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어천서각공방 원문보기 글쓴이: 우광성
5.9.21.
대진大津 물줄기의 근원은 셋이 있다. 하나는 경기도 양지陽智의 곡돈현曲頓峴에서 시
작되고, 또 하나는 청양靑陽의 백월산白月山에서 시작되며, 나머지 하나는 공주公州의
거령車嶺에서 시작된다. 곡돈현曲頓峴에서 시작되는 물줄기는 서남쪽으로 흘러 선원천
禪院川이 되고, 양성현陽城縣의 동쪽에 이르면 왼쪽에서 안성천安城川이 합류한다.【안
성천의 물줄기는 백운산白雲山에서 시작된다. 서쪽으로 흘러 군郡의 동쪽을 지나 오신
천吾信川이 합류하여 서쪽으로 흐른다.】 서쪽으로 흘러 소사素沙에 이르면 왼쪽에서 아
주천牙州川이 합류한다.【아주천의 물줄기는 직산稷山의 성거산聖居山에서 시작된다. 북
----------------------
쪽으로 흘러 직산현稷山縣을 빙 돌아 북쪽으로 꺾어져 서쪽으로 흐른다.】 또 서쪽으로
흘러 다라고비진多羅高飛津이 되며, 오른쪽에서 항곶천亢串川이 합류하며【항곶천의 물
줄기는 수원水原의 광교산光敎山에서 시작된다. 남쪽으로 흘러 유천柳川이 되고, 수원
부水原府의 남쪽을 지나면 만의천萬義川이 합류한다. 서남쪽으로 흘러 방시천方是川에
이르면 왼쪽에서 구흥천駒興川이 합류하며,70) 왼쪽에서 장호천長好川이 합류한다.71) 서
남쪽으로 흘러 항곶천亢串川으로 흘러 들어간다.】 평택현平澤縣을 지나 서북쪽으로 흘
러 곤지진鵾池津이 되고, 망해산望海山에 이르러 경양포慶陽浦가 되며, 왼쪽에서 탁천
濁川이 합류한다. 노산魯山을 지나 서남쪽으로 공진포貢津浦가 되어 행담도行擔島의 북
쪽으로 흘러 들어간다. 돈곶진頓串津이 남쪽에서 흘러와 모이며, 신평新平 고현古縣의
북쪽에 이르러 대진大津이 된다. 면천沔川의 북쪽을 지나면 채원포菜元浦72)가 합류하여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
돈곶진頓串津의 물줄기는 백월산白月出의 북쪽에서 시작된다. 북동쪽으로 흘러 여양黎
陽의 고현古縣을 지나면 왼쪽에서 보수천步水川이 합류하여 내천渿川이 된다. 동북쪽으
로 대흥군大興郡의 동쪽에 이르면 오른쪽에서 달천達川이 합류한다【달. 천의 물줄기는 대
흥大興의 비봉산飛鳳山에서 시작된다. 북쪽으로 흘러 갑양원甲陽院에서 예산禮山 납운
치臘雲峙의 격양천擊壤川과 합류하여 서쪽으로 흘러간다】. 또 북쪽으로 흘러 경결천京結
川이 되고 무한천無限川이 된다. 왕자산王子山 북쪽에 이르러 청지포靑池浦가 되면 왼쪽
에서 금오천金烏川이 합류하여【금오천의 물줄기는 홍주洪州의 오서산烏棲山에서 시작
된다. 북쪽으로 흘러 번천番川이 되고, 홍주洪州의 동쪽에 이르면 월산천月山川이 합류
한다. 서북쪽으로 흘러 금오천金烏川이 되고, 팔봉八峯 동북쪽을 지나면 삽교揷橋가 되
며, 호천狐川이 합류하여 선화천宣化川이 된다. 천안天安의 신종新宗 경계에 이르러 합
덕合德의 피수陂水가 합류하여 정포井浦가 되며, 삼기진三岐津으로 흘러 들어간다.】 삼
---------------
70) 【두주: 구흥천駒興川의 물줄기는 용인龍仁의 보개산寶蓋山에서 시작된다. 서남쪽으로 흘러 갈천葛川이 되었다가, 다시 오산
烏山을 지나 항곶천亢串川으로 흘러 들어간다.】
71) 【두주: 장호천長好川의 물줄기는 용인龍仁의 성한산聖翰山에서 시작된다. 서쪽으로 흘러 양성 陽城 에 이르러 처인천處仁
川이 합류하고, 진위현振威縣을 지나 항곶천亢串川으로 흘러 들어간다.】
72) 【두주: 채원포菜元浦 물줄기는 해미海美의 가야산伽倻山에서 시작된다. 북쪽으로 흘러 대모천大母川이 되었다가, 해미海美의
고현古縣을 지나면 이초천利肖川과 몽산천蒙山川이 합류한다. 북쪽으로 흘러 외맹外孟의 경계를 지나 대진大津과 합류한다.】
------------
기진三岐津이 된다. 동관진은 근포斤浦를 넘어 팔당평八堂坪까지 이른다. 미륵천彌勒川
이 동남쪽에서 흘러와 모이고, 북쪽으로 흘러 신평新平의 고현古縣을 지나면 왼쪽에서
승선천昇仙川이 합류한다.【승선천의 물줄기는 면천沔川의 창택산倉宅山 동쪽에서 시작
된다. 남쪽으로 흘러 면천군의 전천前川과 합류하고, 동쪽으로 돈곶진頓串津으로 흘러
들어간다.】 북쪽으로 행담도行擔島의 동쪽으로 흘러 들어가며, 남쪽으로 공진貢津과 만
나 흘러간다.
미륵천彌勒川의 물줄기는 차령車嶺의 북동쪽에서 시작된다. 북쪽으로 흘러 덕평德坪을
지나면 오른쪽에서 양안천良安川이 합류한다. 서북쪽으로 흘러 풍세豐歲의 고현古縣에
이르면, 왼쪽에서 태화산천太華山川의 물줄기가 합류한다.【태화산천太華山川의 물줄기
는 천안天安의 태화산太華山에서 시작된다.】 또 서쪽으로 흘러 포천布川과 봉천烽川이
되며, 왼쪽에서 기천岐川이 합류하여【기천의 물줄기는 온양溫陽의 각흘치角屹峙에서 시
작된다. 북쪽으로 흘러 시흥역時興驛을 지나 군郡을 빙 돌아 동북쪽으로 흘러간다.】 거윤
탄車輪灘이 된다. 또 서쪽으로 흘러 곡교천曲橋川이 되며, 오른쪽에서 어래현천御來峴川
과 온정천溫井川이 합류하여 단포丹浦가 된다. 팔당八堂에 이르면 서쪽으로 돈곶진頓串
津과 모여 흘러간다.
금강錦江의 물줄기는 호남湖南 장수長水의 수분치水分峙에서 시작된다. 서쪽으로 흘러
용암龍巖에 이르면, 왼쪽에서 장수長水 남천南川이 합류하여【장수長水 남천南川의 물
줄기는 장수長水의 장안산長安山 및 영취산靈鷲山에서 시작된다. 서쪽 현 縣의 서편에
이르러 수분치水分峙의 물줄기와 합류하여 북쪽으로 흐른다.】 송탄松灘이 된다. 북쪽으
로 흘러 탄전呑田에 이르면, 왼쪽에서 진안鎭安의 남천南川이 합류하여【진안鎭安 남천
南川의 물줄기는 마이산馬耳山에서 시작된다.】이포伊浦가 되며, 오른쪽에서 구연동천九
淵洞川이 합류한다. 명치銘峙를 지나면 왼쪽에서 조림천照林川과 정자천程子川이 합류
한다. 또 서쪽으로 흘러 달계達溪가 되고, 용담현龍潭縣의 동쪽에 이르면 왼쪽에서 주자
천朱子川이 합류하며,【주자천의 물줄기는 진안鎭安의 주줄산珠崒山 북쪽에서 시작된다.
북쪽으로 흘러 와룡암臥龍巖을 지나 주자천朱子川이 된다. 동남쪽 용담현龍潭縣에 이르
-------------
러 수성천壽城川이 되어 용추龍湫로 흘러 들어간다】. 오른쪽에서 안자천顔子川이 합류한
다. 동북쪽으로 돌아 흘러 모이어 마산馬山의 용추龍湫가 된다. 부리富利 고현古縣의 동
쪽을 지나 꺾어 흘러 무주茂朱의 서쪽에 이르면 소이진召爾津이 되며, 오른쪽에서 태천
泰川이 합류한다.【태천의 물줄기는 지리智異의 대덕산大德山에서 시작된다. 북쪽으로 흘
러 무풍茂豐의 고현古縣을 지나 살천薩川이 되고, 덕유산德裕山의 횡천橫川과 합류한다.
또 도마치都馬峙의 물줄기와 합류하여 서쪽으로 멀리까지 흘러 무주부茂朱府의 남쪽에
이른다. 또 서쪽으로 흘러 칠암漆巖에 이르러 소이진召爾津으로 흘러 들어간다.】 칠암漆
巖의 북쪽을 지나 거슬러 올라가 광석강廣石江이 되고, 호계虎溪에 이르면 왼쪽에서 제
원천濟原川이 합류하여【제원천의 물줄기는 금산錦山의 월봉산月峯山에서 시작된다. 동
쪽으로 흘러 기시천麒嘶川이 되고, 주줄산珠崒山의 신천新川과 합류한다. 제원관濟原館
을 지나고, 다시 취병翠屛 골짜기를 지나 광석계廣石溪로 흘러 들어가면서 합쳐져 호탄
虎灘이 된다.】 호탄虎灘이 되며, 오른쪽에서 양남천陽南川이 합류해【양남천의 물줄기는
천마산天磨山에서 시작된다.】 동쪽으로 고당강高塘江이 된다. 오른쪽에서 영동永同의 동
천東川과【영동永同 동천東川의 물줄기는 천마산天磨山의 북쪽에서 시작된다.】 송천松川
이 합류하여【송천의 물줄기는 상주尙州의 구봉산九峯山에서 시작된다. 남쪽으로 흘러 화
령化寧과 중모中牟의 고현古縣을 지나 도천道川이 된다. 황간현黃磵縣의 북쪽을 지나 장
교천長橋川과 합류한다.73) 풍산楓山의 고현古縣에 이르러 송천松川이 되고, 다시 돌아 흐
르면서 합쳐져 영연龍淵과 심천진深川津이 되어, 서쪽 고당高塘으로 흘러 들어간다.】 심
천진深川津이 된다. 서쪽으로 흘러 적등진赤登津이 되며, 오른쪽에서 용천龍川이 합류한
다.【용천의 물줄기는 보은報恩 속리산俗離山 문장대文藏臺에서 시작된다. 서남쪽으로 흘
러 보은현報恩縣의 동쪽에 이르러 웅치천熊峙川과 합류한다. 동남쪽으로 흘러 용천龍川
이 되고, 청산현靑山縣의 남쪽에 이르러 남천南川이 되어 서남쪽으로 흘러간다.】 북쪽으
로 흘러 동탄東灘과 인화진仁化津이 되고, 서쪽으로 옥천沃川의 북쪽에 이르면, 왼쪽에
------------
73) 【두주: 장교천長橋川의 물줄기는 지례知禮 삼도봉三道峯의 용추龍湫에서 시작된다. 북쪽으로 흘러 석교石橋의 도마수都磨水
와 합쳐지고, 광평廣坪에 이르러 서북쪽 송천松川으로 흘러 들어간다.】
------------
서 서화천西華川이 합류한다.74) 북쪽으로 흘러 주애향周崖鄕을 지나 말흘탄末訖灘이 되
고, 오른쪽에서 사탄沙灘이 합류한다.【사탄의 물줄기는 회인懷仁의 피반령皮盤嶺 및 구
봉산九峯山에서 시작된다.】 서쪽으로 흘러 형각진荊角津・검단진黔丹津・신탄진新灘
津이 되고, 왼쪽에서 갑천甲川이 합류하여【갑천의 물줄기는 금산錦山의 송원치松院峙
에서 시작된다. 북쪽으로 흘러 청징연淸澄淵이 되면, 진산珍山의 동북쪽에 이르러 유천
柳川이 된다. 용두촌龍頭村에 이르러 성천省川이 되고, 대전천大田川과 합류하여 애천
艾川이 된다. 회덕현懷德縣의 서쪽에 이르러 반암천船巖川이 되고, 유성儒城의 고현古
縣을 지나 북쪽으로 흘러간다.】 덕진德津이 된다. 서북쪽으로 흘러 용당龍塘이 되고, 동
진강東津江과 함께75) 합류하여 나리진羅里津이 된다. 왼쪽에서 두마천豆麽川이 합류하
여 와탄瓦灘이 된다. 효포孝浦를 지나 쌍수雙樹의 북쪽에 이르러 전탄箭灘이 되고, 오른
쪽에서 일신천日新川이 합류한다.【일신천의 물줄기는 공주公州의 쌍령雙嶺에서 시작된
다.】 서남쪽으로 흘러 웅진熊津이 되고, 오른쪽에서 동천銅川이 합류하며,【동천의 물줄
기는 온양溫陽의 각흘치角屹峙에서 시작된다. 남쪽으로 흘러 유구維鳩와 신풍新豐 고현
古縣을 지나, 동쪽으로 꺾여 흐른다.】 왼쪽에서 이인천利仁川이 합류하여 반탄半灘과 석
탄石灘이 된다. 난고蘭皐의 북쪽을 지나면 오른쪽에서 대왕포大王浦와【대왕포의 물줄
기는 부여扶餘의 오산烏山에서 시작된다.】 금강천金剛川이 합류한다.【금강천의 물줄기
는 정산定山의 칠갑산七甲山에서 시작된다. 서쪽으로 흘러 수석동水石洞에 이르러 어항
천於項川이 되고, 사자산獅子山의 물줄기와 합류한다. 청양현靑陽縣을 지나 서천西川과
합류하고, 남쪽으로 흘러 금정金井의 고역古驛을 지나 동쪽으로 꺾어져 작천鵲川이 된
다. 백월산白月山의 물줄기와 합류하여 사수탄泗水灘이 되고, 정산定山의 경계에 이르
--------------
74) 【두주: 서화천西華川의 물줄기는 진산현珍山縣의 만인산萬刃山에서 시작된다. 북쪽으로 흘러 서대산西臺山을 지나 옥천沃川
縣에 이르러 서북쪽으로 흘러간다.】
75) 【두주: 동진강東津江의 물줄기는 충주忠州의 망이산望夷山에서 시작된다. 사창社倉을 지나 진천鎭川의 산정山井에 이르면
가리천加里川[가리천加里川의 물줄기는 죽산竹山의 칠보산七賢山에서 시작된다. 동쪽으로 흘러 광혜원廣惠院을 지나 남
쪽으로 흐른다.], 우천牛川[우천牛川의 물줄기는 진천鎭川의 대문령大門嶺에서 시작된다.]과 주천注川[주천注川의 물줄기
는 음성陰城의 보현산普賢山에서 시작된다.]이 합류하여 남쪽으로 흘러 우○ 牛○이 되고, 또 보련산寶蓮山의 태산천台山川
이 합류한다. 또 청안천淸安川과 증자천曾子川이 합류하여 서쪽으로 꺾어 돌다가 남쪽으로 흘러 오근천梧根川이 된다. 신원
新院에 이르러 작천鵲川이 되고, 피반령皮盤嶺의 물줄기가 합류한다. 적현赤峴에 이르러 살천薩川으로 흘러 들어가 진 진眞
津이 되며, 병천幷川[병천幷川의 물줄기는 목천木川의 ○산 ○山에서 시작된다. 서남쪽으로 흘러 복구정伏龜亭에 이르러 방
산동천方山洞川과 합류하여 소탄所灘이 되어 동남쪽으로 흐른다.]과 합류하여 서남쪽으로 흐른다. 또 전의全義의 생생천生
栍川이 합류하여 남쪽으로 흐른다.】
-------------------
러 금강천金剛川이 된다.】 동남쪽으로 흘러 백마강白馬江이 되고, 부산浮山을 지나면 오
른쪽에서 은산천銀山川과 구량포九良浦가 합류한다.【구량포의 물줄기는 홍산鴻山의 월
명산月明山에서 시작된다. 동쪽으로 흘러 미조천彌造川이 되었다가, 양음산陽陰山의 금
천金川과 합류하여 동쪽으로 흘러 장암場巖에 이른다.】 장암場巖을 지나 고다포古多浦
가 되고, 석성현石城縣의 남쪽에 이르면 수탕천水湯川이 합류한다.【수탕천의 물줄기는
이성尼城의 금굴천金堀川에서 시작된다.】 불암佛巖에 이르러 낭청진浪淸津이 되고, 오
른쪽에서 시포천市浦川이 합류한다.【시포천의 물줄기는 진안鎭安의 주줄산珠崒山의 북
쪽에서 시작된다. 서쪽으로 흘러 용계龍溪가 되고, 양랑소천合陽良所川이 합류한다. 불
명산佛明山을 지나 갈마동渴馬洞을 경유해 서북쪽으로 흘러 거산진居山津이 되며, 북쪽
에서 초포草浦가 합류한다. 서남쪽으로 흘러 황산교黃山橋를 지나 강경포江景浦로 흘러
들어간다.】 강경江景을 지나 황산黃山에 이르면 왼쪽에서 독자천篤子川이 합류한다.【독
자천의 물줄기는 여산礪山의 호산壺山에서 시작된다.】 서쪽으로 꺾어져 청포菁浦과 되
었고 다시 서쪽으로 흘러 성창聖倉을 지나면 오른쪽에서 임천林川과 남천南川이 합류하
고, 왼쪽에서 간교천艮橋川이 합류하여 남당진南塘津이 된다. 오른쪽에서 상지포上之浦
가 합류하여 서진포西鎭浦가 되며, 다시 오른쪽에서 길산천吉山川이 합류하여【길산천의
물줄기는 서천舒川의 저치猪峙에서 시작된다.】 모포茅浦가 된다. 왼쪽에서 옥구沃溝의
전천前川이 합류하여 용당진龍塘津이 되고, 다시 서쪽으로 흘러 서천포舒川浦에 이르러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
종심연鍾沈淵의 물줄기는 홍산鴻山의 황산荒山에서 시작된다. 서쪽으로 흘러 임수대臨
水臺를 지나 아미산峨眉山의 북쪽에 이르러 종심연이 된다. 서쪽 횡천橫川에 이르러 동
남쪽으로 꺾여 불은佛恩에 이르며, 다시 서쪽으로 꺾여 남전藍田을 지나 웅천포熊川浦에
이르러 서쪽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
이상 호서湖西 여러 고을의 강물의 형세에 대해 논했다.
---------------
5.9.22.
속리산俗離山이 남쪽으로 돌아들어 추풍령秋風嶺이 되고, 다시 남쪽으로 돌아들어 덕유
산德裕山이 되었으며, 또 다시 남쪽으로 뻗어 육십치六十峙가 되었다. 육십치가 남쪽으
로 뻗어 유치柳峙와 여원치女院峙가 되어 운봉雲峯과 경계를 이룬다. 육십치가 서쪽으로
뻗어 영취산靈鷲山과 노치蘆峙가 되었다. 육십치의 한 줄기가 서쪽으로 뻗어 장수長水와
경계가 되었으며, 돌아들어 분수치水分峙가 되었다. 육십치의 한 줄기가 서남쪽 보현산
寶賢山과 백공산百工山까지 뻗어 남원南原과 경계를 이룬다. 보현산寶賢山의 한 줄기가
서쪽으로 뻗어 풍악산楓岳山이 되었고, 그 한 줄기가 남쪽으로 다시 뻗어 교룡성蛟龍城
이 되었다. 분수치가 서남쪽으로 뻗어 성수산聖壽山까지 이르며, 그 한 줄기가 서쪽으로
뻗어 고달산高達山・굴치屈峙・두만산斗滿山까지 이르며, 북쪽으로 사현沙峴에까지 이
른다. 다시 동쪽으로 뻗어 용요산龍繞山이 되었고, 남쪽으로 임실任實과 경계를 이룬다.
성수산聖壽山이 뻗어 팔공산八功山이 되었고, 북쪽으로 중대산中臺山과 마이산馬耳山
에까지 이른다.
마이산馬耳山의 한 줄기가 북쪽으로 뻗어 부귀산富貴山에까지 이르러 진안鎭安과 경계
를 이룬다. 마이산이 서남쪽으로 뻗어 웅치熊峙가 되었고, 다시 남쪽으로 뻗어 사자산獅
子山이 되었다. 마이산의 한 줄기가 서북쪽으로 뻗어 만마동萬馬洞・기린봉麒麟峯・건
지산乾止山에까지 이르러 전주全州와 경계를 이룬다. 마이산이 서쪽으로 뻗어 백운산白
雲山과 정각산正覺山이 되었고, 그 한 줄기가 북쪽으로 뻗어 고덕산高德山과 완산完山
에까지 이르며, 북쪽의 전주全州와 맞닿아 있다. 정각산正覺山이 서남쪽으로 뻗어 유치
鍮峙와 새장치塞墻峙이 되었고, 운남산雲南山까지 이른다. 정각산의 한 줄기가 북쪽으로
뻗어 백여치白如峙・무악산毋岳山・탄현炭峴에까지 이르고, 서쪽으로 뻗어 대평산大平
山과 승가산僧伽山이 되어 김제金堤와 경계를 이룬다. 진봉산進鳳山까지 이르러 만경萬
頃과 경계를 이룬다. 탄현炭峴이 서남쪽으로 뻗어 봉두산鳳頭山이 되어 금구金溝와 경계
를 이룬다. 백여치白如峙가 서쪽으로 뻗어 상두사象頭寺의 산에까지 이르고 남쪽으로 태
인泰仁과 경계를 이룬다. 운남산雲南山이 남쪽으로 뻗어 묵방산墨方山과 운주산雲住山
-------------
에까지 이르고, 서쪽으로는 굴치屈峙와 칠보산七寶山에까지 이른다. 돌아들어 둔월치屯
月峙가 되었고, 그 한 줄기가 서쪽으로 뻗어 응산鷹山에까지 이르러 정읍井邑과 경계를
이룬다. 또 돌아들어 갈치渴峙가 되었고, 동쪽으로 뻗어 복흥福興의 고현古縣과 경계를
이룬다. 또 남쪽으로 뻗어 내장산內藏山이 되었다. 마이산이 뻗어 서북쪽으로 주줄산珠
崒山이 되었고, 그 한 줄기가 북쪽으로 뻗어 유치杻峙까지 이르며, 동쪽으로는 용강산龍
崗山까지 이르러 용담龍潭과 경계를 이룬다. 또 북쪽으로 뻗어 왕사봉王師峯에까지 이르
며, 그 한 줄기가 다시 서쪽으로 뻗어 불명령佛明嶺・만목령萬木嶺・수령秀嶺에까지 이
르고, 다시 돌아들어 문수산文殊山이 되었다. 남쪽으로 뻗어 봉산鳳山에까지 이르러 고
산高山과 경계를 이룬다. 수령秀嶺이 북쪽으로 뻗어 호산壺山에까지 이르러 여산礪山과
경계를 이룬다. 문수산文殊山이 서쪽으로 뻗어 문현文峴・미륵산彌勒山・건지산乾止山
에까지 이르러 익산益山과 경계를 이룬다. 미륵산彌勒山이 북쪽으로 뻗어 무학산舞鶴山
까지 이르러 용안龍安과 경계를 이룬다. 또 미륵산이 서쪽으로 뻗어 함라산咸羅山에까지
이르러 함열咸悅과 경계를 이루며, 서남쪽으로 뻗어 취성산鷲城山과 병산苪山에까지 이
르러 임피臨陂와 경계를 이룬다. 취성산鷲城山이 서북쪽으로 뻗어 오성산五聖山까지 이
르고, 또 서쪽으로 월하산月下山・오봉산五峯山・발산鉢山에까지 이르러 옥구沃溝와
경계를 이룬다. 왕사봉王師峯이 돌아들어 병산屛山이 되었고, 그 한 줄기가 동쪽으로 뻗
어 월봉月峯과 소산所山에까지 이르러 금산錦山과 경계를 이룬다. 왕사봉의 한 줄기가
북쪽으로 뻗어 오대산五臺山과 인대산仁大山에까지 이르러 진산珍山과 경계를 이룬다.
내장산內藏山이 동남쪽으로 뻗어 백암산白巖山이 되었고, 산의 한 줄기가 남쪽으로 뻗
어 용구산龍龜山과 몽선산夢仙山에까지 이른다. 서북쪽으로 뻗어 색치塞峙와 성자산聖
子山에까지 이르러 장성長城과 경계를 이룬다. 백암산이 돌아들어 곡도치曲道峙와 멸치
滅峙가 되었고, 동쪽으로 뻗어 추월산秋月山과 용천산龍泉山에까지 이른다. 백암산의 한
줄기가 동쪽으로 뻗어 무이산武夷山과 추산追山에까지 이르러, 순창淳昌과 경계를 이룬
다. 용천산龍泉山의 남쪽이 금성진金城鎭이고, 또 남쪽으로 뻗어 고비산高飛山에까지 이
르며, 그 한 줄기가 서쪽으로 남산南山에까지 뻗어 담양潭陽과 경계를 이룬다. 고비산高
--------------
飛山이 남쪽으로 뻗어 세암細巖과 과실산果實山이 되었고, 그 한 줄기가 다시 동쪽으로
뻗어 설산雪山이 되어 옥과玉果와 경계를 이룬다. 또 고비산이 돌아들어 옥천산玉泉山이
되었고, 그 한 줄기가 동쪽으로 뻗어 남치藍峙・성덕산聖德山・통명산通明山에까지 이
른다. 북쪽으로 묘치猫峙와 동락산動樂山에까지 뻗어 곡성谷城과 경계를 이룬다. 성덕산
聖德山이 남쪽으로 백아산白鵝山・송현松峴・운알치雲遏峙・모후산母后山에까지 뻗
어 동복同福과 경계를 이룬다. 옥천산玉泉山이 서남쪽으로 돌아들어 만덕산萬德山과 무
등산無等山에까지 이르며, 그 한 줄기가 서쪽으로 뻗어 광주光州와 경계를 이룬다. 옥천
산의 한 줄기가 남쪽으로 나한산羅漢山에까지 뻗어 화순和順과 경계를 이루며, 그 한 줄
기가 동쪽으로 월봉月峯과 고산高山에까지 뻗어 평창昌平과 경계를 이룬다. 무등산無等
山이 동남쪽으로 뻗어 경산景山과 구봉산九峯山에까지 이르며, 서쪽으로 뻗어 청운산天
雲山이 되었고, 남쪽으로 뻗어 중조산中條山과 여점산呂岾山에까지 이른다. 서쪽으로 뻗
어 화악산華岳山에까지 이른다. 무등산의 한 줄기가 북쪽으로 뻗어 웅치熊峙・천불산千
佛山・망해산望海山에까지 이르고, 동북쪽으로 운산雲山에 이르러 능주綾州와 경계를
이룬다. 화악산華岳山이 돌아들어 봉미산鳳尾山이 되었고, 그 한 줄기가 북쪽으로 뻗어
덕룡산德龍山과 풍산楓山에까지 이르러 남평南平과 경계를 이룬다. 봉미산鳳尾山이 돌
아들어 쌍계산雙溪山・가음산加音山・둔덕치屯德峙가 되고, 그 한 줄기가 동쪽으로 뻗
어 고야치古也峙에까지 이르렀는데, 남쪽에 도강道康의 고현古縣이 있다. 고야치古也峙
가 동쪽으로 뻗어 수인산修仁山에까지 이르러 장흥長興과 경계를 이룬다. 둔덕치屯德峙
가 서남쪽으로 뻗어 화치火峙와 월출산月出山에까지 이르러 영암靈巖과 경계를 이룬다.
서쪽으로 뻗어 도갑道岬과 구림鳩林이 되었다. 월출산月出山이 남쪽으로 뻗어 가학산駕
鶴山이 되었고, 동쪽으로는 서기산瑞氣山에까지 이르며, 그 한 줄기가 서쪽으로 뻗어 보
은산寶恩山에까지 이르러 남쪽 강진康津과 경계를 이룬다. 서기산瑞氣山이 남쪽으로 뻗
고, 서쪽으로 돌아들어 대둔산大芚山과 금강산金剛山이 되어 해남海南과 경계를 이룬
다. 서기산이 서쪽으로 옥매산玉埋山과 일성봉日星峯에까지 뻗어 우수영右水營이 되었
고, 남쪽으로는 명량포鳴梁浦와 맞닿아 있다. 일성봉日星峯의 서북쪽에 등산포登山浦가
-------------
있다. 화악산華岳山이 남쪽으로 돌아들어 용두산龍頭山과 억불산億佛山이 되었고, 그 한
줄기가 남쪽으로 뻗어 불용산佛湧山과 천관산天冠山에까지 이른다. 억불산億佛山이 동
북쪽으로 뻗어 사자산獅子山과 가야산伽倻山에까지 이르고, 그 한 줄기가 북쪽으로 덕산
德山에까지 뻗어 보성寶城과 경계를 이룬다. 가야산伽倻山의 한 줄기가 동남쪽으로 돌아
들어 지래산支來山・망주산望主山・간둔산看屯山에까지 뻗어 흥양興陽과 경계를 이룬
다. 또 가야산이 돌아들어 금화산金華山과 금전산金錢山이 되어, 낙안樂安과 경계를 이
룬다. 또 가야산이 동북쪽으로 뻗어 분계치分界峙와 조계산曹溪山에까지 이르며, 동쪽으
로는 주치舟峙에까지 이른다. 가야산의 한 줄기가 남쪽으로 뻗어 대구치大口峙와 난봉산
鸞鳳山에까지 이르러 순천順天과 경계를 이룬다. 대구치大口峙의 한 줄기가 동쪽 송치松
峙에까지 뻗고, 다시 돌아들어 계족산鷄足山이 되었으며, 그 한 줄기가 남쪽으로 성성치
省成峙와 난봉산靈鷲山에까지 이르러 여수麗水의 고현古縣과 경계를 이루며, 좌수영左
水營이 된다. 또 뻗어 남쪽 백계산白鷄山에까지 이르러 광양光陽과 경계를 이룬다.
내장산內藏山이 서남쪽으로 뻗어 입암산笠巖山이 되었고, 동쪽으로는 노령蘆嶺과 반등
산半登山에까지 이르며, 그 한 줄기가 서북쪽 배풍현培風峴에까지 이르러 흥덕興德과 경
계를 이룬다. 내장산의 한 줄기가 북쪽으로 뻗어 율현栗峴과 소로령小蘆嶺에까지 이르
며, 서북쪽으로는 묵방산墨方山에까지 이르고, 북쪽으로 도동산道洞山에까지 이르러 부
안扶安과 경계를 이룬다. 율현栗峴이 북쪽으로 두승산斗升山에까지 이르러 고부古阜와
경계를 이룬다. 반등산半登山이 남쪽으로 뻗어 취령산鷲靈山에까지 이르며, 그 한 줄기
가 북쪽으로 뻗어 고창高敞과 경계를 이룬다. 또 반등산의 한 줄기가 남쪽으로 뻗어 용진
산湧珍山과 금성산錦城山이 되어, 나주羅州와 경계를 이룬다. 취령산鷲靈山이 서남쪽으
로 뻗어 구왕산九王山과 마점摩岾에까지 이르며, 그 한 줄기가 서쪽으로 수퇴산水退山에
까지 이르러 영광靈光과 경계를 이룬다. 또 돌아들어 서북西北에 이르러 덕림산德林山이
되어, 무장茂長과 경계를 이룬다. 취령산이 서쪽으로 뻗어 법성포法聖浦에까지 이른다.
마점摩岾이 남쪽으로 굽이돌아 기산箕山에까지 이르러 함평咸平과 경계를 이루며, 또 돌
아들어 감방산坎坊山과 연징산淵澄山이 되어 무안務安과 경계를 이룬다. 또 서남쪽으로
--------------
뻗어 승달산僧達山에까지 이르며, 그 한 줄기가 오룡산五龍山에까지 이르러 남쪽으로 주
룡포駐龍浦와 맞닿아 나주羅州와 삼향三鄕 고현古縣과 경계를 이룬다.
이상 호남湖南 여러 고을의 산의 형세에 대해 논했다.
5.9.23.
사호강沙湖江의 물줄기는 담양潭陽의 용천산龍泉山에서 시작된다. 남쪽으로 흘러 원률
천原栗川이 되었고, 담양부潭陽府에 이르러 동북쪽으로 꺾어져 서남쪽으로 흘러 죽연천
竹緣川이 되었다. 오른쪽에서 신천薪川이【신천의 물줄기는 담양潭陽의 멸치滅峙에서 시
작된다.】 왼쪽에서 대교천大橋川과 합류한다.【대교천의 물줄기는 옥천산玉泉山에서 시
작된다.】 또 서남쪽으로 흘러 창평현昌平縣에 이르면 왼쪽에서 삼지강三支川이 합류하여
【삼지강의 물줄기는 광주光州의 무등산無等山에서 시작된다.】 칠천漆川이 되고, 왼쪽에
서 건천巾川이 합류하여【건천의 물줄기는 무등산無等山에서 시작된다.】 벽진碧津이 되
며, 오른쪽에서 구등천九登川이 합류한다.【구등천의 물줄기는 장성長城의 삼성산三聖山
에서 시작된다.】 극락평極樂坪을 지나면 황룡강黃龍川이【황룡강의 물줄기는 장성長城의
백암산白巖山 및 입암산笠巖山에서 시작된다. 창평昌平의 갑향천甲鄕川과 합류하여 서
남쪽으로 흘러 청암靑巖의 남쪽에 이르러 봉덕천鳳德淵이 된다. 서쪽으로 꺾어져 부府를
빙 돌아 흐르고, 또 남쪽으로 흘러 선연船淵이 되며, 가천可川76)과 합류한다. 남쪽으로 흘
러 봉황연鳳凰淵이 되고, 선암원仙巖院을 지나 극락평極樂坪의 왕자대王子臺에 이르러
칠천漆川과 합류한다.】 서쪽에서 흘러와 극락강極樂江에서 모인다. 왕자대王子臺에 이르
면 지석강砥石江이 동쪽에서 흘러와 모인다. 나주읍羅州邑을 빙 돌아 광탄廣灘이 되고,
다시 꺾여 흐르다가 노계암鸕鷄巖에 이르러 금진錦津이 되고 영강榮江이 되며, 또 다시
서쪽으로 흘러 회포回浦가 된다. 왼쪽에서 송지천松只川이 합류하고,【송지천의 물줄기는
------------------
76) 【두주: 가천可川의 물줄기는 장성長城의 노령蘆嶺에서 시작된다. 서남쪽으로 흘러 옛 장성長城을 지나 봉암鳳巖에 이르면 문
필천文筆川이 합류하여 황룡강黃龍江으로 흘러 들어간다.】
------------
나주羅州의 쌍계산雙溪山에서 시작된다.】 고막원古幕院에 이르면 오른쪽에서 작천鵲川
이 합류하여【작천의 물줄기는 영광靈光의 고성산高城山에서 시작된다. 남쪽으로 흘러 영
광靈光의 사창社倉을 지나고 함평咸平의 동쪽 경계를 지나 고막원古幕院에 이르러 사호
강沙湖江으로 흘러 들어간다.】 사호진沙湖津이 되며, 오른쪽에서 함평咸平의 전천前川이
합류한다.【원류는 모두 함평咸平 모악산母岳山에서 나온다.】 서남쪽으로 흘러 곡강포曲
江浦・이산포梨山浦・몽탄포夢灘浦・주룡포駐龍浦가 되며, 왼쪽에서 덕진포德津浦가
합류한다. 엄산奄山을 지나 목포木浦가 되고 서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덕진德津
의 물줄기는 영암靈巖의 월출산月出山에서 시작된다】.
지석강砥石江의 물줄기는 능주綾州의 여점산呂岾山에서 시작된다. 서북쪽으로 흘러 능
주읍綾州邑을 빙 돌면 도천道川이 합류하고, 또 웅치熊峙의 저포천猪浦川이 합류한다.
서북쪽으로 흘러 남평현南平縣에 이르러 성탄城灘이 되며, 서쪽으로 왕자대王子臺에
이르러 어천魚川과 합류하여77) 서쪽 소호강沙湖江으로 흘러 들어간다.【도천道川의 물
줄기는 무등산無等山에서 시작된다. 남쪽으로 흘러 냉천冷川이 되고, 십천十川과 합류
하여 도천道川이 된다. 동쪽으로 흐르다가 서쪽으로 꺾어져 화순현和順縣의 동쪽에 이
르러 지소천紙所川과 합류하여 삼천三川이 되고, 벌고천伐古川과 합류하여 죽청천竹靑
川이 된다.】
섬강蟾江의 물줄기는 진안鎭安 마이산馬耳山의 중대中臺 및 전주全州의 웅치熊峙에서 시
작된다. 두 물이 만나 서남쪽으로 흘러 진안鎭安의 서천西川이 되고, 임실현任實縣의 북쪽
에 이르러 오원천烏原川이 되며, 왼쪽에서 갈천葛川이 합류한다.【갈천의 물줄기는 임실任
實의 두봉산斗峯山에서 시작된다.】 서쪽으로 흘러 새장치塞墻峙과 운남산雲南山을 지나
면 오른쪽에서 양발천良發川이 합류한다.【양발천의 물줄기는 임실任實의 백운산白雲山에
서 시작된다.】 남쪽으로 꺾어져 흐르는데, 오른쪽에서 점암천鮎巖川이 합류하고【점암천의
물줄기는 정읍井邑의 내장산內藏山 동쪽에서 시작된다. 동쪽으로 굽이굽이 흐르다가 임
실任實의 경계로 들어가며, 동남쪽으로 흘러 남천南川이 합류하여 잠계涔溪가 된다. 복흥
-----------------
77) 【두주: 어천魚川의 물줄기는 남평南平의 덕룡산德龍山에서 시작된다.】
------------------
福興의 고현古縣을 지나 점암천點巖川이 되었다가, 북쪽으로 꺾어져 흘러 회문산回文山
을 지나 동쪽 갈담葛潭으로 흘러 들어간다.】 왼쪽에서 구고천九皐川이 합류하여【구고천의
물줄기는 임실任實의 백련산白蓮山에서 시작된다.】 갈담葛潭이 된다. 동남쪽으로 흐르는
데, 왼쪽에서 순천鶉川이 합류하여【순천의 물줄기는 장수長水의 성수산聖壽山에서 시작
된다. 서남쪽으로 흘러 평당원천坪堂院川이 되고, 순우평鶉隅坪을 지나 순천鶉川이 되며,
인수䱯樹를 지나면 사치沙峙의 거령천居寧川이 합류하여 삼계三溪가 되어, 서남쪽으로
흘러간다.】 적성강赤城江이 된다. 또 남쪽으로 흐르는데, 오른쪽에서 이천伊川이 합류하여
【이천의 물줄기는 순창군淳昌郡 서쪽의 광덕산廣德山 및 무이산武夷山에서 시작된다. 동
쪽으로 흘러 순창군의 남쪽을 지나면, 왼쪽에서 흥로치興蘆峙의 물줄기가 합류하고, 오른
쪽으로 여매암與梅巖의 물줄기와 합류하여 동쪽으로 흘러 이천伊川이 되며, 연탄淵灘으
로 흘러 들어가 서남쪽으로 흐른다.】 연탄淵灘이 된다. 또 서남쪽으로 흘러 제암霽巖을 지
나면 오른쪽에서 선각천仙脚川이 합류한다. 【선각천의 물줄기는 옥과玉果의 옥천산玉泉
山 및 성덕산聖德山에서 시작된다.】 동쪽으로 흘러 아니도阿尼島에 이르면 왼쪽에서 요천
蓼川이 합류하여【요천의 물줄기는 장수長水의 육십치六十峙 남쪽 장안산長安山 및 영취
산靈鷲山에서 시작된다. 서남쪽으로 흘러 수분현水分峴을 지나 반암천潘巖川이 되고, 남
원부南原府의 동쪽에 이르면 반야봉般若峯의 원천源川과 합류한다. 서남쪽으로 꺾어져
흘러 주포周浦와 금애金崖를 지나 순강鶉江으로 흘러 들어간다.】 순자강鶉子江이 된다. 동
남쪽으로 흘러 압록진鴨綠津에 이르면, 낙수洛水가【낙수의 물줄기는 장흥長興의 남쪽 웅
치熊峙 및 중조산中條山에서 시작된다. 두 물줄기가 장택長澤의 고현古縣에서 만나 동쪽
으로 흘러 보성군寶城郡의 북쪽에 이르러 남쪽으로 꺾어졌다가, 다시 북쪽으로 흘러 정자
천亭子川이 되며, 적벽강赤壁江이 합류한다. 낙수역洛水驛을 지나 낙수진洛水津이 되고,
동북쪽으로 석곡원石谷院을 지나 압록원鴨綠院에 이르러 대황진大荒津이 되며, 순강鶉江
으로 흘러 들어간다.】 남쪽에서 흘러와 모인다. 또 동쪽으로 흘러 잔수진潺水津이 되고, 죽
연竹淵이 되며, 왼쪽에서 소아천所兒川이 합류하여【소아천의 물줄기는 남원南原의 율령
현栗岺峴에서 시작된다.】 구연九淵이 된다. 화개동花開洞에 이르면 오른쪽에서 쌍계雙溪
----------------
의 물줄기가 합류하여 용왕연龍王淵이 되고, 남쪽으로 흘러 두치강豆置江이 되었다가 바
다로 흘러 들어간다.【쌍계雙溪의 물줄기는 지리산智異山의 향적봉香積峯에서 시작된다.
남쪽으로 흘러 화개동花開洞을 지나 용왕연龍王淵으로 흘러 들어간다】.
적벽강赤壁江의 물줄기는 담양潭陽의 남쪽 덕산德山에서 시작된다. 남쪽으로 흘러 오여
동烏餘洞을 지나 이점천耳岾川이 되며 배존천裵存川이 합류한다. 남쪽으로 올라가 창랑
연滄浪淵이 되고, 영신천靈神川이 합류한다. 적벽赤壁을 지나 만경대萬景臺 남쪽에 이르
러 성암연星巖淵이 되어 낙수洛水로 흘러 들어간다.
사수천泗水川의 물줄기는 용담龍潭의 주줄산珠崒山에서 시작된다. 서쪽으로 흘러 고산
高山의 동쪽에 이르러, 불명산佛明山과 운제산雲梯山의 물줄기가 합류한다. 서남쪽으로
흘러 안천雁川과 양정포良正浦가 되며, 삼례역參禮驛 앞에 이르면 추천楸川이 합류하여
횡탄橫灘이 되고, 삼례參禮의 동천東川이 합류한다. 회포回浦의 경계를 지나면 익산益
山 용화산龍花山의 춘포春浦가 합류하며, 행락암行樂巖에 이르면 황등동黃登洞의 물줄
기가 합류한다. 이성창利城倉에 이르면 이성천利城川이 합류한다. 동창東倉을 지나 신창
원新倉院에 이르러 신창진新倉津이 되며, 임피臨陂의 전천前川이 합류한다. 입석立石・
진봉進鳳・길곶吉串의 북쪽을 지나고 군산포群山浦를 지나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추천
楸川의 물줄기는 전주全州 여현礪峴에서 시작된다. 서북쪽으로 흘러 만마동萬馬洞을 지
나 전주부全州府에 이르러 동남쪽으로 꺾여 서북쪽으로 흘러간다. 가련산可連山에 이르
러 소천溸川과 합류하여 추천楸川이 되고, 대야천大也川이 합류하여 북쪽으로 흐르다가
삼례參禮에 이르면 안천雁川이 합류한다.】 소천溸川【소천의 물줄기는 전주全州의 무악
산毋岳山 및 새장치塞墻峙에서 시작된다. 두 물길이 합류하여 삼천三川이 되고 북쪽으로
추천楸川과 합류한다.】 대야천大也川【대야천의 물줄기는 전주全州의 웅치熊峙에서 시작
된다. 서쪽으로 흘러 송광동松廣洞을 지나면 송광천松廣川이 합류하고, 초곡草谷을 지나
면 상관천上官川이 합류하여 서쪽 추천楸川으로 흘러 들어간다】.
동진강東津江의 물줄기는 정읍井邑의 내장산內藏山에서 시작된다. 서쪽으로 흘러 치천
鴟川이 되었다가, 정읍현井邑縣을 지나면 내장산內藏山과 입암산笠巖山의 목제천木梯
----------------------
川이 합류한다. 다시 서북쪽으로 흘러 모천茅川이 되고, 이평梨坪에 이르면 대각천大角
川이 모여들고, 백산白山에 이르면 고부古阜 율치栗峙의 눌제천訥提川과 김제金堤의 식
포食浦가 합류한다. 태극포천太極浦川이 합류하여 동진東津이 되고, 부안扶安의 동쪽 경
계를 지나 서북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대각천大角川의 물줄기는 태인泰仁의 상두
산象頭山에서 시작된다. 대천大川이 되었다가 굴치屈峙의 물줄기와 합류하고 서북쪽으
로 흘러 태인泰仁의 남천南川과 합류한다. 이평梨坪을 지나면 모천茅川과 합류한다.】 태
극포천太極浦川【태극포천의 물줄기는 태인泰仁의 무악산毋岳山과 상두산象頭山 등에
서 시작된다. 서쪽 벽골제碧骨堤를 지나 호포狐浦가 되어, 식포食浦로 흘러 들어간다】 .
사진포沙津浦의 물줄기는 고창高敞의 반등산半登山에서 시작된다. 서북쪽으로 흘러 해
천蟹川이 되고, 서쪽으로 흘러 소요산逍遙山과 수광산水光山을 빙 돌아 격포格浦와 선운
포禪雲浦가 합류하여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선운포禪雲浦의 물줄기는 고창高敞의 반등
산半登山 및 무장茂長의 취령산鷲靈山에서 시작된다. 서북쪽으로 흘러 도산천道山川이
되었다가, 고창현高敞縣을 지나 동북쪽으로 꺾어지고, 다시 서쪽으로 흘러 취령산鷲靈山
의 죽천竹川 및 칠교천漆橋川과 인천仁川이 합류하여 장연천長淵川이 된다. 무장茂長의
전천前川이 합류하고, 다시 북쪽으로 흘러 선운산禪雲山에 이르러 선운포禪雲浦가 된다.
수광산水光山에 이르러 사진沙津으로 흘러 들어간다】.
예양강汭陽江의 물줄기는 나주羅州의 쌍계산雙溪山에서 시작된다. 동쪽으로 흘러 장흥부
長興府를 빙 돌아 서쪽으로 흘러 예양강汭陽江이 된다. 사인암舍人巖에 이르러 작천鵲川
이 합류한다. 서쪽 강진현康津縣에 이르러 남쪽으로 흘러 구십포九十浦가 된다. 주교천舟
橋川이 합류하여 남쪽으로 흘러 탐진耽津이 되어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작천鵲川의 물줄
기는 영암靈巖의 월출산月出山의 남쪽에서 시작된다. 동쪽으로 흘러 송계松溪의 고현古
縣을 지나 도강道康의 고현古縣에 이르면, 남쪽에서 화치천火峙川이 합류한다. 장흥長興
에 이르면 서쪽으로 흘러 금천錦川이 되었다가, 남쪽 예양강汭陽江으로 흘러 들어간다】
이상 호남湖南 여러 고을의 강물의 형세에 대해 논했다.
-----------------
지금까지의 산과 강물의 형세에 대한 기술은 모두 이전 사람들의 기록에서 나온 것이다.
또한 여지輿誌나 읍지邑誌 및 각가各家의 기록을 참고하여 살펴보고서, 이를 모아 한 편
으로 엮은 것이다. 우리나라 삼백 고을의 산과 강물의 형세를 손바닥 위에서 보는 듯 명료
하게 볼 수 있도록 하여, 영애嶺阨78)나 나루를 방어하는 요충지와 수레나 말, 배가 오가는
길을 앉아서도 헤아릴 수 있게 했다. 험준한 곳에 방어벽을 설치하는 계책을 말하자면, 지
형의 험준함은 물길이 산만 못하고, 방어하는 요체는 기병騎兵이 보병步兵만 못하다. 이
것은 예로부터 병가兵家에서 명확히 보인 것이고, 쉽게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병과 보병의 운용은 각기 그 장단점이 있다. 이것은 오로지 장군이 전진戰陣에
서 적을 제압하는 한때의 전략에 달려 있다. 그러니 만일 산천이 험하다면 한 번만 득실得
失의 형세를 살펴 그 형세에 따라 필요한 대책을 세우면 만세의 이로운 점이 될 것이니,
이것은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이 반드시 살펴야만 하는 것이다.
비유하자면, 바둑의 대국對局・착수着子・수세隨手・응변應變과 같다. 바둑은 오직 바
둑 두는 사람의 공교로움과 졸렬함에 달려 있지만, 좌우 19줄을 정렬한 후에 이팔二八의
자리에 흑백을 먼저 포진하니,79) 이것은 변하지 않는 규칙이다. 바둑판을 좌우 19줄로 하
는 것은 산천의 형세와 같고, 먼저 이팔二八의 자리에 흑백을 먼저 포진하는 것은 험준한
곳에 의지해 방어할 곳을 설치하는 것과 같다. 대국對局・착수着子・수세隨手・응변應
變은 전진戰陣에서 적을 제압하는 때의 전략과 같다. 비록 바둑을 잘 두는 혁추奕秋80)로
하여금 바둑을 두게 하더라도, 진실로 19줄을, 그리고 흑백을 포진하지 않는다면 바둑을
둘 수가 없을 것이다. 가령 태공太公에게 병법兵法에 대해 얘기하게 하더라도, 진실로 험
준한 곳에 방어진을 설치하지 못하게 한다면, 적을 방어하지 못할 것이다.
그래서 손자孫子는 “방어를 잘하는 자는 깊이를 헤아릴 수 없는, 깊은 땅 속에 감춘 것 같
다.”고 하면서, “그래서 능히 스스로를 보존하면서 온전한 승리를 얻는다.”고 했고, 또 “싸
움을 잘하는 자는 패하지 않는 위치에 선다.”고 했으며, “적보다 먼저 전쟁터에 가서 적을
----------------
78) 영애嶺阨: 고개가 좁고 험하여 군사 요충지 성격인 관문關門이 설치되어 있는 곳을 일컫는다.
79) 【두주: 이팔흑백二八黑白은 다만 우리나라에서 두는 바둑 방식에 대해 논한 것이다. 살펴보건대, 이것이 마땅한 방법인 듯하다.】
80) 혁추奕秋: 바둑을 잘 두는 자로 이름이 추秋이다. 『맹자孟子』「고자 상告子上」에 보인다.
--------------------
기다리면 편안하지만, 적보다 늦게 전쟁터와 와서 급하게 싸우면 고통을 받게 된다.”고 했
다. 오자吳子는 “병법에는 네 가지 틀이 있다. 두 번째가 지기地機로, 길이 좁고 험하며 큰
산이 가로막고 있는 곳은 열 명이 지켜도 천 명이 지나가지 못하니 이것이 바로 ‘지기’다.”
고 했다. 만일 손자나 오자가 병법을 잘 알지 못했다 하더라도, 이미 병법을 잘 알고 있는
사람이 손자와 오자의 병법을 버리고 다른 무엇을 취할 수 있겠는가. 따라서 손자의 군형
軍形과 구변九變 편은 때에 맞추어 변화하는 전술이며, 지형地形과 구지九地 편은 험준
한 곳에 방어벽을 설치하는 병법이 된다. 때에 맞추어 변화하는 전술은 장수의 능력에 달
려 있기에 언제나 그러한 전술을 얻을 수는 없지만, 험준한 곳에 방어벽을 설치하는 것은
지리地利에 달려 있기에 미리 점유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관방關防을 설치할 때 마땅
히 형세를 살펴야 하는 이유이다.
오늘날 관방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우리나라는 영곤營閫81)을 처음 설치할 때부터 모두 전대前代 이름난 학자들이 함께 궁
리하면서 지리地利의 형세를 깊이 있게 살폈다. 그런데 지금은 세상의 등급이 점점 낮아
져 사람들의 안목도 떨어졌으니, 어떻게 전대의 사람들이 정한 것보다 더 나은 궁리가 있
을 수 있겠는가?”
또 다음과 같이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생전에 요순堯舜같은 성군聖君을 만났고, 세상도 태평하거늘 어찌 군대의 일과 방어하
는 논의가 있을 수 있겠는가?”
이는 참으로 태평한 시대의 미담美談일 뿐이다. 그러나 문을 꽁꽁 닫아 험한 일을 당하지
않도록 막는 것에 대해 『주역周易』에서는 “편안한 가운데서도 위험을 잊지 말라.”고 했다.
성인의 말이 있었기에, 주周나라 관官에는 육향六鄕과 육수六遂의 병제兵制가 있었다.
화산華山으로 말을 모두 돌려보낸 후82)에 천자가 크게 기뻐하면서 봄가을에 사냥을 했음
에도, 제후諸侯는 봄에 군대를 재정비하고 가을에 군대를 훈련시켰으니, 이는 모두 전쟁
-------------
81) 영곤營閫: 감영監營·병영兵營·수영水營, 혹은 감사監司·병사兵使·수사水使 등을 통칭하여 부르는 말이다.
82) 화산華山으로 말을 모두 돌려보낸 후: 주 무왕周武王이 천하를 평정한 뒤에, 전마戰馬를 화산으로 돌려보내어 다시는 전쟁하
지 않을 뜻을 표시하였다.
---------------
을 잊지 않기 위함이었다. 전대에 이름난 학자들이 고심하여 설치한 것은 다름 아닌, 때에
따라 마땅한 요해처를 차지한 것일 뿐이니, 어찌 옛날과 지금 사람의 식견의 높고 낮음과
관계된 것이겠는가.
중국에는 네 곳의 요해처가 있는데, 강회江淮・형양荊襄・천협川陜・청제靑齊이다. 이
네 요해처가 지켜지면 천하가 안정되었다. 우리나라에도 네 곳의 요해처가 있으니, 관
서關西・관북關北・영남嶺南・호남湖南이다. 이 네 곳이 지켜지면 나라가 편안했으니,
그 이치는 하나요, 그 형세 또한 중국과 동일하다. 예로부터 서북 지방의 근심은 금인金
人과 야인野人이었다. 그러나 동남 지방의 근심은 왜인倭人뿐만 아니라, 바다 밖의 여러
섬의 홍이紅夷83)와 모인毛人84) 등 여러 가지가 있으니,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방어하는
계책에 대해 논한다면, 당연히 저들과 이들의 가벼움과 무거움의 구분이 없는데, 우리나
라 남쪽 길에만 방영防營이 없으니, 병영을 두어야 하는 당위성을 망각한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만일 험준한 곳에 요해처를 두려면 영남의 밀양密陽과 호남의 남원南原에 두
어야 한다. 상주尙州와 충주忠州 같은 고을은 모두 고개 아래에 있고, 땅도 크고 백성들
도 많아 병영을 설치할 만하다. 경기도의 진위振威도 남쪽에서 올라오는 주요한 통로이
기에 방영防營을 설치하여 화성華城과 서로 돕게 한다면, 실로 원대한 계책에 부합할 것
이다.85)
서북 지역은 예로부터 이미 방영防營을 설치했기에, 방어하는 계책에 대해서는 잠시 접
어두고 논의하지 않겠다. 그러나 삼남에는 본래 방영防營이 없기에, 병영을 설치할 지역
에 대해 궁리하여 그 방어하는 도리에 대한 내 짧은 소견을 간략하게 제시한다.
대저 영남의 김해金海에 별중영別中營을 설치한 것은 적의 병사가 칠점산七点山을 건
너오는 것을 방어하기 위함이었고, 또한 바닷가를 따라와서 이곳에 머물까 염려해서였
으니, 변방을 방어하고자 하는 계책에 힘을 기울였다고 할 수 있다. 이 계책이 중요한 요
해처 지역을 차지하는 방법이었음을 미루어 생각한다면, 방영防營을 설치하자는 논의
--------------------
83) 홍이紅夷: 나라 이름으로, 지금의 서양西洋 화란和蘭으로 네덜란드를 가리킨다.
84) 모인毛人: 일본의 북해도를 말한다.
85) 【두주: 삼남三南과 서북與西은 차이가 있는데, 삼만은 본래 문교文敎를 중요하게 여긴다. 네 고을에 방영防營을 설치한 후에, 문
관文冠과 무관武官에게 교대로 임무를 맡기 것이 좋다.】
--------------
가 어찌 그칠 수 있겠는가. 대개 방어하는 병영과 병곤兵閫86)은 다른 점이 있다. 그 직책
을 돌아보면, 평소에는 한 읍의 원님이지만, 급한 일이 발생했을 때에는 험준한 곳의 요
충지를 차지하여 적이 오는 길목을 막는 것이 병영에 주어진 의무이다. 더 긴요할 때에
는 방영防營이 있는 고을을 모두 독진獨鎭87)으로 삼아야 마땅하다. 독진으로 하여금 한
고을의 통제를 전담하게 하여 위급한 일이 발생했을 때 병사를 불러 모아 상황에 맞게
방어한 후에야 그 임무와 전술을 다할 수 있게 된다. 한 고을에 있는 병사와 백성들도 마
땅히 한 병영에 귀속시켜야 한다. 단 한 사람의 장정壯丁이라도 다른 병영에 나누어 예
속시켜서는 안 된다. 각 아문衙門이 해당 고을의 편의와 통제를 전담하고, 또 이웃 고을
을 조방장助防將88)과 계원장繼援將으로 만들어 방영防營의 통제를 받게 해야 한다. 때
론 힘을 모아 싸우고 방어하며, 때론 멀리서 돕는 지원처로 삼아야 한다. 병영과 큰 진陣
을 순찰하며 적의 기미에 따라 아군의 형세를 살피면서, 앞으로 나아가고 뒤로 물러난다
면 이것이야말로 병가兵家에서 말한 위급한 상황에 만전을 기하는 최고의 계책이 될 것
이다.
가령 밀양密陽을 방영防營으로 삼는다면 창령昌寧의 원을 조방장에, 청도淸道의 원을 계
원장으로 삼아야 한다. 상주尙州를 방영으로 삼는다면 군위軍威의 원을 조방장에, 비안
比安의 원을 계원장으로 삼아야 한다. 충주忠州를 방영으로 삼는다면, 청풍淸風의 원을
조방장에, 연풍延豐의 원을 계원장으로 삼아야 한다.89) 남원南原을 방영으로 삼는다면 운
봉雲峯의 원을 조방장에, 임실任實의 원을 계원장으로 삼아야 한다.90) 진위振威를 방영
으로 삼는다면, 안성安城의 원을 조방장에, 남양南陽의 원을 계원장으로 삼아야 한다. 각
기 평소에 명칭과 약속을 서로 정하여 방어하는 신지信地91)로 삼아 조방助防과 계원繼援
의 두 병영을 순찰하고 통솔하여 다스리게 한다. 각 고을의 진鎭을 어떤 경우에는 큰 진陣
--------------
86) 병곤兵閫: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말한다.
87) 독진獨鎭: 조선 시대, 해안 지대나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방에 설치한 진영鎭營으로 수령이나 첨사僉使가 독립적으로 다스렸다.
88) 조방장助防將: 주장主將을 도와 적의 침입을 방어하는 장수를 말한다.
89) 【두주: 금산金山은 추풍령秋風嶺 아래에 있기에 마땅히 방어장防守將을 두어 호서湖西의 황간黃磵과 안팎에서 지키게 해야 한다.】
90) 【두주: 운봉雲峯은 팔령치八嶺峙의 아래에 있기에 겸병兼營을 설치한 것은 진실로 이 때문이다. 그러나 남원南原은 큰 고을이기
에 반드시 남원을 방영防營으로 삼아야 한다. 만일 적이 영남嶺南을 벗어나 팔령치八嶺峙로 접어든다면, 운봉雲峯의 남원南原
보다 앞에 있기에 강한 병사로 적과 싸워야 한다. 또한 적이 진로를 바꾸어 호남 좌도左道를 지난다면, 남원은 방어하는 요충지가
되고, 운봉이 방어를 도와주어 서로 입술과 이의 형세가 된다.】
91) 신지信地: 규정된 순찰 분담 지역이나 또는 미리 정해 놓은 위치를 말한다.
------------------
으로 만들어 적과 싸우고, 또 어떤 경우에는 진을 나누어 유격대를 만들어 적과 싸우게 한
다. 그 외에 성에 있으면서 성을 방어하는 일이나, 험준한 요충지에서 그곳을 방어하는 일
은 아군이나 적군이 서로 견제하면서 시일時日을 보내며 지레 겁을 먹고92) 놀라 흩어지게
되지는 않을 것이니, 오히려 강인한 마음이 생겨 우리의 병기를 수리하고 우리의 용맹함
을 북돋아 틈을 기다려 날카롭게 일어나게 된다면 삼한三韓 때의 천하의 강국이라는 호
칭에 결코 뒤지지 않을 것이다.
어떤 사람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방영防營의 설치는 모두 방영防營은 모두 큰 고을에 설치하였다. 비록 독진獨鎭을 설치
하여 하나의 병영을 다스리게 되었지만, 이른바 근처에 있는 고을이 거의 대부분 황폐한
고을이니, 조방장과 계원장을 설치하더라도 백성이 너무 적어 군대의 진영을 갖출 수 없
다. 그러니 어떻게 조방장과 계원장의 지역을 믿을 수 있겠는가”?
이러한 점은 마땅히 변화시켜 해결할 수 있는 것이기에 논의할 필요가 없다. 조방장과 계
원장의 병사는 10초哨가 되지 않기에 진실로 위급한 일이 발생했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없
다. 지금 근처에 있는 가까운 고을에 조장장과 계원장을 설치하여 해당 고을의 군사를 세
어 모두 10초가 되지 않는다면, 그 근처에 있는 가까운 읍의 병사를 나누어 물고기의 비늘
처럼 군대의 일원으로 만들면 된다. 평소에는 해당 고을 수하手下의 친병親兵으로 삼았
다가, 병사들을 훈련시키거나 두루 점검할 때에는 모두 함께 통제를 받게 한다면, 고을의
크고 작은 것이 무슨 걱정이 되겠는가.
이와 같은 제도를 미리 만든 다음에 또 함양咸陽과 순흥順興을 영남의 협수장協守將으
로 삼고, 보은報恩・황간黃磵・단양丹陽을 호서의 협수장으로 삼아, 안의安義・풍기豐
基・영춘永春・청산靑山・영동永同 등의 고을을 각기 협수장의 고을에 편입시켜야 한
다. 이렇게 하여 만일 예기치 않은 일이 영남에서 발생한다면, 함양咸陽이 안의安義의
군대를 거느리고 팔랑치八良峙에서 방어하며, 남원南原의 방영이 도움을 주게 하고, 순
----------------
92) 지레 겁을 먹고: ‘풍성학려風聲鶴唳’는 겁을 집어먹은 사람이 당치 아니한 사물에도 놀라는 것을 말한다. 중국 동진東晉 때 진
왕秦王 부견符堅이 비수淝水에서 대패하고 바람의 소리와 학鶴의 소리를 듣고도 진晉나라의 추병追兵이 아닌가 하고 놀랐다
는 고사故事에서 유래한 말이다.
-------------
흥順興이 풍기豐基의 군대를 거느리고 죽령竹嶺에서 방어하며, 단양丹陽의 협수장이
도움을 주게 한다. 문경聞慶은 본래 수성장守城將이 겸하고 있기에, 함창咸昌의 군대를
거느리고 오령鳥嶺의 관문을 지키며, 충주忠州의 방영이 도움을 주게 한다. 황간黃磵은
영동永同의 군대를 거느리고 추풍령秋風嶺에서 방어하고93) 보은報恩은 청산靑山의 군
대를 거느리고 화령化寧에서 방어하는데, 모두 상주尙州의 방영이 도움을 주게 한다. 평
소에는 모두 통제하는 곳을 정하여 추풍령의 안팎에서 각기 방어하는 신지信地로 삼아
힘을 모아 험준한 곳을 지킨다면, 임진왜란 이후의 후환後患을 대비하는 도리가 될 만하
다. 만일 적이 진로를 바꾸어 호남의 길을 통과한다면 육로陸路에는 방어할 만한 고개나
험준한 곳이 없기에, 마땅히 바다의 방어를 두텁게 해야 한다. 바다를 방어하는 데 주요
한 곳으로는 고군산古群山처럼 중요한 곳이 없다. 고군산에 방영을 설치하자는 논의는
이미 앞선 기록에 있다. 호남과 호서 사이에는 오직 금강錦江 일대만이 방어할 만한 험
준한 곳이다. 만약 강물이 얼어 얼음이 단단해졌을 때라면 금강도 믿을 수 있는 방어벽
이 될 수 없다. 이 때문에 진위振威에 방영을 설치하자는 논의를 앞뒤에서 끊임없이 반
복한 것이다.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성을 잘 지키기로 천하에 이름이 나 있었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에
는 성을 하나도 지키지 못했다. 삼국시대에는 성이 모두 산꼭대기나 험준한 곳에 있었기
에 어렵지 않게 험준한 지형에서 견고하게 지킬 수 있었다. 그러나 고려 이후에는 고을의
터가 모두 평야지대에 있었고 성의 제도 또한 중국만 못했다. 중국의 성은 모두 견고하고
두터우며, 또한 성 밖에 깊은 물길을 팠다. 맹자孟子가 “못을 파고 성을 쌓는다”고 했는데,
성 밖의 구덩이가 바로 그 못이다. 그래서 쇠로 만든 성과 뜨거운 물로 가득 찬 성 둘레의
못[金城湯池]이라 불리게 된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성은 돌로 쌓았고 높이나 두께
도 모두 몇 장丈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성 밖에도 깊이 파 놓은 곳이 없다. 그래서 왜구가
남원南原과 진주晉州를 함락할 때, 모두 풀과 잡목 및 벼를 베어서 크게 묶어 성 앞의 도
랑을 메웠는데, 잠깐 사이에 성만큼 높아져, 많은 왜구들이 밟고 올라 성으로 들어온 것이
----------------
93) 【두주: 황간黃磵과 영동永同은 금산金山과 함께 추풍령을 지킨다.】
----------------
다. 또한 진주晉州에서는 왜구들이 성 밖에 있는 대나무를 베어서 이것을 크게 묶고서는
왜구의 진영을 빙 둘러 스스로를 가려 아군의 화살과 돌의 공격을 방어했으며, 왜구의 진
영 안에서 비 오듯이 총을 발포하자, 성 안에 있던 아군이 감히 고개를 들지 못한 채 성이
마침내 함락 당했다. 대개 진주성 밖에는 본래 대나무 숲이 많았기에 왜구가 이 대나무를
베어 묶은 것이다. 비록 대나무 숲이 없었다 하더라도, 어느 곳에선들 베어 묶을 만한 나
무가 없겠는가? 아군은 다만 견고하게 방어하는 방법을 모두 동원할 수밖에 없었을 뿐이
다. 외성外城을 흙으로 성을 쌓자는 논의에 대해서는 「관수만록觀水漫錄」하下에 간략하
게나마 기록해 두었다. 일반적으로 성이 있는 곳에서 모두 이 제도를 활용하고 있으니, 흙
으로 외성을 쌓으면, 내성內城이 비록 견고하고 높지 않더라도 적을 방어할 수 있으니, 굳
건히 방어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이 있는 곳은 그 지형에 따라서 4~50보步 정도를 경계로 삼아 빙 둘러 외
성을 쌓고, 흙을 이용해 지대址臺94)를 견고하게 쌓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성을 쌓는
제도는 본래 성의 바깥쪽은 가파르고 안쪽은 평탄한 것이었는데, 이것은 갑자기 성에 오
를 때 편리하게 하고자 한 의도였다. 앞에서 말한 것처럼 성을 쌓는다면 성의 안과 밖이
모두 가파르게 되고, 사초莎草같은 넝쿨을 성벽에 입힌다면 비록 높고 가파른 것이 돌
과 벽돌로 쌓은 것에는 미치지 못하겠지만, 성 위에 성가퀴[女堞]를 설치하고, 또 치성雉
城95)을 설치하여 방어한다면 적이 성을 기어 곧장 올라올 수 있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비록 홍이포紅夷砲나 호준포虎蹲砲라 하더라도 성의 한 쪽만 부술 수 있을 뿐,
내성은 온전할 것이다. 또한 진주성에서 이미 그랬던 것처럼 혹시라도 나무를 묶어 몸을
숨기며 그 안에서 총을 쏘더라도 이미 외성이 있다면 대포나 총알이 내성에는 미치지 못
할 것이다. 가령 적이 풀을 묶어 성 밖의 도랑을 메우고 넘어 오더라도, 외성의 성가퀴에
있는 아군이 내성으로 들어오는 적을 차단하고, 내성의 위에 있는 병사들과 힘을 합쳐 성
위에서 어지럽게 활과 총을 쏜다면, 적은 외성과 내성 사이의 좁은 지역에 있어 진격하지
------------
94) 지대址臺: 건축물을 세우기 위해 잡은 터에 쌓은 돌을 말한다.
95) 치성雉城: 예전에, 성 위에 낮게 쌓은 담을 말한다. 성 위의 군사가 몸을 은폐하거나 적의 화살로부터 몸을 피하는 데 이용됐다.
----------
도 후퇴하지도 못하게 된다. 이미 진격도 후퇴도 하지 못하게 된다면 내달려 용맹함을 발
휘할 기세를 이룰 수 없게 된다. 비록 홍이포紅夷砲・호준포虎蹲砲 등이 내성을 부수더
라도, 이미 좁은 지역에 빠져 화살과 돌의 공격을 받고 있으니, 결코 새로운 전략을 세우
거나 교묘한 계책을 실행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적이 대포와 활을 위쪽으로 쏘려 해도,
아군이 성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면서 공격하기에, 승기勝氣를 타고서 날카롭게 공격
한다면 적은 반드시 버텨내지 못할 것이다. 아군이 후퇴하려 해도, 흙으로 쌓아 놓은 외
성의 안쪽 또한 가파르기 때문에, 갑자기 뛰어넘을 수 없으므로 한 명의 병사도 뒤로 물
러서지 못하게 할 수 있다. 흙으로 성을 쌓는 방법과 도식圖式은 「관수만록觀水漫錄」하
下에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흙으로 성을 쌓는 것은 돌로 성을 쌓는 것에 비
해 힘이 삼분의 일도 들지 않는다. 그리고 평지에 성을 쌓기 때문에, 성을 쌓는 일도 더 편
리하다. 그러니 변방의 계책을 맡은 사람들은 마땅히 이 점을 깊이 생각하고 강구해야 할
것이다.
우하영의 천일록 -- 관방 關防 중에서....
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