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두대간에 솟아있는 대야산(大野山, 931m)은 경북 문경시 가은읍과 충북 괴산군 청천면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산이다.일명 대하산, 대화산, 대산, 상대산 등으로도 불리며 대야산 동쪽과 서쪽에 선유동계곡이 있어 선유산이라 부르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능선에 오르면 수려한 암봉이 줄이어 있어 산의 변화가 다채롭고 조망이 시원하다. 또한 용추폭포라는 특이하게 생긴 아름다운 폭포와 함께 소(沼), 화강암 암반으로 장식한 수려한 골짜기 등 볼만한 곳이 곳곳에 산재해 있다.특히 소(沼)와 담(潭), 폭류, 와폭(누운폭포)이 연이어 나오는 계곡은 봄철엔진달래, 산벚꽃, 각종 야생화로 아름답고 여름철엔 화강암 암반 특유의 푸르고 투명한 물줄기로 시원하기 그지없다.이밖에 대야산 위로 떠오르는 아름다운 달이 저절로 상상되는 `월영대'로도 유명하다.

날씨정보 
 ▲ 1코스 벌바위⇒용소⇒월령대⇒피아골(로프구간)⇒대아산⇒대문바위⇒코끼리 바위⇒밀재⇒떡바위⇒월령대
▲ 2코스 이평리(농바위마을)⇒농바위골⇒밀재⇒촛대바위⇒정상⇒서능⇒중대봉 ⇒농바위골⇒이평리
 도로정보 문경시 - 완장리(벌바위) : 34번 국도⇒마성(모곡)3거리(우회전)⇒ 901번 지방도⇒가은읍⇒ 922번 지방도(완장리 방향)⇒상괴리⇒완장리⇒벌바위 종점 청주⇒이평(농바위마을) : 512번 지방도(미원 방향) ⇒미원 ⇒19번국도(괴산 방향)⇒구방리4거리(우회전) - 청천3거리(좌회전) - 금평3거리(우회전)- 32번 지방도(송면 방향) - 송면3거리(화북 방향 직진) - 이평리 농바위마을 증평 - 이평(농바위마을) : 중부고속도로 - 증평IC - 510번 지방도 -증평읍 - 592번 지방도(부흥리 방향) - 청안 - 부흥리4거리(직진) - 금평3거리 - 32번 지방도(송면 방향) - 송면3거리(화북 방향 직진) - 이평리(농바위마을) 서울(동서울터미널 02-446-8000)⇒가은
 문경새재 도립공원 산세가 험하고 높아 대낮에도 혼자 넘지 못해 사람들이모여 함께 넘었다는 문경새재는 영남에서 서울로 가는 길목에 있다.삼국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의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조선 초기 도로망을 정비하면서 길이 열리고 곳곳에 역과 원을 설치했다.임진왜란 당시에도 요충지로 인식되었던 문경새재는 1594년 지금의 제2관문인조곡관이, 숙종때는 제3관문인 조령관과 제1관문인 주흘관이 세워졌다. 선유동 계곡 문경시 가은읍에 있는 선유동은 산수가 빼어나 예로부터 문경의 소금강이라 불려왔다. 붉은 소나무숲과 기암괴석, 큰 바위들로 절경을 이뤄 보는이의 감탄을 자아낸다.계곡 입구 오른쪽에 `학천정'이란 정자가 있는데, 조선 영조 때의 학자 이 재의위덕을 추모하기 위해 이 지역 유림들이 1906년에 건립한 것이다.계곡 입구 왼쪽 절벽 위에는 최치원이 쓴 `선유동'이란 글씨도 있다.
100대 명산 선정사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