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amattthajotikā(Suttanipata 주석서)
해제
본고는 <원전연구> 제8호에 이어지는 <Suttanipāta>의 주석서인 <Paramattthajotikā> 중 Uragasutta의 14-17게(偈)와 Dhaniya sutta의 1게(偈)에 대한 번역이다. Uragasutta의 14-17게는 수면(隨眠, anusaya)에 관한 내용(14-16)과 5개(蓋)[17게]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Dhaniya sutta의 1게는 소를 치며 생활하는 Dhaniya의 전생과 우기(雨期)를 맞은 그의 생활을 묘사한 내용과 1번째 게송에 대한 어구풀이와 의미 풀이로 구성되어 있다.
1)Uragasutta의 제 14-17게
Uragasutta의 14게는, 수면의 정의와 7수면 즉 욕(欲, kāmarāga), 진(瞋, paṭigha), 만(慢, māna), 사견(邪見, diṭṭhi), 의(疑, vicikiccha), 유탐(有貪, bhavarāga), 무명(無明, avijjā)과 불선(不善)과 근(根)에 관한 설명 그리고 번뇌순서와 수행도의 순서에 의한 수면제거방식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5게와 16게는 각각 차안(此岸)적 삶의 연(緣)과 인(因)에 대한 내용으로, 그리고 17게는 5개(蓋) 즉 탐(貪, rāga), 瞋(dosa), 혼침수면(惛沈隨眠, thīnamiddha), 도거악작(掉擧惡作, uddhaccakukkucca), 의(疑, vicikiccha)에 대한 내용이 중심으로, 개(蓋)의 정의, 개(蓋)의 수, 번뇌순서와 수행도의 순서에 의한 5개(蓋)를 사단(捨斷)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있다.
2)Dhaniya sutta의 제 1게
Dhaniya sutta의 제 1게는 게송의 주해(註解)에 들어가기 앞서 Dhaniya의 전생의 인연과 많은 일꾼과 가족을 거느리고 소를 치며 살아가는 그의 우기를 맞이한 생활을 기술하고, 이후 제 18게에 대한 어구설명과 의미에 관한 주석이 따르고 있다. 18게의 내용은 우기를 보낼 만반의 준비를 갖춘 Dhaniya가 흡족한 마음으로 스스로 읊은 게이다.
<제 14게>
Yassānusayā na santi keci
mūla akusalā samūhatāse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 iva tacaṃ purāṇaṃ).
수면도 존재하지 않고
모든 불선근(不善根)을 제거한
저 비구는 (마치 뱀이 오래되고
쓸모 없는 허물을 벗어버리듯
하열한 차안(此岸)을 버린다).
Esa nayo ito parāsu catusu gāthāsu ayaṃ pan' ettha atthavaṇṇanā: appahīnaṭṭhena santāne anusentī ti anusayā kāmarāgapaṭighamāndiṭṭhivicikicchābhavarāgāvijjānaṃ etaṃ adhivacanaṃ; sampayuttadhammānaṃ attano ākāranuvidhānaṭṭhena mūlā akkhemaṭṭhena akusalā taṃpatiṭṭhābhūtā ti pi mūlā sāvajjadukkhavipākaṭṭhena akusalā ubhayam p' etam lobhadosamohānaṃ adhivacanaṃ te hi lobho bhikkhave akusalañ ca akusalamūlañ cā ti ādinā nayena evaṃ niddiṭṭhā.
이 방식은 이 이후 4개의 게송에 (적용된다). 그러나 여기서는 뜻을 주석한 것이다. anusayā(隨眠)란 상속하여 끊어지지 않고 잠재하고 있는 번뇌로, 욕탐(欲貪, kāmarāga), 진(瞋, paṭigha), 만(慢, māna), 사견(邪見, diṭṭhi), 의(疑, vicikiccha), 유탐(有貪, bhavarāga), 무명(無明, avijjā)과 동의어이다. 상응하는 제법이 자신의 행상(行相)을 따른다는 의미에서 근(根, mūla)이다. 안은하지 않다는 의미에서 불선(不善)이며, 또한 저 (번뇌)의 소의(所依)가 되기 때문에 근(根)이며, 과실이 있고 고(苦)라는 과보를 가져온다는 의미에서 불선이다. 이 두 의미는 탐, 진, 치와 동의어이다. 왜냐하면 이 말들은 "비구들이여, 탐(貪)은 불선이며 불선근(不善根)이다."라는 방식으로 설명되기 때문이다.
Evam ete anusayā tena tena maggena pahīnattā yassa keci na santi ete ca akusalamūlā tath' eva samūhatāse samūhatā icc eva attho paccattabahuvacanassa hi sa-kārāgamaṃ icchanti saddalakkhanakovidā aṭṭhakathācariyā pana se ti nipāto ti vaṇṇayanti yaṃ ruccati taṃ gahetabbaṃ. Ettha pana kiñcāpi so evaṃvidho bhikkhu khīṇāsavo hoti khīṇāsavo ca n' eva ādiyati na pajahati pajahitvā ṭhito ti vutto tathā pi vattamānasamīpe vattamānavacanalakkhaṇena jahāti orapāran ti vuccati atha vā anupādisesāya nibbānadhātuyā parinibbāyanto attano ajjhattikabāhirāyatanasaṃkhātaṃ jahāti orapāran ti veditabbo.
이와 같이 이 수면들은 각각의 방식으로 사단되기 때문에 '그에게 모든 (번뇌)가 존재하지 않고', 그리고 이 불선근들은 실로 그와 같이 '제거된다.', 혹은 '제거된'이라는 뜻이고, 각각이 복수형이라는 것에 대해서 문법가들은 sa자가 덧붙여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주석가들은 se는 불변화사(不變化詞)라고 설명한다. 둘 중 원하는 것을 취해도 가할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이와 같이 저 비구는 번뇌가 다했고 (번뇌)를 취하지도 버리지도 않는다. 이미 (번뇌)를 버린 상태에 머무른다 라고 이야기된다. 그렇지만 현재시제에 가깝기 때문에 현재형으로 '차안과 피안을 버린다.'고 말한다. 그리고 또한 무여의열반계(無餘依涅槃界)에서 반열반(般涅槃)하면 자신의 내외처라고 불리는 하열한 차안을 버린다라고 알아야 할 것이다.
Tattha kilesapaṭipāṭiyā maggapatipāṭiyā cā ti dvidhā anusayānaṃ abhāvo veditabbo kilesapaṭipāṭiyā hi kāmarāgānusayapaṭighānusayānaṃ tatiyamaggena abhāvo hoti mānānusayassa catutthamaggena diṭṭhānusayavicikicchānusayānaṃ pathamamaggena bhavarāgānusayāvijjānusayānañ catutthamaggen' eva maggapaṭipāṭiyā pana paṭhamamaggena diṭṭhānusayavicikicchānusayānaṃ abhāvo hoti dutiyamaggena kāmarāgānusayapaṭighānusayānaṃ patanubhāvo tatiyamaggena sabbaso abhavo catutthamaggena mānānusayabhavarāgānusaya avijjānusayānaṃ abhāvo hoti.
이와 같이 번뇌의 순서와 (수행)도의 순서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수면이 제거됨을 알아야 할 것이다. 번뇌의 순서에 의해서는 탐욕수면(貪欲隨眠)과 진에수면(瞋恚隨眠)은 세 번째 도[不還果]에 의해 제거되고, 만수면(慢隨眠)은 네 번째 도[阿羅漢果]에서, 사견(邪見)과 의수면(疑隨眠)은 첫 번째 도[豫流果]에서, 유탐수면(有貪隨眠)과 무명수면(無明隨眠)은 네 번째 도에 의해서만 제거된다. 그리고 도의 순서에 있어서는 첫 번째 도에 의해 사견과 의수면이 제거되고, 두 번째 도에 의해서는 탐과 진에수면이 약해지고, 세 번째 도에 의해서는 그 전부가 제거되고, 네 번째 도에 의해서는 만(慢), 유탐, 무명수면이 제거된다.
Thattha yasmā na sabbe anusayā akusalamūlā kāmarāgabhavarāgānusayā eva hi lobhākusalamūlena saṅgahaṃ gacchanti paṭighānusayāvijjānusayā ca dosa akusalamulaṃ moho akusalamulam' icc eva saṃkhaṃ gacchanti diṭṭhimānavicikicchānusayā pana na kiñci akusalamulaṃ hoti. yasmā vā anusayābhāvavasena akusalamulasamugghātavasena ca killesappahanaṃ patthesi, tasma yassa anusaya na santi keci mūlā akusalā samūhatāse iti Bhagavā āha.
이와 같이 모든 수면이 불선근은 아니기 때문에 욕탐과 유탐수면(有貪隨眠)만이 탐(貪)의 불선근에 포함된다. 그리고 진에와 무명수면에 대해서는 '진에는 불선근이다.', '우치는 불선근이다.'라고만 불리 운다. 그러나 사견(邪見), 만(慢), 의수면(疑隨眠)은 어떤 것도 불선근이 아니다. 또 수면을 없애고 불선근을 제거함으로써 번뇌의 멸(滅)을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누구든 그 사람의 번뇌가 존재하지 않으면 '(번뇌)가 제거되었다.'라고 붓다는 말했다.
<제 15게>
Yassa darathajā na santi keci
oraṃ āgamanāya paccayāse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 iva tacaṃ purāṇaṃ).
환뇌(患惱)로 인해 생하는 바가 없고
모든 하열한 차안에 돌아올 인연이 존재하지 않는
저 비구는 (마치 뱀이 오래되고
쓸모 없는 허물을 벗어버리듯
하열한 차안을 버린다)
Yassa darathajā ti ettha pana paṭhamuppannā paṭhamuppannā kilesā pariḷāhaṭṭhena darathā nāma aparāparuppannā tehi darathehi jātattā darathajā nāma oran ti sakkāyo nāma vuccati yathāha: "oriman tīran ti kho bhikkhu sakkāyass'etaṃ adhivacanan" ti; āgamanāyā ti uppattiyā; paccayāse ti paccayā eva. Kiṃ vuttaṃ hoti: yassa pana upādānakkhandhagahaṇāya paccayabhūtā ariyamaggena pahīnattā keci darathajavevacanā kilesā na santi pubbe vuttanayen'eva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그 중 '환뇌로부터 생한다.'라는 이 게송에서 각각 가장 먼저 생겨난 번뇌는 열뇌(熱惱)의 의미에서 환뇌라고 한다. 다음에서 다음으로 생하는 저 환뇌들에 의해 생하기 때문에 '환뇌로부터 생한다.'라고 한다. '하열한(oran)'이란 유신(有身, sakkāya)을 말한다. 그래서 "차안이란, 비구여, 이것은 유신과 동의어이다."라고 말한다. '도달(āgamana)'이란 생기한다는 의미이다. 제연(諸緣, paccayāse)이란 바로 연(緣)들을 말하는 것이다. 어떻게 말해지는가? 어떤 것이든 그에게 취온(取蘊)으로, 취저되는 연(緣)이 되는 것들은 성도(成道)에 의해 제거되기 때문에 환뇌로부터 생한 것과 동일한 의미의 어떠한 번뇌도 존재하지 않는다.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저 비구는 하열한 차안을 버린다.
<제 16게>
Yassa vanathajā na santi keci
vinibandhāya bhavāya hetukappā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 iva tacaṃ purāṇaṃ).
(탐욕의) 숲에서 생하는 바가 없고
계박(繫縛)된 삶을 위한 어떠한 원인에도 얽혀있지 않은
저 비구는 (마치 뱀이 오래되고
쓸모 없는 허물을 벗어버리듯
하열한 차안을 버린다).
Yassa vanathajā ti etthāpi darathajā viya vanathajā veditabbā, vacanatthe pana ayaṃ viseso: vanute vanoti ti vā vanaṃ yācati bhajati ti attho taṇhāy' etaṃ adhivacanaṃ sā hi visayānaṃ patthanato sevanato ca vanan ti vuccati; taṃpariyuṭṭhānavasena vanaṃ tanotī ti vanatho taṇhānusayass' etaṃ adhivacanaṃ vanathā jātā vanathajā; keci panāhu: "sabbe pi kilesā gahanaṭṭhena vanatho ti vuccanti aparāparuppannā pana vanathajā" ti-ayam eva c' ettha Uragasutte attho adhippeto itaro pana Dhammapadagāthāyaṃ vinibandhāya bhavāyā ti bhavanibandhāya atha vā cittassa ca visayesu vinibandhāya āyatiṃ uppattiyā cā ti attho; hetū yeva hetukappā.
'탐욕의 숲에서 생한다.'라는 여기서도 '환뇌로부터 생한다.'처럼 '탐욕의 숲에서 생(生)한다.'고 알아야 한다. 그러나 말의 의미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탐욕의) 숲을 바라다(vanute)', '구하다(vanoti)' 또는 '구걸하다.', '친근히 하다.'라는 의미이다. 이것은 갈애와 동의어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대상을 갈구하고 친근히 하려고 하기 때문에 숲이라고 말한다. 저 전(纏)에 의해 (탐욕의) 숲이 확장되는 것이 (탐욕의) 숲이다. 이것은 갈애수면(渴愛隨眠)과 동의어이다. (탐욕의) 숲에서 생했다는 의미가 vanathajā이다.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모든 번뇌도 밀림(密林)이라는 의미에서 vanatha라고 하며 (탐욕의) 숲에서 생(生)한 것이 차례로 생한다고 말해진다. 그리고 이것이 이 사경(蛇經)속에서 의도된 의미이다. 그리고 다른 것은 <Dhammapada>의 게송중에 (설해져 있다). 계박된 생존이란 생존의 속박(이라는 의미이다). 혹은 또 마음을 대상에 속박하기 때문에, 그리고 장차 생기하기 때문에, 라는 의미이다. '인(因)과 같은'이란 바로 인(因)을 말한다.
<제 17게>
Yo nīvaraṇe pahāya pañca
anigho tiṇṇakathaṃkatho visallo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 iva tacaṃ purāṇan ti).
5개(蓋)를 끊고, 고뇌도 없고
의(疑)를 벗어나고 (탐욕)의 독화살을 뽑아낸
저 비구는 마치 뱀이 오래되고
쓸모 없는 허물을 벗어버리듯
하열한 차안을 버린다 라고.
Yo nīvaraṇe ti ettha nīvaraṇā ti cittaṃ hitapaṭipattiṃ vā nīvarantī ti nīvaraṇā paṭicchādentī ti attho; pahāyā ti chaḍḍetvā; pañcā ti tesaṃ saṃkhāparicchedo;īghābhāvato anīgho; kathaṃkathāya tiṇṇattā tiṇṇakathaṃkatho vigatasallattā visallo. Kiṃ vuttaṃ hoti: yo bhikkhu kāmacchandādīni pañca nīvaraṇāni Samantabhadrake vuttanayena sāmaññato visesato ca nīvaraṇesu ādīnavaṃ disvā tena tena maggena pahāya tesañ ca pahīnattā eva kilesadukkhasaṃkhātassa īghassa abhāvena anīgho ahosi
'누구든 개(蓋)를'이라는 여기서 개(蓋)는 마음을 또는 유익한 수행도를 장애하기 때문에 개(蓋)이고 덮는다는 의미이다. '버린'이란 '제거한'이란 뜻이다. 5란 그것의 수를 한정한 것이다. 고뇌가 없기 때문에 anīgha이다. 의혹을 벗어났기 때문에 tiṇṇakathaṃkatha이다. 화살[번뇌]을 여의었기 때문에 visalla이다. 어떻게 말해지는가? 어떤 비구든 욕탐등의 5개(蓋)를 Samantabhadraka에서 설한 방식으로 전체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개(蓋)의 과환(過患)을 보고 나서 각각의 도(道)로서 끊고 그것들을 끊었기 때문에 번뇌의 고(苦)라 불리는 고통이 없어져 무고(無苦)가 되는 것이다.
'nanu kho ahaṃ atītam addhānan' ti ādinā nayena pavattāya kathaṃkathāya tiṇṇattā tiṇṇakathaṃkatho tattha "katame pañca sallā: rāgasallo dosasallo mohasallo mānasallo diṭṭhisallo" ti vuttānaṃ pañcannaṃ sallānaṃ vigatattā visallo so bhikkhu pubbe vuttanayen' eva jahāti orapāran ti.
'내가 오랜 과거에 ---이었는가?'라는 등의 방식으로 일어난 의혹을 초월했기 때문에 '의혹을 초월했다.'는 것이다. 그와 같이 '5개의 화살은 무엇인가? 탐(貪), 진(瞋), 치(癡), 만(慢), 사견(邪見)의 화살이다라고 설해지는 5개(蓋)를 여의었기 때문에 '화살을 여의었다.'고 하는 것이다. 저 비구는 앞서 설해진 방식대로 하열한 차안(此岸)을 버린다라고 (설해진다).
Atrāpi ca kilesapatipātiyā maggapaṭipāṭiyā cā ti dvidhā eva nīvaraṇappahānaṃ veditabbaṃ. kilesapaṭipāṭiyā hi kāmacchandanīvaraṇassa vyāpādanīvaraṇassa ca tatiyamaggena pahānaṃ hoti, thīnamiddhanīvaraṇassa uddhaccanīvaraṇassa ca catutthamaggena "akataṃ vata me kusalan" ti ādinā nayena pavattassa vippaṭisārasaṃkhātassa kukkuccanīvaraṇassa vicikicchānīvaraṇassa ca pathamamaggena; maggapatipātiyā pana kukkuccanīvaraṇassa vicikicchanīvaraṇassa ca pathamamaggena pahānaṃ hoti kāmacchandanīvaraṇassa vyāpādanīvaraṇassa ca dutiyamaggena patanubhāvo hoti tatiyena anavasesappahānaṃ thīnamiddhanīvaraṇassa uddhaccanīvaraṇassa ca catutthamaggena pahānaṃ hoti ti.
여기서도 또한 번뇌의 순서와 도(道)의 순서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개(蓋)를 사단함을 알아야 한다. 번뇌의 순서에 의해 욕탐개(欲貪蓋)와 진에개(瞋恚蓋)는 세 번째 도[불환도]에 의해 끊어지고, 혼침수면개(惛沈隨眠蓋)와 도거개(掉擧蓋)는 네 번째도[아라한도]에 의해 (끊어진다). "나는 선(善)을 행하지 않았다."라는 등의 방식으로 일어나는 후회, 악작, 의개(疑蓋)는 첫 번째 도[예류도]에 의해 (끊어진다). 그리고 (수행)도의 순서에 의해 악작과 의개는 첫 번째 도에 의해 끊어지고, 욕탐과 진에개는 두 번째 도에 의해 극히 희박하게 되고, 세 번째 도에 의해 남김없이 끊어지고, 혼침수면과 도거개는 네 번째 도에 의해 끊어진다.
Evaṃ "yo nīvaraṇe pahāya pañca anīgho tiṇṇakathaṃkatho visallo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 iva tacaṃ purāṇan" ti arahattanikūṭen' eva Bhagavā desanaṃ niṭṭhapesi; desanāpariyosāne so bhikkhu arahatte patiṭṭhito. Ekacce "yena nayena tesaṃ bhikkhūnaṃ yā gāthā desitā tena tena tassā tassā gāthāya pariyosāne so so bhikkhu arahatte patiṭṭhito" ti vadanti.
이와 같이 "누구든 5개(蓋)를 끊고 고뇌없이 의(疑)를 벗어나서 (번뇌)의 화살을 뽑아낸 저 비구는 마치 뱀이 오래되고 쓸모 없게 된 허물을 벗듯이 하열한 차안을 버린다."라는 아라한의 가장 높은 경지를 보임으로써 세존께서는 설법을 마치셨다. 설법을 마치셨을 때, 저 비구는 아라한과를 얻었다. 어떤 사람들은 말하기를: "그러한 방식으로 그들 비구들에게 저 게송들이 설해졌는데, 각각의 방식으로 각각의 게송들이 끝났을 때, 각각의 비구들은 아라한과를 얻었다."고한다.
[제2 Dhaniyasutta에 대한 주석]
Pakkodano ti Dhaniyasuttaṃ. Kā uppatti: Bhagavā Sāvatthiyaṃ viharati. Tena samayena Dhaniyo gopo Mahītīre paṭivasati. Tassa pubbayogo: Kassapassa bhagavato pāvacane dippamāne vīsati vassasahassāni divase divase saṃghassa vīsati salākabhattāni adāsi. So tato cuto devesu uppanno eva devaloke ekaṃ buddhantaraṃ khepetvā amhākaṃ Bhagavato kāle,-Videharaṭṭhamajjhe Pabbataraṭṭhaṃ nāma atthi, tattha Dhammakoṇḍaṃ nāma nagaraṃ tasmiṃ nagare seṭṭhiputto hutvā abhinibbatto.
'밥을 짓는다.'라는 다니야경(이 시작된다). 유래는 무엇인가? 세존께서 사위성에 머물고 계셨다. 그 때 목동인 다니야는 마히(Mahī)강변에 머물고 있었다. 그의 전생의 인연은 (다음과 같다). 세존 가섭불의 말씀이 (세상을) 비추고 있었던 2만년 동안 (그는) 매일 상가를 위하여 20인분의 행주식(行籌食)을 공양했다. 그는 거기서 죽어 천상계에 태어났다. 천상계에서 한 붓다와 다른 붓다가 세상에 출현하시는 그 사이의 시기를 지나 우리의 세존(석가모니 붓다)께서 출현한 시기에 비데하(Videha)국 가운데 빠바따라는 (소)왕국이 있는데, 그곳의 담마꼰다라는 성읍의 한 장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So goyūthaṃ nissāya jīvati; tassa tiṃsamattāni gosahassāni honti sattavīsatisahassā gāvo khīraṃ duyhanti. Gopā nāma nibaddhavāsino na honti vassike cattāro māse thale vasanti avasesa aṭṭhamāse yattha tiṇodakaṃ sukhaṃ labbhati tattha vasanti tañ ca nadītīraṃ vā jātassaratīraṃ vā hoti. Athāyam pi vassakāle attanā vasitagāmato nikkhamitvā gunnaṃ phāsuvihāratthāya okāsaṃ gavesanto Mahāmahī bhijjitvā ekato Kāḷamahi ekato Mahāmahi cc eva saṃkhaṃ gantvā sandamānā puna samuddasamīpe samāgantvā pavattā yaṃ okāsaṃ antaradīpaṃ akāsi taṃ pavisitvā vacchānaṃ sālaṃ attano ca nivesanaṃ māpetvā vāsaṃ kappesi. Tassa satta puttā satta dhītaro satta suṇisā aneka ca kammakarā honti. Gopā nāma vassanimittaṃ jānanti: yadā sakuṇakā kulāvakāni rukkhagge karonti kakkaṭakā udakasamīpe dvāraṃ pidahitvā thalasamīpadvārena valañjenti tadā suvuṭṭhikā bhavissati ti gaṇhanti; yadā pana sakuṇakā kulāvakāni nīcaṭṭhāne udakapiṭṭhe karonti kakkaṭakā thalasamīpe dvāraṃ pidahitvā udakasamipadvārena valañjenti tadā dubbuṭṭhikā bhavissatī ti gaṇhanti
그는 소 떼에 의지하여 생활하고 있고, 3만 두 가량의 소가 있고 2만 7천 두의 소로부터 젖을 짤 수 있다. 소를 치는 일은 한 곳에 정주하는 일이 아니다. 우기 4개월은 고지에 머무르고 우기가 아닌 8달 동안은 풀과 물을 얻기 쉬운 곳에 머무른다. 즉 강변이나 자연적으로 생긴 호수주변이다. 그런데 그도 또한 우기에 자신의 마을에서 나와 소를 키우기 적당한 장소를 찾다가, 마하마히강이 갈라져 한 쪽은 깔라마히강이 되고 다른 한 쪽은 마찬가지로 마하마히로 불려지고, 흐르다가 다시 바다 근처에서 합쳐져 만들어지는 그 안의 섬에 들어가 송아지들의 우리와 자신이 머물 곳을 만들어 거처로 삼았다. 그에게는 7명의 아들과 7명의 딸과 7명의 며느리와 많은 일꾼들이 있었다. 목동들은 비가 올 조짐을 안다. 작은 새가 자신의 둥우리를 나무 꼭대기에 만들고, 게들이 물가에 만든 문을 닫고 육지 근처의 문을 사용하여 드나들 때는 비가 올 것임을 안다. 그리고 새들이 둥우리를 낮은 곳에, 수면에 가까운 곳에 만들고, 게들이 육지근처에 있는 문을 닫고 물가에 만든 문들로 출입할 때는 비가 오지 않을 조짐이라 여기는 것이다.
Atha so Dhaniyo suvuṭṭhikanimitte upalakkhetvā upakaṭṭhe vassakāle antaradīpā nikkhamitvā Mahāmahiyā paratīre sattasattaham pi deve vassante udakena anajjhottharaṇokāse attano vasanokāsaṃ katvā samantā parikkhipitvā vacchasālāyo māpetvā tattha nivāsaṃ kappesi. Ath' assa dārutiṇādisaṅgahe kate sabbesu puttadāsakammakaraporisesu samāniyesu jātesu nānappakārekhajjabhojje paṭiyatte samantā catuddisā meghamaṇḍalāni uṭṭhahiṃsu. So dhenuyo duhāpetvā vacchasālāsu vacche bandhāpetvā gunnaṃ catuddisā dhūmaṃ kārāpetvā sabbaparijanaṃ bhojāpetvā sabbakiccāni kārāpetvā tattha tattha dīpe ujjalāpetvā sayaṃ khīrena bhattaṃ bhuñjitvā mahāsayane attano sirisampattiṃ disvā tuṭṭhacitto hutvā aparadisāya meghatthanitasaddaṃ sutvā nipanno imaṃ udānaṃ udānesi: pakkodano duddhakhīro' ham asmī ti.
그때 다니야는 비가 자주 올 것이라는 조짐을 보고 우기가 가까워지자 강 사이의 섬 가운데에서 나와 마하마히강을 향하고 있는 강변에, 49일이나 비가 내려도 물에 잠기지 않는 곳에 자신의 거처를 만들고 나서, 주위를 완전히 둘러쳐서 소 우리를 만들어 그곳을 거처로 삼았다. 그 때 그는 나무나 풀 등을 모으고, 모든 자식들과 노복과 일꾼들이 함께 모이고, 여러 가지 종류의 음식이 준비되었을 때, 사방에 온통 비구름이 생겨났다. 그는 소의 젖을 짜게 하고, 우리의 송아지들을 묶게 하고, 소를 위해 사방에 연기를 피우게 하고, 모든 아랫사람에게 밥을 먹게 하고, 할 일을 모두 마치게 하고, 섬 여기 저기에 연기를 피우게 하고, 스스로 우유를 식사를 하고는 침상에 (누워) 해야할 일을 마친 것을 보고 마음이 흡족하여 구름 저편의 천둥소리를 듣고 누워서는 이러한 독백을 하였다: "나는 우유도 다 짰고 밥도 다 지었다."
<제 18게>
Pakkodano duddhakhiro' ham asmi
iti Dhaniyo gopo
anutire Mahiya samanavaso
channa kuti ahito gini
atha ce patthayasi pavassa deva
목동인 다니야는 "나는 밥도 지었고 우유도 짰다."
마히 강변에 모두 함께 지낼
적당한 거처도 있고 불도 지폈다.
신이여, 만일 원한다면 비를 뿌리소서(라고 말했다).
Thatthāyaṃ atthavaṇṇanā: pakkodano ti siddhabhatto; duddhakhīro ti gāvo duhitvā gahitakhīro ahan ti attānaṃ nidasseti asmī ti attano tathābhāvaṃ pakkodano duddhakhīro ca ham asmi bhavāmī ti attho; itī ti evam āhā ti attho Niddese pana "iti ti padasandhi padasaṃsaggo padapāripūri akkharasamavāyo vyañjanasiliṭṭhatā padānupubbatam etan" ti evam assa attho vaṇṇito so pi idam eva sandhāya ti veditabbo yaṃ yaṃ hi pubbapadena vuttaṃ tassa tassa 'evam āhā'ti etaṃ atthaṃ dīpento yeva iti-saddo pacchimena padena 'Metteyyo' iti vā 'Bhagavā' iti vā evamādina padasandhi hoti nāññathā.
그 중, 다음은 뜻을 주석한 것이다: pakkodano란 밥이 다 되었다는 (의미이다). duddhakhīro란 소의 젖을 짜서 우유를 얻었다는 (뜻이다). ahan이란 자신을 나타내는 말이다. asmī란 자신의 그러한 상태 (를 나타내는 말이다). 나는 밥을 지었고, 우유를 짰다 라는 (의미이다). iti란 이와 같이 말했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의석(義釋)>에서는, "iti란 말을 결합시키고, 연결시키며, 완결시키며, 문자를 결합시키고, 자음을 연결시키고, 말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다), 라고 이와 같이 그것에 대한 의미를 주석한다. 그것도 또한 '이것에 관해서'라는 (의미)라고 알아야 한다. 앞에 나온 말에 의해 언급된 각각의 것에 대하여 '이렇게 말했다.'라는 이 의미를 명확히 하고, 동시에 iti라는 말은 (앞 문장의) 마지막 말과, '메떼야는' 혹은 '세존은'이라는 이와 같은 말들과 말을 연결시키는 것이다. 그 외에 다른 뜻은 없다.
Dhaniyo gopo ti tassa seṭṭhiputtassa nāmasamodhānaṃ so hi yān' imāni thāvarādīni pañca dhanāni tesu ṭhapetvā dānasīlādi anugāmikadhanaṃ khettavatthārāmādito thāvaradhanato pi gavāssādito jaṅgamadhanato pi hiraññasuvaṇṇādito saṃhārimadhanato pi sippāyatanādito aṅgasamadhanato pi yan taṃ lokassa pañcagorasānuppadānena bahūpakārataṃ sandhāya "n' atthi gosamitan dhanan" ti evaṃ visesitaṃ godhanaṃ tena samannāgatattā Dhaniyo.
Dhaniyo gopo,란 장자 아들의 이름을 말한 것이다. 그는 이들 부동산 등 5가지 재산 중, 보시, 지계 등 상실되지 않는 재산을 제외하고는 전지(田地), 택지(宅地), 원림(園林) 등 부동산보다도, 소나 말 등 동산보다도, 금괴나 황금 등 휴대할 수 있는 재산보다도, 기능 등 수족같은 재산보다도, 세상에 우유의 다섯 가지 맛을 줌으로써 큰 이로움을 주기 때문에 "소와 같은 (가치를 가진)재산은 없다."는, 이와 같이 특별한 '소' 라는 재산을 가졌기 때문에 Dhaniya(재산을 가진)라고 불린다.
gunnaṃ pālanato gopo yo hi attano gāvo pāleti so gopo ti vuccati yo paresaṃ vetanena bhato hutvā so gopālako ayam pana attano yeva tena gopo ti vutto; anutīre ti tirasamīpe; Mahiya ti Mahāmahīnāmikaya nadiyā; samānena anukūlavattinā parijanena saddhiṃ vāso yassa so samānavāso ayañ ca tathāvidho tenāha: samānavāso ti; channā ti tiṇapaṇṇacchadanehi anovassakatā; kuṭi ti vāsagharass' etaṃ adhivacanaṃ; āhito ti ābhato jalito vā; ginī ti aggi tesu tesu ṭhānesu aggi gini ti voharīyati; atha ce patthayasī ti idani yadi icchasī ti vuttaṃ hoti; pavassā ti siñca pagghara udakaṃ muñcā ti attho; devā ti meghaṃ ālapati-ayan tāv' ettha padavaṇṇanā.
소를 치기 때문에 gopa(목동)이다. 자신의 소를 치는 사람을 gopa라 부르고, 다른 사람을 위하여 임금을 받고 소를 치는 사람은 gopālaka(라고 부른다). 그런데 이(Dhaniya)는 자신의 소를 치는 것이기 때문에 gopa라고 불린다. '강변에서(anutīre)'란 강둑 근처를 말한다. '마히강에서(Mahiya)'란 '마하마히라는 이름을 가진 강에서'란 의미이다. 동일한 장소에서 따르는 아랫사람들과 함께 머무는 것이 samānavāsa이다. 그리고 이것도 또한 그와 같은 종류이다. 때문에 '함께 머물 장소가 있다.'고 말한 것이다. '지붕을 잇다.'라는 것은 풀이나 나뭇잎으로 지붕을 만들어 비를 막는 것을 말한다. 오두막(kuṭī)란 '거처할 곳'과 동의어이다. āhito란 '빛나다.' 혹은 '불타 오르다.'라는 의미이다. ginī는 불이다. 여러 장소에 놓은 불을 일러 ginī라고 한다. atha ce patthayasī는 '만일 지금 (당신이) 원한다면'이라는 의미로 말해지고 있다. pavassā란 '쏟아 붓다.', '유출하다.'로 물을 방출한다는 의미이다. devā란 구름을 지칭한 말이다. 우선 이것이 이 게에서의 어구에 대한 주석이다.
Ayaṃ pana atthavaṇṇanā: evam ayaṃ Dhaniyo gopo attano mahāsayane nipanno meghatthanitaṃ sutvā pakkodano' ham asmī ti bhaṇanto kāyadukkhavūpasamūpāyaṃ kāyasukhahetuñ ca attano sannihitaṃ dīpeti duddhakhīro' ham asmī ti bhaṇanto cittadukkhavūpasamūpāyaṃ cittasukhahetuñ ca anutīre Mahiyā ti nivāsanaṭṭhānasampatti-ṃ samānavāso ti tādise kāle piyavippayogapadaṭṭhānassa sokassābhāvaṃ channā kuṭī ti kāyadukkhāgamapaṭighātaṃ
그리고 다음은 뜻을 풀이한 것이다. 이와 같이 목동이 이 다니야는 큰 침상에 누워 비구름 의 천둥소리를 듣고 '나는 밥을 다 지었다.'라고 하면서, 몸의 괴로움을 평안케 하는 방법과 몸을 즐겁게 하는 원인을 스스로 쌓고 있음을 확실히 나타내고 있다. '나는 우유를 다 짰다.'라고 하면서 마음의 괴로움을 안온케 하는 방법과 마음을 즐겁게 하는 원인을 (스스로 쌓고 있음을 확실히 나타내고 있다). '마히 강변에서'란 거처할 장소를 얻었음(을 나타내고), '함께 머물 장소'란 그러한 때에 애별리(愛別離)의 (괴로움)의 직접원인이 되는 근심이 부재함을 (나타내고), '오두막의 지붕을 잇다.'란 몸에 괴로움이 되는 것을 막는 것을 (의미한다).
āhito ginī ti yasmā gopālakā parikkhepadhūmadāruaggivasena tayo aggī karonti te ca tassa gehe sabbe katā tasmā sabbadisāsu parikkhepaggiṃ sandhāya āhito gini ti bhaṇanto vāḷamigāgamananivāraṇaṃ dīpeti gunnaṃ majjhe gomayādīhi dhūmaggiṃ sandhāya ḍaṃsamakasādīhi gunnaṃ anābādhaṃ gopālakānaṃ sayanaṭṭhāne dāruaggiṃ sandhāya gopālakānaṃ sītābādhapaṭighātaṃ So evaṃ dīpento attano vā gunnaṃ vā parijanassa vā vuṭṭhippaccayassa kassaci ābādhassa abhāvato pītisomanassajāto āha: atha ce patthayasi pavassa devā ti.
'불을 피웠다.'란 목동들이 여기저기에 놓은 불과 연기와 장작불등 세 가지 불을 피워, 그 불들이 그의 거처에 모두 피워졌기 때문에, 사방에서 피워진 불에 대하여, '불이 피워졌다.'고 하는 것이며, 맹수들이 접근하는 것을 막는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소 무리들 가운데에서 우분(牛糞) 등으로 피우는 연기 불에 대하여서는, 등에와 모기와 같은, 소에게 병을 옮기는 해충들을 (쫓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목동들이 잠을 자는 장소에 피우는 장작불에 대해서는, 목동들의 추위와 질병을 (막아줌을 의미한다).그는 이와 같이 자신에게도, 소들에게도, 일하는 아랫사람들에게도, 비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어떠한 피해도 없을 것이기 때문에 마음이 흡족하여 다음과 같이 말했다: "당신이 원하신다면, 신이여 비를 뿌리소서."
[약호표]
A: Aṅguttaranikāya
D: Dighanikāya
Dhp: Dhammapada
DPPN: Dicitionary of Pāli Proper Names
Nd: Niddesa
Pj: Paramatthajotikā
S: Saṃyuttanikāya
Sn: Suttanipāta
Vibh: Vibhaṅga
<Paramattthajotikā(Suttanipata 주석서)/ 공만식 동국대 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