(Campanula takesimana) 은 울릉도에서 자라며 5~8월 꽃피는 여러해살이 식물이다. 30~100cm정도로 자라며 흔히 줄기에 자주 빛이 도는 편이나 꼭 그렇지는 않다 초롱꽃과의 구별은 줄기에 거의 털이 없이 매끈한 특성을 갖는다. 초롱꽃에 비해 가지도 많이 치는 점이 다르다. 꽃은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종 모양의 붉은 자줏빛의 꽃이 핀다.
물빠짐이 좋고 햇볕이 잘 드는곳에 잘 자란다
초롱꽃은 꽃이 지면 뿌리까지 시들어버리고 옆에 새로 생긴 줄기에서 다음해에 꽃이 핀다


줄기가 붉다

자주초롱과 자주섬초롱의 구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