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무인도에서 뿔제비갈매기(Chinese Crested Tern) 번식성공
전라남도 무인도에서 [가칭]뿔제비갈매기(Chinese Crested Tern, Thalasseus bernsteini) 5개체가 관찰되었고 1쌍이 성공하였다고 국립생태원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 결과를 2016년 8월 7일 발표하였다. 뿔제비갈매기는 2개월간의 번식과정을 관찰 후 발표하였다. 뿔제비갈매기는 중국 지장성의 지안섬(Jiushan), 우즈산섬(Wuzhishan), 푸젠성의 마츠섬 등 단 3곳에만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 물수리(Osprey) 번식성공
2016년 8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물수리(Osprey, Pandion haliaetus)가 번식에 성공하여 2마리의 새끼가 성공적으로 이소하였다. 매년 물수리의 성공적인 번식을 위하여 추가자료는 공개하지 아니하였다.
경기도 화옹호 밴딩한 저어새(Black-faced Spoonbill) 정리
2016년 8월 5일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매향리 화옹호에서 임방연회원이 밴딩한 저어새(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를 다수 관찰하였으며, 이기섭회원이 밴딩기록을 정리하였다.
1. S00(흰색-녹색-흰색) : 2014년 7월 1일 영종도 북단 수하암이라는 번식지에서 가락지를 부착한 개체. 지난 겨울 대만에서 월동. 수하암에 올해 5월 처음으로 날아 옴.
2. S87(흰색-빨강-녹색) : 2014년 6월 28일 인천 남동유수지에서 가락지 부착. 대만에서 월동 후 올해 남동유수지에 다시 날아 옴.
3. H07(오렌지-청색) : 2015년 6월 강화도 남단 각시암에서 가락지 부착. 대만에서 월동 후 각시암에는 날아오지 않은 개체 임.
4. T58(흰색-노랑-파랑색) : 2013년도 대만에서 가락지를 부착. 대만에서 월동 후 우리나라에서는 올해 처음 기록된는 개체임.
5. S33(빨강-흰색-빨강) : 2013년도 6월에 남동유수지에서 가락지를 부착. 대만에서 월동 남동유수지에서 날아와 번식 시도.
6. S50(오렌지-흰색-오렌지) : 2013년 7월 20일 인천 남동유수지에서 가락지 부착. 지난 겨울 대만에서 월동 올해 4월부터 남동유수지에서 6월까지 계속 관찰됨.
7. J17(빨강-노랑색) : 2013년 4월 일본 구마모토에서 구조되어 풀어 준 개체. 올해 수하암, 남동저수지, 매도 등에서 관찰됨.
8. S66(파랑-흰색-오렌지색) : 2014년 6월 20일 연평도 지역에서 가락지를 부착. 홍콩에서 지난 겨울 월동하고 올라 온 개체로 태어났던 번식지에 5월에 다시 돌아 온 기록이 있음.
9. 청색가락지 : 청색가락지를 부착하고 있는 개체는 각시암에서 2015년에 부착했던 개체로 보입니다. 당시 오른쪽에 파랑색 가락지만 끼웠었습니다. 그러나 가락지를 조합하여 부착한 개체가 떨어진 경우도 있을 수 있음.
10. E46(노랑-녹색-노랑)-2016년 8월 20일 추가 관찰 : 2011년 7월 4일 영종도 인근 번식지에서 부착. 2011년생 암컷(깃털 DNA 분석 결과). 번식기에는 강화남단 자주 관찰, 이동시기에는 새만금, 화홍호, 월동기에는 대만, 홍콩에서 관찰. 지난 연말(15년 12월)에 중국 선전시에서 관찰(홍콩과 30km 정도 거리로 동일생활권)
제주도 슴새(Streaked Shearwater), 바다제비(Swinhoe's Storm Petrel), 지느러미발도요(Red-necked Phalarope) 야간탐조
2016년 8월 12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해상에서 강희만회원이 슴새(Streaked Shearwater, Calonectris leucomelas), 바다제비(Swinhoe's Storm Petrel, Oceanodroma monorhis), 지느러미발도요(Red-necked Phalarope, Phalaropus lobatus)를 야간탐조하였다. 야간에 관찰되는 조류는 갈치잡이 어선 주변에서 자주 관찰되고 있다.
1. 슴새
2. 바다제비
3. 지느러미발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