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옛길 소개
삼남길은 조선시대 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지역을 총칭하는 삼남대로로 해남-강진-광주-익산-천안-서울을 잇는 1,000리 길을 말한다. 경기옛길은 역사적 고증을 토대로 원형을 밝혀 지역의 문화유산을 도보길로 연결한 새로운 형태의 역사문화탐방로다.
조선시대에는 한양과 지방을 연결하는 교통로가 있다. 이 중 경기도를 지나는 주요 6개의 도로망은 제1로인 의주로를 시작으로 시계방향으로 경흥로ㆍ평해로ㆍ영남로ㆍ삼남로ㆍ강화로가 있다.
이러한 원형길을 바탕으로 새롭게 조성한 ‘경기옛길’ 중 2013년 5월 삼남길 경기도 전체 구간이 개통되었다. 경기옛길에는 지역의 문화유산과 민담ㆍ설화ㆍ지명유래와 같은 스토리텔링이 곳곳에 녹아있어 길을 걸으며 역사와 문화를 경험할 수 있다.
삼남대로
조선시대 6대 대로 중 한양과 충청, 전라, 경상의 삼남지방이 이어었던 1,000리에 달하는 긴 길을 '삼남대로'라고 불렀다.
조선시대 육로교통의 중심축으로 과거를 보러가던 젊은 선비들이 이 길을 걸었고, 삼남지방의 풍부한 물산도(?) 이 길을 오갔다. 또한 이 길은 정조께서 아버지 사도세자를 참배하기 위해 현릉원으로 행차하던 길이며, 이순신 장군이 전라 좌수영으로 부임하던 길이고, 삼봉 정도전, 다산 정약용이 유배를 떠났던 길이며, 암행어사가 된 이몽룡이 남원으로 한달음에 달려갔던 길이기도 하고, 임진왜란과 한국전쟁의 격전지이기도 하다.
삼남길
경기옛길 삼남길은 '삼남대로'의 옛 노선을 연구고증하고, 그 원형을 최대한 따르면서 고속도로 등으로 단절된 구간, 도보자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구간 등에 대해 대체로를 개척하여 조성한 역사문화 탐방로이다. 평택에서 시작하여 조성한 역사문화 탐방로다. 평택에서 시작하여 오산, 화성, 수원, 의왕, 안양을 거쳐 과천으로 이어지는 약 100km의 구간이 조성되어 있다.
출처: 경기옛길 가이드북 & 패스포트
삼남길 7길 독산성길은 세마교를 지나 독산성에 오르게 되는데, 독산성은 임진왜란 때 왜군을 물리 친 권율장군의 이야기가 내려오는 곳으로 독산성에서는 주변을 한 눈에 살필 수 있다. 독산성 내에 있는 백제 고찰 보적사와 삼림욕장을 지나서 계속 걷다보면 금암동 고인돌 공원에 도착하게 되는데, 금암동 고인돌은 한강 이남에 처음 무리지어 발견된 고인돌로 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다.
경기옛길 중 7길 독산성길은 지하철 1호선 병점역 1번 출구로 나가 세마교(뱅뱅이) 방향으로 가는 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병점역에서 세마교까지는 약 10분 정도 소요된다. 세마교(뱅뱅이)에서 내려서 길을 건너면 세마교다.
세마교를 건너야 하는데, 차도를 그냥 통과해야 해서 조금 위험하다.
세마교를 지나오면 왼쪽으로 바로 7길 시작하는 이정표를 만날 수 있다.
오늘 코스는 세마교-독산성-보적사- 고인돌공원-은빛개울공원까지다.
여기서부터는 화성시에서 오산시로 바뀐다.
소나무 숲길이 너무 좋다.
오늘 7길 독산성길 스탬프는 독산성 입구 화장실 옆에 세워져 있는 이곳에서 꽝!
동문
동문은 평거식 성문으로 천장석과 바닥에 성문을 고정시켰던 문확석이 각각 두 개씩 남아 있다. 화성지의 기록에 따르면 문루와 이름이 없고, 동문은 사람만 다니던 문으로 성문 안쪽에는 보적사가 있다.
*평거식 성문: 양쪽 벽 위에 장대석이나 판석을 수평상으,로 걸쳐 방형의 통로를 만든 성문
*문확석: 문짝을 여닫을 때 문짝이 달려 있게 하는 것.
*문루: 궁문, 성문, 지방관청의 바깥문 등의 위에 지은 건물
보적사
독산성 동문 안에 있는 사찰로 1831년 편찬된 화성지에 따르면 21칸 반 규모로 지어진 때를 알 수 있는 문헌이나 사료는 없다. 임진왜란 이후 여러 차례 고쳐 지어졌고, 용주사를 세울 당시 약사여래를 모신 약사전과 승려들이 머무는 요사 3동이 다시지어졌다고 한다. 보적사는 1978년 세마사로 이름을 변경하였다가 1996년 다시 보적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대웅전에는 석가여래와 약사여래, 지장보살을 모시고 있다.
대웅전 앞에 있는 3층 석탑
독산성은 독성산성이라고도 불리는데, 오산과 수원 화성에 걸쳐 펼쳐진 평야 한가운데 우뚝 솟아 주변을 두루 살필 수 있는 군사적 요충지로 자리하고 있다. 독산성은 백제 시대에 처음 쌓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통일 신라와 고려 시대에도 지속적으로 이용되엇을 것으로 추정된다. 임진왜란 때 권율 장군의 승전으로 군사적 중요성이 강조되었고, 도성을 방어하는 데 중요한 근거지가 되었다.
세마대
세마대는 임진왜란 때 권율장군의 승전과 관련하여 성 안 꼭대기에 세워진 장대로 일제강점기와 6.25를 거치면서 파과되었다가 1957년 민관으로 구성된 '세마대 중건위원회'에 의해 팔작지붕을 올린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로 복원되었다.
남쪽에 걸려 있는 세마대(洗馬坮) 현판은 이승만 전 대통령의 친필이다.
독산성에서 내려다 보이는 오산시
나무도 멋있지만, 나무 아래서 장기를 두는 모습이 평화롭다.
독산성 안내에 보면 고인돌 공원은 다시 내려가라고 되어 있다. 그래서 독산성 해설사에게 물어봤더니, 왔던길로 나가서 귀례정이라는 곳까지 걸어가면 고인돌 공원으로 가는 길을 만날 수 있다고 할길래, 우리는 성 위에서 나가는 방법도 있을텐데, 굳이 시키는대로 다시 내려가기로 한다.
산길을 빠져나오면 도로를만나는데, 왼쪽길을 따라 내려가면 된다. 중요한 건 이때부터는 삼남길 안내 리본도 이정표도 전혀 만날 수 없지만, 계속 도로를 따라 내려와야 한다.
길 건너에 귀례정이 보인다.
귀레정 옆에 삼남길 이정표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었다.
동탄 어린이 천문대
산 중간에 석탑이랑 꽃밭을 만들어 놓았다.
이 정자는 금암동 사람들이 산신제를 지냈던 당집 터 였다고 한다.
내려왔더니, 고인돌 공원이다.
금암리 지석묘군 제 6호로, 개석식으로 추정되면 모양은 장방형이다.
경기도 북부와 남부 지역의 탁자식 고인돌 중 특이한 형태의 것은 오산시 외삼미동 고인돌, 화성시 병점동 고인돌, 화성시 수기리 고인돌이다. 이들은 덮개돌이 들려 있지만, 전형적인 탁자식 고인돌이 아니라 굄돌을 옆으로 눕힌 변형된 형태이다. 특히 탁자식과 개석식이 섞여있는 오산시 외삼미동 고인돌은 매우 특이한 형태로 문화사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
금암리지석묘군 1호
오늘의 종착지인 은빛개울공원이다.
나가서 버스정류장에서 20-1, 46번 버스를 타면 오산대역까지 두 정거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