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쪽은 이천시, 서쪽은 평택시, 북쪽은 용인시와 접하고, 남동쪽은 차령산맥(車嶺山脈)을 경계로 충청북도의 음성군·진천군에 연결되며, 남서쪽은 충청남도의 천안시와 이어져서 경기도·충청북도·충청남도 3도의 도계(道界)를 형성한다.
대부분 쥐라기의 대보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남쪽 일부에서는 선캄브리아대(代)의 편마암, 북쪽 일부에서는 서산층군(瑞山層群)에 속하는 편암도 나타나고, 안성천 부근에서는 제4기 충적층을 볼 수 있다. 충청북도와의 경계를 이루는 차령산맥에는 서운산(瑞雲山:547m)을 최고봉으로 500m 안팎의 산지가 솟아 있고, 이 산맥 중의 덕성산(德成山:519m)에서 북쪽으로 올라가면 칠현산(七賢山:516m)·칠장산(七長山:492m)·도덕산(道德山:366m) 등이 솟아 있으며, 이들 산지가 형성하는 능선을 따라 안성시는 동서 2개의 지형구로 나누어진다.
또한 북쪽 용인시와의 경계 부근에는 구봉산(九峰山:465m)·비봉산(飛鳳山)·쌍령산(雙嶺山) 등의 구릉성 산지가 이어진다. 그러나 군의 남서쪽과 북동쪽에는 넓은 평야가 펼쳐지는데 특히 남서쪽의 안성평야는 넓고 비옥하다.
주요 하천으로는 안성천 수계에 속하는 한천(漢川)·청룡천(靑龍川)과 남한강(南漢江) 수계에 속하는 청미천(淸美川)·죽산천(竹山川), 금강(錦江) 수계에 속하는 칠장천(七長川)·개좌천(介座川) 등이 있다.
연평균 강수량은 지형적인 영향 때문에 해안지역에 비하여 적지만 한반도의 평균 강수량에 비추어 비교적 많은 편에 속하는 1,315.7mm이다. 연평균 기온은 12.1℃, l월 평균기온 -2.2℃, 8월 평균기온 25.9℃로 동해안과 비교하면 겨울 기온은 낮으며, 기온의 연교차가 크다.
안성시
경기도 남쪽 끝에 있는 시
동쪽은 이천시, 서쪽은 평택시, 북쪽은 용인시와 접하고, 남동쪽은 차령산맥(車嶺山脈)을 경계로 충청북도의 음성군·진천군에 연결되며, 남서쪽은 충청남도의 천안시와 이어져서 경기도·충청북도·충청남도 3도의 도계(道界)를 형성한다.
출처: N+ Studio
행정지명 > 시
경기도 안성시
삼국시대 : 내혜홀(柰兮忽), 개차산군(皆次山郡), 사복홀(沙伏忽)
통일신라시대 : 백성군(白城郡), 개산군(介山郡), 적성현(赤城縣)
고려시대 : 안성현(安城縣), 죽주(竹州), 양성현(陽城縣)
조선시대 : 안성군(安城郡), 죽산도호부(竹山都護府), 양성현(陽城縣)
일제강점기 : 안성군(安城郡)
경기도의 최남단에 위치한 시이다. 경부고속도로와 중부고속도로가 관통하는 교통의 요지이다. 공도읍 · 양성면 · 죽산면 · 일죽면 · 보개면 · 안성1동 · 안성2동 · 안성3동 등 1읍 11면 3동을 관할하고 있다. 현재의 안성 지역은 조선 시대 안성군, 양성현, 죽산부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이들 세 지역을 합쳐 안성군으로 하여 12개 면 170개 동리를 관할하게 되었다. 그 후 1963년 고삼면이 용인군으로부터 편입되었고, 1998년 시 승격과 함께 1937년 읍으로 승격한 안성읍이 폐지되어 안성1동 · 안성2동 · 안성3동으로 분동되었고, 2001년 공도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먼저 안성은 『삼국사기』 「지리지」에 "백성군(白城郡)은 본시 고구려의 내혜홀(奈兮忽)인데 경덕왕이 '백성'으로 개명하였다. 지금의 안성군이니 영현이 둘이다."라고 하여 관련 기록이 처음 등장한다. 안성하면 떠올리는 '안성맞춤(안성마침)'이란 표현에서 안성이란 지명이 유래한 것으로 보는 경우도 있는데, 오히려 안성에 유기(鍮器)를 주문하면 제대로 잘 들어맞는 물건이 나온다는 데서 안성맞춤이란 표현이 생겨났다고 한다. 그리고 양성이라는 지명은 『삼국사기』 「지리지」에 "적성현(赤城縣)은 본래 고구려 사복홀(沙伏忽)인데, 신라 경덕왕이 적성(赤城)이라 고쳤으니 지금의 양성현이다."라고 하여 관련 기록이 처음 등장한다. 또 죽산이란 지명도 『삼국사기』 「지리지」에 "개산군(介山郡)은 본래 고구려의 개차산군(皆次山郡)이었는데 경덕왕이 개명하니 지금의 죽주(竹州)이다."라고 하여 관련 기록이 처음 등장한다. 태종 때 주(州)자로 끝나는 군현 명칭은 부(府) · 목(牧)과 구별하기 위해 도호부 이하는 모두 산(山)과 천(川)으로 대신하게 되면서 죽산으로 바뀌었다. 『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도 고려 초 안성 · 양성 · 죽산으로의 개명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안성과 양성은 조선 태종 때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되었고, 죽산은 세종 때 경기도로 관할이 바뀌었다.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2008.12, 국토지리정보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NHN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북마크 되었습니다.
네이버me 북마크함 가기
서버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십시오.
북마크 서비스 점검 중으로,
현재 북마크 읽기만 가능하오니
이용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_feed_info_가 마음에 드셨다면
네이버me에서 편하게 받아보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 + V) 해주세요.
좌표: 37°0′N 127°16′E / 37°N 127.267°E / 37; 127.267
![]() | |
![]() | |
현황 | |
---|---|
면적 | 553.46 km² |
세대 | 72,659가구 (2011.6) |
총인구 | 187,801명 (2011.6) |
읍 | 1개 |
면 | 11개 |
행정동 | 3개 |
법정동 | 33개 |
시장 | 황은성 |
시청 | |
소재지 | 안성시 시청길 25 (봉산동 31-3) |
홈페이지 | 안성시청 |
상징 | |
시목 | 은행나무 |
시화 | 개나리 |
시조 | 까치 |
안성시(安城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최남단에 있는 시이다. 동쪽은 이천시, 서쪽은 평택시, 남쪽은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와 충청북도 음성군과 진천군이, 북쪽은 용인시와 마주보고 있다. 평택에서 강원도까지 이어지는 38번 국도와 경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가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다.
목차[숨기기] |
전체적으로는 동북이 높고 서남의 경사가 완만하여 남북으로 형성된 차령산맥은 지역을 동ㆍ서 양부로 나누는 분수령이 되어 동쪽으로는 청미천이 흐르고 서쪽으로는 안성천과 조령천, 한천이 합류하여 서해로 흘러 나간다. 남쪽으로 서운산(547m)이 충남북과 도계를 이루며 솟아있고 관내 전역에 크고 낮은 산들이 병풍처럼 에워싸고 있으며 남ㆍ서쪽으로 장년기 및 노년기의 구릉지이며 하천의 발달로 평야가 넓게 자리하고 있다.
충북 진천군과 접경에 있는 차령산맥줄기의 덕성산에서 세지맥으로 나누어 서쪽으로는 서운산(547m) 동쪽으로는 백운산 (345m),마이산(471m)과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북쪽으로 뻗어 시내 한복판에 우뚝서있는 비봉산(230m)을 이룬 다음 시궁산(514m), 천덕산(355m), 덕암산(163m), 고성산(298m), 백련봉(239m)을 형성하고 있다.
산지의 면적은 안성시 전체면적의 약 52%나 되며, 쥐라기시대 이후 오랜동안의 침식으로 500m 전후의 구릉지로 이루고 있다.
안성시의 지질은 대부분 쥐라기의 대보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남쪽에는 선캠브리아기의 편마암과 북쪽은 단산층 군에 속하는 편암조가 일부 나타나고 있다. 죽산면, 금광면, 서운면은 선캠브리아기의 셰일과 사암의 교호층이 편마암화 작용을 받아 거의 현재와 같은 암상이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 이 일대의 흑은모 편마암의 암상은 중립질로서 엽리가 잘 발달되어 있다.
안성시는 중부 지방에 있어 북부와 남부 사이의 점이성 기후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차령산맥에서 이어져 내려와서 드넓은 평야지대를 이르는 지형적 조건은 이곳 기후의 특색을 나타내 준다.
안성시의 10년간('90~'99) 년평균 강수량은 1,315.7mm로 벼농사 및 기타 작물재배에 적당하며 특히 벼농사의 경우는 연중 1,000mm 이상의 강우량이 필요한데 안성시의 경우 이 조건이 충족되어 있는 편이다. 더욱이 강수량의 대부분이 벼의 본격적인 생육기간인 6, 7, 8월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경기미가 생산되고 있다.
안성시에 바람은 우리나라 전역과 같이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지역이다. 겨울철의 계절풍은 주로 대륙방면에서 불어오는 북서계절풍으로 매우 차갑고 건조하여 맑은 날씨를 가져오게하는 한편 혹독한 추위를 동반하는 것이 특징이다.
북서계절풍은 매년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9월부터 시작하여 11월에서 다음해 1월까지 고비를 이룬 뒤 3월경에 끝나게 된다.
안성시의 행정 구역은 3 행정동, 33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성시의 면적은 2011년을 기준으로 553.47 평방 km에 달한다.[13]
안성시의 인구는 2012년 3월 1일을 기준으로 72,799 세대, 188,267명이며 시내 거주 인구가 30.4%에 달한다.[14] 시의 남녀 성비는 104이다.
읍·면·동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행정지도 |
---|---|---|---|---|---|
공도읍 | 孔道邑 | 31.96 | 20,654 | 56,078 | ![]() |
보개면 | 寶蓋面 | 53.01 | 2,612 | 6,625 | |
금광면 | 金光面 | 71.71 | 3,506 | 8,861 | |
서운면 | 瑞雲面 | 36.28 | 1,727 | 4,514 | |
미양면 | 薇陽面 | 33.73 | 3,060 | 8,202 | |
대덕면 | 大德面 | 31.16 | 6,346 | 12,524 | |
양성면 | 陽城面 | 53.17 | 2,414 | 5,991 | |
원곡면 | 元谷面 | 37.83 | 2,197 | 5,670 | |
일죽면 | 一竹面 | 55.54 | 3,612 | 8,834 | |
죽산면 | 竹山面 | 57.26 | 3,317 | 7,787 | |
삼죽면 | 三竹面 | 39.07 | 1,630 | 3,796 | |
고삼면 | 古三面 | 27.79 | 916 | 2,165 | |
안성1동 | 安城洞 | 6.55 | 5,306 | 13,621 | |
안성2동 | 10.14 | 7,332 | 19,606 | ||
안성3동 | 8.27 | 8,170 | 23,993 | ||
안성시 | 安城市 | 553.47 | 72,799 | 188,267 |
원래는 경부선이 안성을 지나갈 예정이었으나 안성 지역 지주들이 지나치게 반대 (님비) 해서 결국 경부선이 평택시를 경유하게 되었고, 안성선이 시내를 연결하고 있었으나 폐선되어 현재 안성에는 철도가 없다. 안성에서 가장 가까운 철도역은 평택역이다.
안성시는 안성맞춤 남사당 풍물공연을 포함하여 안성맞춤박물관, 태평무전수관, 미리내성지, 서일농원, 칠장사 등을 하루에 둘러 볼 수 있는 문화관광 투어 버스를 매주 토요일에 운영한다. [15]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보이기] 경기도 안성시의 행정 구역 | |
---|---|
시청소재지: 봉산동 | |
![]() |
|
[숨기기] 경기도의 행정 구역 | |
---|---|
도청 소재지: 수원시 팔달구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