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주의 쪽 자료를 찾다가 발견 했습니다.
아프리카 식민지에 관한 내용입니다.
-----------------------------------------------------------------------
〈유럽인의 내항(15∼18세기)〉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에 내항한 최초의 유럽인은 1364∼65년의 프랑스인이었다는 설이 있으나 기니라는 지명이 유럽지도에 최초로 기재된 것은 1350년 무렵이었다. 사료(史料)에 의해서 확인된 최초의 항해자는 l434년에 북위 26 °의 바하도르곶(串)을 남하한 포르투갈인(人) 질에아네스이다.
교황(敎皇)이 포르투갈에 아프리카 서안의 영토권을 부여한다고 선언함으로써 포르투갈인은 항해를 계속하여 디오고캄이 71년 적도(赤道)에 도달했고, 82년에는 콩고강 하구를 발견했으며 88년 B.디아스가 희망봉을 발견했고 97년에는 바스코 다 가마가 희망봉을 우회해서 나탈에 도달하여 인도양 항로를 발견하였다. 1494년의 에스파냐.포르투갈 조약에서 에스파냐는 남북아메리카를, 포르투갈은 아프리카를 각각 독점적인 세력범위로 할 것을 결정하였다.
그러나 16세기의 30년대 이후 네덜란드.영국.프랑스.덴마크 등 여러 나라의 항해가가 잇달아 아프리카 서해안에 내항하여 무역기지를 개설하였다. 이 항해가들은 처음에는 모두 금을 찾아서 내항하였으나 선적(船積)할 가치가 있는 아프리카의 산물은 상아(象牙)와 노예밖에 없었다.
네덜란드는 아프리카 무역에는 힘을 기울이지 않고, 아시아 항로의 보급기지를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 밖의 나라 특히 영국은 남북아메리카와 아시아에서 유리한 식민지를 확보했기 때문에 남북아메리카의 부족한 노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노예무역을 세계적인 통상(通商)의 일환으로서 중요시하였다. 포르투갈은 기니.앙골라.모잠비크에서 노예무역과 그리스도교 포교를 하는 한편 해안에 영토를 가지고 있었으나, 그 밖의 나라는 1652년 네덜란드가 케이프식민지를 설치하였을 뿐 전혀 영토적인 야심을 갖지 않았다.
17세기 후반부터 성황을 이룬 노예무역 때문에 서아프리카 기니만 연안의 각지에 노예무역을 위한 성새(城塞)가 많이 구축되었으나 군인이나 무역업자가 성내(城內)에 체재하였을 뿐이고 유럽인은 성 밖으로 나가지도 않은 채 아프리카인에게 노예사냥을 시켰다. 유럽인에게 노예를 매매하면 생활할 수 있게 되자 아프리카인들은 노동을 해서 생산을 한다는 것은 염두에 두지 않고 부족 대 부족, 마을 대 마을이 서로 습격하면서 포로(捕虜)로 잡힌 사람을 유럽인에게 팔아 넘기는 생활을 되풀이하였다. 따라서 전통적인 문화를 지탱할 수 있는 생산은 할 수 없게 되고, 남아 있는 문화적 유산마저 불태우거나 파괴되어 버렸다. 아프리카인이 호전적(好戰的)이고 미개.야만적인 열등인종이라는 이미지는 19세기까지 계속된 노예무역의 효과로서 얻어진 것이다.
노예무역은 아프리카 대서양안의 전체뿐만 아니라 인도양까지 파급되었다. 인도양 연안이나 중앙 아프리카 및 서부 아프리카의 내륙에서는 아랍 노예상인에 의한 대규모 노예사냥이 자행되었다. 유럽인의 내항은 다시 유럽상품을 기니만 연안으로 가져오는 대신, 금이나 상아 등을 유럽으로 반출했기 때문에 서부 아프리카 내륙의 대상(隊商) 루트를 통한 거래에 치명적인 타격을 주었다. 상업에 의존해온 내륙의 부족은 새로운 생활을 찾아 기니만 연안에 영토를 확보하려고 하였기 때문에 그곳에서도 부족전쟁에 따른 파괴가 잇달았다.

〈탐험과 분할 경쟁 시대(1787∼1885)〉
미국의 독립, 프랑스혁명에 의해서 노예해방의 움직임이 나타났으며, 한편 그것은 노예의 공급원에 불과한 아프리카 대륙에 구미 자본주의 제국이 영토적 야심을 가지기 시작한 과정이기도 하였다.
노예해방과 함께 영국.프랑스.미국은 이 대륙 내부를 침략하기 위한 교두보(橋頭堡)를 만드는 데 부심하였으며 1787년 M.파크에 의한 나이저강 유역의 탐험을 시초로 내륙 탐방이 성행하기 시작하였다.
영국은 1787년 시에라리온에 해방노예를 이주시키고 아프리카인에 의한 자유의 나라를 건설하기로 하고 그 이듬해 런던에 ‘아프리카 협회(Africa Association)’를 설립하여 아프리카 내륙의 지리적.인문적인 조사연구를 준비하였다. 해방 노예의 이주지에 ‘프리타운(자유의 도시)’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1807년 노예무역이 금지된 이후에는 노예선에서 해방된 사람들의 정착지로 삼았다. 그러나 이러한 구상은 오래지 않아 포기되고 감비아.골드코스트(黃金海岸:지금의 가나) 등은 식민지를 만드는 전진기지가 되었다.
세네갈의 생루이를 전진기지로 삼고 있던 프랑스는 적도아프리카로 진출하기 위한 기지를 리브레빌(자유의 도시:1849)이라고 하였으나, 당시 프랑스는 노예무역을 포기하지 않았으며, 영토적 야심도 더 컸다.
미국의 이민 회사가 만든 라이베리아(자유의 나라:1821)만은 1847년 공화국으로서 독립하여 미국의 대(對)아프리카 정책의 기지가 되었다. 한편 북부 아프리카에서는 1798년 나폴레옹이 이집트를 원정하고, 이집트의 요청으로 군대를 파견한 영국이 1801년 카이로를 점령하는 사태를 빚었다. 그것은 영국이 북부 아프리카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다. 북부 아프리카에 대한 영국.미국.프랑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1830년 프랑스는 알제리를 침략하였다.
한편, 남부 아프리카에서는 나폴레옹 전쟁(1795∼1803) 때 영국이 네덜란드의 케이프 식민지를 점령하였다가 네덜란드에 되돌려 주었으나 1806년 영국은 아시아 항로(航路)의 보급기지로서 의의(意義)를 가진 케이프타운을 또다시 점령하였다. 이 결과 네덜란드계(系) 백인들은 노예를 해방(1834)한 영국의 지배를 벗어나 내륙으로 이주하는 결과를 빚었다.
서부 아프리카에서 내륙의 탐험은 망고파크에 뒤이어 1821∼22년 영국인 탐험대가 지중해를 거쳐 차드호(湖)에 도달하였고 이보다 앞서 18년 프랑스인들은 세네갈강 유역을 탐험하였다. 또한 50년 독일인 H.바르트는 지중해로부터 차드호, 나이저강 유역을 탐험하였다. 동부 아프리카에서는 48년 독일인 요하네스 레브만이 킬리만자로를 발견하였고, 50년대에는 영국인 리빙스턴, 60∼70년대에는 미국인 H.M.스탠리, 70∼80년대에는 프랑스인 P.S.de 브라자 등이 동부에서 콩고강 유역을 거쳐 남부 아프리카 등의 내륙을 탐험했다.
이와 같은 탐험과 병행하여 영국.프랑스.독일은 서부 아프리카에서 영국.독일은 동부 아프리카에서 식민지 확보에 전력을 다했다. 그러나 영국에서는 1850년 무렵부터 산업자본이 발전하여 자유무역론이 굳어졌기 때문에 식민지를 획득, 통치를 한다는 데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 때문에 서부 아프리카에서 영토를 획득하는 데는 프랑스가 우세하였으며, 리빙스턴이나 스탠리의 탐험 성과는 벨기에의 식민지 획득을 돕는 결과가 되었다. 영국.프랑스에 이어 뒤늦게 아프리카 분할 경쟁에 참가한 독일은 벨기에와 손을 잡고 식민지 점령의 실적을 올리면서 1884년 말부터 이듬해 초까지 당시의 구미열강 대표를 베를린으로 불러들여 콩고 분지를 중심으로 하는 아프리카 분할문제를 협의하고 ‘콩고분지조약’을 조인하였다. 이 조약은 대서양 연안에서 인도양 연안에 걸친 광대한 지역에 대해 식민지 보유의 원칙을 약속 결정하였다.
〈식민지 분할의 완료(1885∼1914)〉
콩고분지조약의 발효에 따라서 아프리카에 식민지를 가지고 있던 서구 제국은 대(對) 아프리카 정책에서 두 가지 경향을 명백히 하기 시작하였다. 첫째는 특허회사에 의한 경제적 이익의 추구였고, 둘째는 실질적인 식민지 지배를 확립하기 위하여 무력에 의한 분할의 촉진이었다.
콩고분지조약은 식민지주의국(植民地主義國)에 대해 경제적 이익의 독점을 금하고 기회균등과 문호개방의 원칙을 강요하였다. 이 제약을 벗어나 경제적 이익을 독점하기 위해서 1885∼1900년에 걸쳐 식민지주의 제국은 똑같이 특허회사를 설립하였다. 특허회사는 식민지 내에서 자원이 풍부한 지역에 대한 토지소유권.광업권.무역의 권리 등에 관한 독점적 권리를 부여받았을 뿐만 아니라 징세권(徵稅權)을 비롯하여 행정.사법.입법 및 경찰의 권리까지 보유하면서 이 권리를 배타적인 이윤을 추구하는 수단으로 삼았다.
영국의 특허회사는 산업자본가의 발언권이 강하고 자본주의적인 자원개발을 추진한 데 비해, 프랑스나 벨기에의 특허회사는 상업자본가나 봉건적 지배층의 의도에 따라 경영됨으로써 확대재생산을 꾀하는 방식을 취하지 않고 강제 노동이나 강제재배에 의한 약탈적인 착취를 일삼았다. 따라서 아프리카는 종래의 노예무역을 대신하여 원자재 등의 국제 상품과 서구 공업제품의 부등가교환(不等價交換)을 강요당하였다.
한편 콩고분지조약은 식민지 영유권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요건(要件)으로서 실질적인 점령과 지배상태를 명시할 것을 식민주의 국가에 요구하였다. 때문에 차드호(湖)를 목표로 한 영국.프랑스.독일의 군대 파견 전쟁이나, 수단을 점령하려는 영국.프랑스군의 충돌(파쇼다사건) 등의 분할경쟁이 진행되었다. 남부 아프리카의 네덜란드계(系) 보어인(지금의 아프리카너) 공화국 내에서 다이아몬드나 금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영국의 침략이 시작되고 1899∼1902년 사이에는 보어전쟁이 계속되었다. 또 앙골라와 모잠비크를 통합 지배하려 한 포르투갈, 남서 아프리카와 동부 아프리카(지금의 탄자니아)를 연결하려는 독일, 게다가 케이프타운에서 카이로까지 식민지를 연속시키려고 하는 영국 등이 대립하여 콩고 분지 이남의 내륙에서 분할경쟁을 벌였다. 북부 아프리카에서는 모로코를 둘러싼 분할경쟁이 1912년에 끝났으며, 리비아는 11년 이탈리아령으로, 이집트는 14년 영국보호령이 됨으로써 북아프리카를 지배해온 터키의 세력은 일소(一掃)되었다.
그리하여 제1차 세계대전 직전에는 아프리카 대륙은 에티오피아와 라이베리아라는 두 개의 형식적인 독립국을 남겼을 뿐 식민지 분할경쟁은 완전히 끝나고 식민지 대륙으로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