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가 헷갈리는 분들은 해설편 게시물들을 먼저 읽어보시고 본문을 읽어주시면 이해하기 편하실겁니다.
===============================================================================
찰갑의 기술계통 중 수결계통은 한반도-만주-연해주 지역 군복식 역사에서 서기3~19세기에 이르는 상당히 오랜기간동안 사용된 기술계통으로 특히 고대- 중세-근대에 이르는 모든 국가에서 사용되었습니다. 한반도-만주-연해주의 찰갑 유물 중 상대적으로 소수인 혁철식찰갑과 한나라계찰갑, 일부 포갑(스케일아머, 브리간딘을 모두 포함)을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의 찰갑이 이 수결계통에 속합니다.
현재까지 유물이 확인되는 종류 중, 만주와 한반도에서 가장먼저 확인되는 수결계통에 속하는 갑주는 3~4세기 무렵의 초기찰갑입니다. 그렇지만 국내 학계에서는 초기찰갑 이전의 수결계통 갑주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번 게시물에서 소개하는 갑찰 유물들은 이러한 만주-한반도-연해주의 수결계통 갑주들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어 소개하려고 합니다.(그러니까 떡밥입니다 -0-;;;;;;;;)
가.자임카-1(Заимка-1) 유적 출토 골제찰갑
초기철기시대 알타이지역의 파지릭문화(Пазырыкская культура) 유적인 자임카-1유적에서 출토된 뼈찰갑편입니다. 시대는 파지릭 문화의 중기~후기인 기원전 4~2세기 경으로 추정됩니다. 갑편의 길이는 약 7cm, 너비는 약3cm입니다.
해당 찰갑편은 두 종류로,
1) 일반적인 신갑을 이루는 갑찰로 추정되는, 수결공이 갑찰 중앙 위 아래로 하나씩 2개가 뚫려 있는 종류와.
2) 찰갑의 최하단부를 이루는 갑찰로 추정되는 수결공이 갑찰 중앙 가운데 부분에 하나만 뚫려 있는 종류가 있습니다.
(출처: B.B.고류노프, 1999)
그리고 이 찰갑편들을 바탕으로 제작기법을 추정한 제작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윗쪽 도면이 외부 아랫쪽 도면이 내부로 추정됩니다.

(출처: B.B.고류노프, 1999)
나. 이란 하산루(Hasanlu)에서 출토 청동갑편
또 다른 유물은, 이란 하산루(Hasanlu)에서 출토된 갑편 입니다.
하산루 유적은 카스피해 인근의
기원전 9세기경의 유물이라고 합니다.
크기는 2.49 x 7.59 cm, 재질은 청동입니다.
갑편 구조를 살펴보면, 볼 때에 네 모서리와 가운데 부분의 상하단 외연부에 투공이 확인됩니다.
1960년 펜실베니아주립대박물관(University Museum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의 로버트.H. 다이슨 2세(Robert H. Dyson Jr)가 발굴했고, 1961년에 뉴욕 메트로폴리탄박물관에 옮겨왔다고 합니다.
현재 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 소장중입니다.
(출처: 메트로폴리탄박물관)
한반도- 만주- 연해주 지역의 찰갑-찰갑편 유물에서는 확인 되지 않는 형식의 유물들이지만, 소찰수결기법을 쓰는 혹은 그럴 가능성이 있는 찰갑들 중 오래된 유형에 속하는 유물들이기 때문에 중요성이커서 별도의 게시물로 올려봅니다.
뽈체문화권(뽈체문화, 곤토령 문화)에서 해당 수결법이 적용 가능한 찰갑편 유물들이 발견되고 정황상 한반도에서도 사용됐을 가능성이 있어 수정합니다.(2013-06-18)
다음 게시물에서는 해당 유물 중 연접기법을 추정한 파지릭 문화의 자임카-1유적 출토 골제찰갑을 모형으로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ps. 고대 갑주류 유물들은 보면 볼수록 한반도- 만주 -연해주는 연나라(그러고 보면 연나라도 북방계 영향이 강했던 지역이네요-_-)나 한무제와의 전쟁 이전에는 중원지역보단 스텝지역과의 교류가 더 많았던 것 으로 보입니다.
ps.2 사용지역에 대한 내용을 수정합니다. (2013-06-18)
============================================================
참고 및 출처
B.B.고류노프, "초기철기시대 알타이의 갑옷", (바르나울, 알타이 주립대학교)
-원문: В.В. Горбунов, "ПАНЦИРИ РАННЕГО ЖЕЛЕЗНОГО ВЕКА НА АЛТАЕ "(Барнаул, Алта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원문링크(http://new.hist.asu.ru/skif/pub/skep/GORBYUNOV.HTML)
뉴욕메트로폴리탄 박물관 (http://www.metmuseum.org/Collections/search-the-collections/30003849#fullscre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