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의 합금
금 (Aurum)
금[Gold, Geld(독일.獨]의 학명은 Aurumdm으로 아침의 태양 광선,또는 찬란히 빛나는 햇빛의 의미를 나타낸다.
금은 면심 입방구조로서 비중19.32 융점은1,063。C ( I.P .T.S 규정은 1064.43。C),끓는 비점은 2,970。C이며, 브리넬 경도는 18, 인장강도12㎏/㎟,연신율 68~73% 이다.
이 밖에도 산과 알카리.기타 약품 등에 잘 견디나, 다만 왕수(王水)와 사이나 에는 단단한 금이라도 녹아서 용액이 되어 버리며, 이것은 다시 분석하여 금으로 회수할 수 있다.
★금의 융점..종래 금의 융점은 1948년 국제온도수치(I.T.T.S)에 1063。C로 하였으나, 1968년 10월 I.P.T.S에서 1,064.43。C로 개정하였다.★
금 합금(金 合金)
공예 재료로서 순금은 너무 무르므로 경제상 또는 제작가공상 등의 이유로 합금하여서 융점을 낮추고 경도와 색깔, 광택 등의 여러 가지 변화를 아울러 얻게 된다
금의 캐럿 표시
24K
이론상으로는 100% 순금을 말하는 순금원소를 말하나 실용으로는 99.99%가 통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22K
세계적으로 영국의 화폐인 22K(91.66%)를 가장 고급의 품질로 정해서 결혼반지로 사용하는 관습이 있다.
20K
순금 함량이 88.33%로서 칠보의 바탕금속, 기타장신구에 사용된다.
18K
금 합금의 장식용 범위는 22K~9K 까지가 일반적인데,그 중 18K 는 일반적인 금 합금 중 가장 보편적인 고급품위로 사용한다.
색상과 경도 및 강도 모두 가장 좋으며, 특히 내구성이 충분하고 화학적. 기계적 성질이 모두 우수하여 반지(Ring).브롯치(Brooch)등 금 장식의 대개가 모두 이것에 바탕을 두고 있다.
14K
금과 구리와의 합금 비율이 대개3 : 1인데 300。C 내외에서 열처리에 의해 경화된다. 더욱이 니켈1% 미만을 합금하면 더욱 좋은 성질을 얻게 되는데, 특히18K 보다는 탄성율이 우수해서 보석 장식품과 시계, 만년필의 펜촉재료로 쓴다.
이 14K는 금이 가지는 내산성과 부드러운 감각으로 인해서 주로 치과용으로 사용된다.
12K
이 이하의 금 품위는 대개 구리 색을 나타내는데 K10. K9. K8 등의 것은 일반적으로 금의 저 품위 합금으로 취급하는 것이 보통이다.
은 (Ag)
은[銀:Silver.silber (獨)]의 학명 (學名)은 Argentum으로 면심 입방격자의 구조를 가지며 주 광석은 휘은광에서 산출된다. 비중은 10.49(20。C), 융점은 960.5。C(1968년 961.93。C로 개정),끓는 온도는 2,210。C인데, 특히 은의 용융점은 고온도계의 온도 보정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서 과학.공업상의 온도의 기준이 되고 있다.
★은 (Ag)융점..1968년 국제온도수치(I.T.T.S)에서 종래의 960.5。C를 961.93。C로 개정했다.★
순은의 경우, 대기 중에 방치하던가, 또는 가열하여도 녹이 생기지 않으나, 다만 유황과 유화수소에는 반응하여 유화 은(硫化銀)을 만들어서 검게 변화므로, 카메라의 필름 등은 특히 주위해야 한다.
더욱이 온천에는 유황 분이 많아서 색이 검게변하며, 또한 비소 같은 독극물에는 아주 민감하다.
산 반응에서는 염산.유산.초산에 침식되지만 왕수에서는 완전한 저향력이 있다.
그것은 은 표면에 염화은(AgCl)의 얇은 막이 생겨서 이것이 반응의 진행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은의 품위 :은의 품위는 보통 백분율(%)과 천분율(0/00)로 표시한다.
순은의 경우, 백분율 99.99%로 표시하고 천분율에서 스테아링 실버(Sterling silver)의 경우 925/1000 또는 925(0/00)로 표시하며, 영국의 은화(Sterling silver)는 화페로서 은(Ag) 92.5%를 쓰고 있다.
은 납 : 은 납은 여러 종류 땜납 가운데에서도 철과 비 철 금속 등 여러 금속을 땜질할 수 있는 가장 이용범위가 넓은 땜납이다. 특히 은 납은 다양한 용융 온도 변화를 나타내기 때문에 폭넓은 활용범위를 갖는다
백금 (Pt)
백금 족에 속하는 귀금속으로는 백금을 비롯하여 팔라듐(Pd) .로듐 (Rh) .루테늄 (Ru) .이리듐 (Ir) .오스뮴 (Os)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백금을 비롯한 백금 족의 귀금속들은 융점이 매우 높은 내열성의 금속으로서 분말상태로 취급되며, 광선의 표면 반사율에 우수한 특징이 있다.
백금 (Pt)회백색의 아름다운 귀금속인 백금의 학명 (學名)은 Platinum 으로 면심입방 격자의 구조를 하고 비중 21.43, 용융점 1,773.5, 비등점4,410。C이다. 브리넬 경도는 42~98, 인장강도 12~24㎞/㎟,연신율 68~73%로서 가공성이 풍부하며, 특히 내열성 및 고 저항에 우수하다.
백금 금합금
백금 합금 백금의 품위:1,000(0/00).950(0/00). 900(0/00). 850(0/00) 의 4등급으로 쓰는 것이 보통이다.
보통 985(0/00)와 950(0/00) 등으로 쓰며, 여기에 비금속을 보통 50 이내로 하고 있다. 특히 백금 함유량이 600(0/00)이하의 것에는 백금이란 표시를 하지 않는다.
합금의 화학조성: 백금은 팔라듐을 제외하고 다른 백금 족과 합금하면 현저히 경화된다.
①백금 - 로듐합금 : 특히 로듐 10~13%의 합금은 백금과 더불어 열전대로서 고온계(Pyrometer)에 사용된다.
②백금 -팔라듐: 팔라듐 70~75%의 합금은 장식품에 사용한다.
③백금 - 이리듐 합금 : 이리듐 5~3%는 내식용 합금으로 만년필 끝에도 사용한다.
④백금 - 구리합금 : 백금에 구리를 3.5% 정도 합금할 경우 급격히 경화하며 주로 장신구에 사용한다. 백금에 5%의 구리 합금은 색상이 백금보다 아름답다.
금 제품의 품위와 검정제도
각 나라에 따라 금제품의 품위에 관한 상관습 내지 법률상의 규정이 다르다.
영국의 법정품위(Regal Standard)는 K22,k18,k15,k12,k9등 다섯 개의 품위였는데 1932년에 K22/K18,k14 및 K9의 네게 품위로 개정했다.
미국은 K18,K14 및 K10의 세 품위이다. 그런데 프랑스에서는 920(K22).840(K20) 및 750(K18)의 세 품위를 정하고 있고, 특히 시계에 사용되는 경우에만 K14를 허용하고 있다.
독일이나 이탈리아에는 저품위로 K 8 까지 인정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품위에 관한 법률상의 규정이 없다. 다만 조폐청의 품위증명 규정이 있는데 여기에 의하면 K22.K20.K18.K15.K14.K12.K10 등 9개 이상의 품위를 인정하고 있다.
품위의 공차 (公差)에 관해서도 나라에 다라 차이가 있다.
영국에서는 14세기경부터 금제품의 강제검정을 실시하고 있는데 검사는 매우 엄격하다. 0.2%의 오차가 넘는 것은 부적격품으로서 파괴된다. 합격품에는 홀 마크(검정인)가 실시된다.
그런데 미국에서는 귀금속의 검정기관은 설립되어 있지 않지만 불량품의 판매는 법률상 금지되고 있다.
만약 불량품을 판 것이 발견된 경우에는 매우 엄격한 벌칙을 받게 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다만 품위의 공차는 영국만큼 엄격하지 않다. 미국은 0.5캐럿으로 되어 있다고 한다.
예를 들면 K18 경우, 영국에서는 74.8%이상이 되지 않으면 안되지만 미국에서는 72.91% 이상이면 되는 것이므로 큰 차이가 있는 것이다.
프랑스에서는 영국처럼 강제 검정의 원칙이 없고, 검정소가 파리를 비롯하여 각 도시에 설치되어 있다.
물론 이것은 재무성 직할 검정소이다.
수 검자는 미리 그 마크를 등록해두고 마크 찍은 것이 아니면 검정을 받을 수 없게 되어 있다.
이 검정의 각인이 없는 것은 프랑스에서는 판매될 수 없는 것은 동일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금의 품위가 K18.K14.K10 등이 상관습에 의해 즐겨 애용되고 있다.
금 합금의 품위와 캐럿제
캐럿(Karat)이라고 하는 것은 합금의 중량24속에 포함된 순금의 함량이다. 예를 들면 K18은 순금이 18과 비금속의 6이 합해져서 용해된 합금이며 금의 함유율은 75%이다.
원래 캐럿(Karat)은 영국의 금 저울 (트로이 유니트)의 한 단위로서 특히 금의 무게를 나타낸다.
영국에서는 보통의 무게는 상용단위로 재고, 귀금속은 금 저울로 단다.
일반저울의 1온스는 28.35g, 금 저울상의 1온스는 이와 달리 31.1035g으로 24캐럿에 상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