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진부산개발본부 Busan Development Headquarters |
目 次
|
Ⅰ. 기본현황 / 2 Ⅱ. 2007년 업무성과 /3 Ⅲ. 2008년 업무계획 /5 1. 민관협력사업 본격 추진 / 6 2. 도시균형발전 추진 / 16 3.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 / 17 4. 부산혁신도시 건설 / 19 |
Ⅰ. 기본현황
□ 조 직 : 1본부 1실 4팀
|
|
|
|
|
|
|
|
| |||||||||
|
|
|
선진부산개발본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투자개발 기 획 팀 |
|
투자유치실 |
|
관광단지 개 발 팀 |
|
시민공원 조 성 팀 |
|
혁신도시 건 설 팀 | |||||||||
(19명) |
|
(9명) |
|
(15명) |
|
(12명) |
|
(11명) |
․투자개발사업 기획 ․투자유치종합대책 ․관광단지개발전략 ․반환 공여지 인수 ․공공기관이전총괄
․도시균형발전 총괄 ․투자유치 활동 ․마케팅, 시설유치 ․공원조성, 주변개발 ․혁신도시건설
□ 인 력 (2008. 1. 1 현재)
구 분 |
계 |
3급 |
4급 |
5급 |
6급 |
7급 |
8급 |
기능 |
계약 |
정 원 |
66 |
1 |
5 |
12 |
19 |
19 |
3 |
5 |
2 |
현 원 |
70 |
1 |
5 |
12 |
17 |
26 |
2 |
5 |
2 |
과부족 |
4 |
- |
- |
- |
△2 |
7 |
△1 |
- |
- |
※ 휴직 2(해외, 신병치료), 파견 1(정보산업진흥원) 포함
□ 2008년도 예산 ▷ 총 10,267백만원
○ 투자개발기획팀 3,925백만원 ○ 투자유치실 1,529백만원
○ 관광단지개발팀 3,444백만원 ○ 시민공원조성팀 132백만원
○ 혁신도시건설팀 1,237백만원
Ⅱ. 2007년 업무성과
주요 시정현안과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선진부산개발본부의 발족으로 동부산관광단지 보상 및 투자자 유치, 시민공원 조성 및 주변지역 개발계획 수립, 혁신도시 조성계획 수립 완료, 민관협력사업 활성화, 도시균형발전기본계획 수립, 우수한 외국 연구기관 유치 등 성과 거양 |
□ 민관협력사업 추진
○ 해운대 관광리조트 개발 ▷ 민간사업자 선정 및 실시협약 체결(’07.12)
○ 교정시설 통합이전 추진 ▷ 통합이전 관련 양해각서 체결 (‘07.9)
○ 기장 프리미엄 아울렛몰 유치 ▷ 유치협의 완료(‘07.12)
○ 나비생태공원 조성 ▷ 실시협약(안) 검토(‘07.12)
○ 민관협력사업 추진 검토 ▷ 시청앞 복합단지 개발 등 5건
□ 도시균형발전 추진
○ 도시균형발전 기본계획수립 연구용역 준공(‘07.6)
- 도시균형발전의 중장기 목표 및 기본방향 정립
- 도시불균형 실태 분석, 사업 유형 설정 및 분야별 추진전략
- 도시균형발전 대상사업 선정 및 단계별 추진 로드맵 제시
○ 도시균형발전 기본계획 수립(‘07.12)
- 기본계획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도시균형발전 기본계획 수립
- 기본계획의 개요, 중장기 목표 및 기본방향, 대상사업 확정 등
□ 외국인 투자 및 기업유치
○ 외국인 투자 4억불 유치
○ 지사 외국인투자지역 조성 및 유치사업의 성공적 마무리
- SKF 등 12개사 유치/298천㎡/2.5억불/1,500명 고용
○ 세계적인 우수 R&D 기관 유치
- 센텀시티내 R&D 연구시설 단지인 『ADL Science Park』 조성 기반 마련
- 세계적 선박설계연구 및 기술인증기관인 『로이드선급 연구센터』 유치(‘07.9)
- 세계적 조선 해양 연구소인 『AVEVA社』의 센텀벤처타운內 입주(‘07.6)
※ INI-Graphics Net (’06.11 MOU)/ 프라운호퍼(’06.5), 롤스로이스(’06.9)는 부산대內 기 입주
○ 다국적기업 지역본부 유치 ▹ 미국 SPX DPF 아․태본부 (제마코플레어, ’07.4)
○ 그린화재와 공동 창투사 설립 및 투자펀드 조성 MOU 체결(‘07.7)
□ 혁신도시 건설
○ 기본구상 및 지구지정, 개발․실시계획 등 절차 이행
- 기본구상 완료, 공동주거지․동삼․문현․센텀혁신지구 지정(‘07.4.)
- 동삼․센텀지구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 승인(‘07. 12)
- 대연지구(공동주거지) 개발계획 승인 신청(’07.9.)
- 문현혁신지구 개발계획 승인 신청(‘07.12.)
○ 공공기관 추가 이전 및 현안사항 해결
- 신설『게임물등급위원회』부산이전 확정(‘07.4, 균형위)
- 영화진흥위원회 종합촬영소 입지협의(5개소 중 일광지구)
- 혁신도시관리위원회 구성 및 운영조례 공포(‘07.7.)
- 혁신비즈니스센터 구성(‘07.6.) 및 운영(6회)
- 동삼 진입도로 국비확보(397억원), 호안축조 해양수산부 사업으로 추진
- 이전기관 노조간담회 및 가족초청 체험행사 개최(‘06~’07, 7회)
Ⅲ. 2008년 업무계획
|
|
목 표 |
|
|
|
|
|
| |
민관협력사업 본격 추진으로 부산경제 중흥 선도 도시균형발전사업 지속 추진으로 지역간 격차 해소 고도기술 외국인 투자, 기업유치로 지역경제 파급효과 극대화 혁신도시 건설과 공공기관 이전의 차질 없는 추진 |
|
|
주요시책 |
|
|
|
|
|
| |
민관협력사업 적극추진 및 발굴 강화 ○ 추진중인 사업의 가시화, 신규사업 민간투자사업 발굴 강화 도시균형발전 사업의 가시적 추진체계 확립 ○ 도시균형발전 실행계획 수립 및 추진상황 관리 강화 고부가 투자유도 상품 개발 및 기업밀착형 마케팅 전개 ○ 외국인 투자 및 기업유치 전략 개별화, 다양화 혁신도시 지구별 행정절차 마무리, 건설사업 본격 추진 ○ 지구별 행정절차 완료 및 착공, 이전기관 의견 합리적 수용 |
민관협력사업 본격 추진
신규민간 투자사업 적극발굴
○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투자개발사업에 접목 ○ 민간 제안공모를 통해 사업 아이템과 투자자 확보 효과 거양 |
① 민간제안 공모 추진
□ 사업개요
○ 공모기간 : 2008. 3 ~ 5월중(60일 정도)
○ 공모대상 : 추진이 부진한 개발사업 및 신규사업 발굴
- 서구 꽃마을일원 개발, 부산시티타워 건립 등
※ 공모시 투자개발사업 아이디어 제안 병행 실시
○ 공모방법 : 일간지, 부산시보 및 시 홈페이지 게재
○ 제안심사 : 별도의 전문가 그룹으로 심사위 구성․심사
○ 추진절차 : 공모 ⇨ 제안접수 및 심사 ⇨ 채택(선정) ⇨ 정식제안 ⇨
타당성 및 적격성 조사 ⇨ 제3자 공모
□ 향후 추진계획
○ 2008. 3 : 제안공모(3~5월) ▷ 사업설명회 개최(3월)
○ 2008. 6 : 민간 아이디어 제안서 심사 및 채택(선정)
○ 2008. 9 : 정식 제안서 접수 ▷ 사업 타당성 및 적격성조사
○ 2008. 12 : 사업별 제3자 공모(공모기간 : 90일 이상) 추진
② 신규사업 발굴
□ 추진방안
○ 지역개발, 지역현안 해결 위주의 민간투자 가능사업 발굴
○ 민간제안 또는 민간투자 의향사업 적극 수용
○ 대기업, 대형건설사, 투자컨설팅사 등과 민간투자 대상사업
발굴 적극협의
□ 주요 검토대상 사업
○ 사상지역 환경개선 사업
○ 석대 매립지 활용 방안
○ 시역내 광장․지하 공간 개발 또는 리모델링
○ 지하상가 개발
○ 공유수면 매립을 통한 용지 확보
○ 기타 유휴 국․공유지를 활용한 지역현안 해결사업 등
교정시설 통합이전 추진
|
《사업개요》 |
|
|
| |
○ 추진방식 : 국유재산법에 의한 재산교환 방식 ○ 위 치 : 강서구 화전체육공원 토취장 일원 (개발제한구역) ○ 면 적 : 28만㎡ ▷ 구치소 15만㎡, 교도소 13만㎡ ○ 사 업 비 : 2,050억원 (추정), 사업기간 : 2007 ~ 2011년 |
□ 추진상황
○ 2007. 4 : 통합이전 협의 및 MOU 체결 (부산시↔법무부)
○ 2007. 9 : 한국토지공사와 사업시행에 대한 양해각서(MOU) 체결
○ 2007. 12 : 이전적지개발계획 용역(한국토지공사, ‘07.12 ~ ’09.6)
□ 문제점 및 대책
○ 기존부지 및 이전건축비 차액발생
⇨ 실시설계 후 비용과 규모 등 조정, 재산 교환시 정산
○ GB 행위허가시 대체녹지 확보 부담 우려
⇨ 공익사업에 따른 대체녹지 부담 면제 추진
○ 이전반대 민원대책(이전반대 주민대책위 구성)
⇨ 화전체육공원 조기 조성, 지역개발사업 시행, 타 지역
교정시설 추진사례 조사, 선진 교정시설 견학 등 협의 설득
□ 향후 추진계획
○ 2008. 2 :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수립 용역 발주
※ 별도 화전체육공원 조성계획수립 용역 발주(도시계획국)
○ 2008. 3 ~ : 도시기본계획․GB관리계획 변경절차 이행
○ 2008. 10 : 한국토지공사와 실시협약 체결 추진
※ 2009 : 기본․실시계획 인가 및 공사착공 (2011년 준공)
해운대 관광리조트 개발
|
《사업개요》 |
|
|
| |
○ 개발방식 : 도시개발법에 의한 도시개발사업 ○ 개발방향 : 해운대 관광특구에 걸 맞는 4계절 관광리조트 건설 ※ 부지조성은 도시공사, 상부시설은 민간자본 ○ 위 치 : 해운대구 중동 극동호텔 옆 (5만㎡) ○ 사 업 비 : 1조 5천억원(사업기간 2006 ~ 2013년) |
□ 추진상황
○ 2006. 11 : 도시개발구역 지정 (부산시)
○ 2007. 6 : 민간사업자 공모 (도시공사)
○ 2007. 11 : 민간사업자 선정 ▷ 청안건설(주관사) 컨소시엄
- 컨소시엄 : 현대, 롯데건설, 한진중공업 등 13개사(시공사), 한국산업은행,
하나, 부산은행 등 6개사(재무), 청안건설 등 3개사(시행사)
○ 2007. 12 : 협약 체결(도시공사 ⇔ 청안컨소시엄)
□ 시설내용
○ 시설규모 : 지하5층 지상117층(L-85층, R-117층), 연면적 584,911㎡
○ 용 도 : 숙박, 문화, 상업, 레져 복합시설
- 레 져 복 합 : 워터파크, 해양동물쇼장, 온천스파 ․ 테라피, 4D체험관
- 숙박․문화등 : 호텔(459실), 콘도(841실), 컨벤션, 멀티플랙스, 부티크 스퀘어 등
□ 향후 추진계획
○ 2008 상반기 : 잔여부지(20천㎡)보상완료 및 교통영향평가 실시
○ 2008 하반기 : 실시계획(지구단위계획 포함) 인가
기장 프리미엄 아울렛몰 유치
|
《사업개요》 |
|
|
| |
○ 유치방식 : 장안택지개발예정지구(토공)내 포함, 외투법 적용 ○ 위 치: 기장군 장안읍 좌동리 일원 ○ 사업규모 : 16만㎡, 프리미엄 아울렛몰 ○ 사 업 비 : 1,000억원(민자) ○ 사업기간 : 2007 ~ 2010년 |
□ 추진상황
○ 2006. 12 : 사업제안서 제출(신세계첼시 → 부산시)
○ 2007. 3 : 부지공급 방법, 사업규모 등 협의
○ 2007. 4 : MOU체결 연기 요청 (여주 아울렛 몰 영업실적 분석 후 결정)
○ 2007. 6 : 사업시행자 변경 (도공 → 토공)
○ 2007. 12 : 실무협의 완료
▷ 부지공급 : 토지공사 ⇒ 부산시 ⇒ 신세계첼시(수의계약)
▷ 공급가격 : 원형지 실보상 금액(토지 등 보상비, 직접인건비)
□ 향후 추진계획
○ ‘08. 2 : MOU 체결(부산시, 토지공사, 신세계첼시)
○ ‘08. 10 : 택지개발사업 실시계획 승인(부산시 → 한국토지공사)
○ ‘09. 3 : 부지공급(한국토지공사 →신세계첼시) 및 착공
○ ‘10. 7 : 사업 준공 및 개장
나비 생태공원 조성
|
《사업개요》 |
|
|
| |
○ 조성방식 : 도시계획사업에 의한 민간투자 방식(BTO) ○ 위 치 : 기장군 일광면 산5번지 일원(월드컵 빌리지내) 196천㎡ ○ 계획시설 : 실내외 전시체험관, 유희․레저시설 ▪ 나비․조류․희귀곤충․식물생태관, 곤충로봇관, 에코갤러리, 생태영화관 등 ▪ 체험농장, 야외 꽃전시장, 열기구 전망대, 생태못, 나무․IT미로관 등 ○ 추진주체 : 버터플라이랜드 부산(삼성중공업, 우리은행 컨소시엄) ○ 사 업 비 : 976억원 (민자), 사업기간 : 2007 ~ 2010년 |
□ 추진상황
○ 2006. 2 : 부산유치 MOU체결 (부산시 ↔ 버터플라이랜드사)
○ 2007. 5 : 투융자 심사 승인 (행정자치부)
○ 2007. 6 : 사업계획서 제출 (버터플라이 랜드사 → 기장군)
○ 2007. 8 : 민간제안 타당성 용역 시행 (KID)
○ 2007.10 : 도시계획사업 등 행정절차 이행 ► 사업운영시까지
▪ 환경영향평가 초안 협의, 유원지 세부시설 결정 신청
▪ 실시협약체결을 위한 협상안 작성 및 협상단 구성
▪ 토지보상(180필지) ▹ 2008. 상반기중 보상 완료(현 35%)
○ 2007.12 : 부산광역시 도시공원위원회 심의 ► 일광유원지 시설결정
▷ ’08.1월중 현장확인 및 자문회의 후 최종결정
□ 향후 추진계획
○ ‘08. 01 : 실시협약서 작성 및 검토(총사업비, 사업추진방식, 사용기간 등)
○ ‘08.02 : 실시협약체결, 민간투자법인(SPC) 설립, 유원지 세부시설 결정 고시
○ ‘08. 03 ~ ’08. 07 : 실시계획 인가 및 토지 수용
○ ‘08. 07 ~ ‘10. 02 : 공사착공 및 준공(운영개시)
검토중인 민관협력사업
① 금련산 청소년수련원 리모델링
|
《기본현황》 |
|
|
| |
○ 위 치 : 수영구 광안동 산60-3번지 일원 ○ 면 적 : 81,503㎡ ▷ 유원지, 청소년수련시설 ○ 주요시설 : 관리동, 생활관, 대강당, 야외무대, 편의시설 등 ○ 사용인원 : 최근 5년간 연평균 222천명 ▷ 최근 감소 추세 |
□ 사업구상
- 수련원 기능과 휴식․레저를 겸한 시설로 개발
○ 사업기간 : 2008~2010년(3년간)
○ 사업내용 : 기존시설 리모델링, 제2생활관 건립, 천문우주과학관 건립
○ 추진주체 : 민간투자자
□ 추진전략
○ 입지적 장점을 적극 활용하여 민간투자를 유치하되,
도시계획시설사업과 민투법 방식 준용으로 사업 시행
- 민간주도로 신축 또는 리모델링 후 일정기간 운영권 부여(BTO, BOT)
※ 청소년활동진흥법상 “청소년 유해시설” 이외의 모든 시설 유치 가능
□ 추진일정
○ ‘08. 2 : 민자 공모
- 민자공모결과에 따라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 타당성 조사 등
② 용두산공원 종합개발
|
《기본현황》 |
|
|
| |
○ 위 치 : 중구 광복동, 대청동, 동광동 일원 ○ 면 적 : 69,119㎡ ▷근린공원(국ㆍ공유지 98%, 사유지 2%) ○ 주요시설 : 부산타워(높이 120m), 팔각정, 전시관, 종각, 동상, 휴게광장, 편의시설 등 ○ 이 용 객 : 연 247만명(2006년도) ※ 외국인 31만명 |
□ 필요성
○볼거리 부족 및 공원시설 노후화 등으로 부산을 대표하는
도심공원으로서 위상 저하, 이용객 불편
○상징성과 역사성을 가지되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관광 집객시설 도입 필요
□ 추진전략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굴을 위해 신청에 제한을 두지 않는 자유제안 공모 추진(리모델링, 기존시설 철거후 신규시설 도입 등)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 적용
- 민간투자자가 시설물을 건립, 기부채납 후 일정기간 사용 수익
□ 추진일정
○ ‘08. 2 : 민자 공모여부 결정 추진
- 민자공모시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 타당성 조사
③ 시청앞 복합단지 개발
|
《사업개요》 |
|
|
| |
○ 위 치 : 연제구 연산2동 시청앞 일원 ○ 면 적 : 총 4.4만㎡ ․시청사 맞은편 국․공유지 19,450㎡ (나대지 17,500㎡, 공원 1,950㎡) ․중앙로변 상업지역 10,600㎡ (슬럼화 상가, 민가 30여동) ․연산1지구 도시환경개선사업 13,600㎡ ○ 개발방식 : 도시개발법에 의한 민간주도의 도시개발사업 ○ 개발방향 : 문화, 쇼핑, 업무, 주거, 공원 등 복합단지 개발 ○ 사업기간 : 2008 ~ 2012년 |
□ 추진상황
○ 2007. 5 : 시청앞 복합단지 개발구상 보고
○ 2007. 6 : 투자유치 설명 (국내 10개 대형건설사)
○ 2007. 9 : 개발계획 검토 (민간건설사)
□ 현안과제
○ 개발대상지 일부에 기 추진 중인 연산1구역 도시환경개선 사업지가 포함되어 사업시행자간 합의 필요
○ 부동산 경기침체, 용지비 과다소요, 분양가 상한제 시행 등의
투자여건 고려, 최선의 개발방안 강구
□ 향후 추진계획
○ 민간제안 사업으로 추진
- 도시개발계획 수립, 도시개발구역 지정, 실시계획 인가 등
④ 서구 꽃마을일원 개발
|
《기본현황》 |
|
|
| |
○ 위 치 : 서구 서대신동 3가 산 67번지 일원 ○ 면 적 : 896천㎡(27.1만평) ▷ 국공유지 489천㎡, 사유지 407천㎡ ○ 도시계획 : 자연녹지지역 |
□ 개발방향
○ 전원적 환경특성과 조화되는 문화․휴양 등 고품격 공간 개발
○ 지역여건 및 시설을 고려한 공간구성으로 시너지효과 극대화
□ 사업구상
○ 사업기간 : 2008 ~ 2012년(5년간)
○ 사업내용 : 휴양․레저시설, 노령화 대비시설, 문화․체육시설 등
○ 추진주체 : 민간투자자
□ 추진전략
○ 도심지 자연환경 훼손 최소화를 위해 친환경적 개발을 유도하되, 지역경제 유발효과가 큰 복합단지(시설) 건립
○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굴을 위해 자유제안 공모를 추진하되,
선정된 제안에 대해서는 협의에 의해 개발방식 등 결정
□ 추진일정
○ ‘08. 3 : 민간 아이디어 공모
○ ‘08. 6 : 민간 아이디어 제안서 심사 및 선정
○ ‘08. 9 : 정식제안 및 타당성 조사
도시균형발전 추진
|
〈도시균형발전기본계획 개요〉 |
|
|
| |
○ 기 간 : 2007년 ~ 2020년 ▷ 제1단계(’07~’10), 제2단계(’11~’15), 제3단계(’16~’20) ○ 도시균형발전 사업 : 114개(생활기반시설정비 80, 도시재창조사업 34) ▷ 서부산권 48개(42%), 원도심권 35개(31%), 기타권역 31개(27%) ○ 사업비 : 18조 3천억원(시비 2.7, 민자 11) ※ 기투자 1조9천억원 제외 ※ 도시 불균형 해소 차원에서 서부산권, 원도심권 사업 우선 선정 |
□ 추진상황
○ ’07. 6 : 도시균형발전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 준공
○ ’07. 11 : 도시균형발전 대상사업 내용 등 검토, 정비
○ ’07. 12 : 도시균형발전기본계획 수립․공고, 설명회 개최
□ 도시균형발전 실행계획 수립
○ 기본계획의 차질 없는 추진을 위한 방향 제시
○ 단위사업별 세부실행계획 수립
▷ 1단계(’07~’10) 기간중 공종별 추진계획, 소요재원 확보 등
○ 실행 로드맵에 의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
□ 향후 추진계획
○ 사전 행정절차 이행 ▷ 중기재정계획 반영, 투자심사, 타당성 조사 등
○ 대상사업 추진상황 모니터링 실시 ▷ 4, 8, 12月
○ 사업추진 소요재원 적기확보 추진 ▷ 국비 적극 확보, 시비 우선 배분 등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
|
《추진방향》 |
|
|
| |
○ ’08년 외자유치 목표 : 4억불 (※민선4기 목표 20억불) ○ 투자상품 적극개발 국내 대기업 및 투자펀드와 연계한 외자유치 추진 - R&D, 항만, 물류, 다국적기업 본부 등 고부가가치 산업에 중점 ○ 외국인투자지역 추가 지정 등 외국인투자유치 기반 조성 |
□ 전략적 외국인투자 유치
○ 국내외 투자유도 상품 개발
- 동부산관광단지 등 관광분야의 투자유치 확대 방안 강구
- 신항 배후물류단지를 활용하여 다국적 물류기업 유치 지원
- 화전지구내 외국인투자지역 예정지를 대상으로 사전 마케팅 추진
․자동차부품, 기계산업을 유치하여 관련분야 클러스터 추진
- 영상․영화, 박물관, 미술관 등 문화 컨텐츠 개발로 해외 투자자 모집
○ 국내(대)기업 및 투자펀드와 연계한 외자유치 추진
- 국내 대기업 접촉을 통한 해외 거래선 파악으로 합작투자 유도
- 투자펀드의 전문적 투자심사능력과 네트워킹을 적극 활용
□ 효율적․적극적 해외 마케팅 전개
○ 국가별 산업특성을 감안하여 마케팅 계획수립 추진
- 일본지역(기계부품·소재,물류산업), 유럽지역(연구소, 기계부품, 물류산업),
미주지역(기계부품, 동부산 개발 등), 홍콩․싱가포르(물류, 관광산업)
○ 유관기관과 적극 협력하여 시너지 효과 거양
- KOTRA, 경제자유구역청과 공동 투자설명회, 국내외 경제행사 활용
○ 고부가 서비스 산업 분야인 비즈니스 호텔, 연구소 등 중점
□ 외국인 투자지역 신규지정 추진
○ 지사 외투지역 임대 완료(’07.8)에 따라 추가 확보 추진
- 화전(135,538㎡ ‘07.12 산자부 지정신청) 및 미음 지구내 추가 확보 추진
○「사전마케팅」으로 화전지구 준공(‘09.12)前 입주 추진
- 화전지구 외투지역을 대상으로 구역청․산자부․KOTRA와
공동마케팅 추진하여 투자 의향기업 발굴 및 유치
□ 외국인 투자환경 조성
○ 외국인 경영․생활환경 개선과제 지속 발굴하여 중앙 건의
- 각종 보조금 지원 및 교육, 주거, 의료, 교통분야 등 개선 강구
○ ‘06년에 지정된「외국인투자 지원 네트워크」의 적극 활용
- 법률, 세무 등 기 지정된 12개 분야 40명을 활용하여 기업경영 및
생활상의 애로사항 해결 지원
○ 부산진출 유력투자가의 방문시에 적극적 안내 및 지원
|
《주한 외국기업 초청 투자설명회 개최》 |
|
|
| |
◇ 시기․장소 : ’08. 7월 / 서울 또는 부산 ◇ 대 상 : 주한 외국기업 CEO, 외국사절단, 상공인 등 300여명 ◇ 내 용 : 부산의 투자여건(강점) 홍보, 대규모 투자유치 상담 등 ◇ 효 과 : 첨단산업물류도시 개발과 연계한 남부경제권 활성화를 위한 투자유치 거점화 극대화 |
부산혁신도시 건설
혁신지구별 추진계획
□ 동삼혁신지구
○ 규 모 : 영도구 동삼동 616천㎡(이전기관 4 + 유관기관 7) 이전기관(4) : 한국해양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국립해양조사원, 국립수산물품질검사원 유관기관(7) : 해양대, 크루즈터미널, 해양수산연수원, 부산해양경찰서, 해사고등학교,해양환경기술센터,해양박물관 등 |
○ 부지조성 사업비 분담협약 추진(‘08. 1 ~ 2월)
- 사업분담금 : 220억원(도시공사 ↔ 입주기관)
○ 동삼지구 기반시설 착공 추진(‘08. 2 ~ )
- 연약지반 안정화 및 진입도로 착공(‘07.12 국비 8억원 배정)
- 호안공사 축조 : 해양수산부 항만사업으로 추진(용역설계 중)
□ 문현혁신지구
○ 규 모 : 남구 문현동 113천㎡(이전기관 6 + 유관기관 5) 이전기관(6) :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증권예탁결제원, 대한주택보증(주), 한국남부발전(주), 한국청소년상담원 유관기관(5) : 한국증권선물거래소, 농협부산지역본부, 부산은행, 기술보증기금, 새마을금고 부산지부 |
○ 통합개발 추진을 위한 이전기관 MOU체결(‘08. 2 ~ 3월)
- 절차 : 민간사업자 공모 ⇨ SPC 설립 ⇨ 건축설계 ⇨ 건축 등
○ 개발계획 승인 및 실시계획 추진(‘08. 2 ~ 5월)
- 통합개발(안) 개발계획 반영⇨기관협의⇨승인⇨실시계획추진
□ 센텀혁신지구
○ 규 모 : 해운대구 센텀시티 내 61천㎡(이전기관3+유관기관3) 이전기관(3) : 영화진흥위원회, 영상물등급위원회, 게임물등급위원회 유관기관(3) : 영상센터, 영화후반작업기지, 문화콘텐츠 콤플렉스 |
○ 영화종합촬영소 부산이전 추진(‘08년 상반기)
- 일광지역 달음산부지 확정 추진 및 조성방식 등 적극 협조
○ 이전기관 사옥 조기건립 협의(‘08. 2 ~ 6월)
- 영화진흥위원회 주관 통합사옥 건립협의
⇨ 2개 기관 임대입주 방안 검토 등
□ 공동주거지(대연지구)
○ 규 모 : 남구 대연동 169천㎡, 13개 기관, 2,500세대 |
○ 적정규모의 실질수요 파악으로 건설계획 마련(‘08. 3월 ~ )
- 이전기관 수요조사 및 적정규모 설계, 최적의 주거공간 건설
○ 부지매매계약 체결(도시공사 ↔ 군수사) 및 분양가 인하방안 강구
- ‘08년 1 ~ 3월, 매매계약 체결 ⇨ 분할납부 추진
- 각종 건축요인분석 및 효율적 설계, 기반시설 비용부담 억제
○ 지구 내 초등학교 위치 선정 및 개발계획 승인추진(‘08. 2)
- 관계기관(부산시, 교육청, 부산도시공사) 적극 협의로 개발계획 반영
기타 추진사항
□ 혁신도시(동삼지구) 기공식 추진
○ 일 정 : 2008. 2월말 ~ 3월초, 동삼혁신지구 내(500명)
○ 참 석 : 장관, 균형위원장, 국회의원, 이전기관, 상공계, 학계등
○ 내 용 : 식전후행사, 경과보고⇨환영․축사⇨영상 ⇨발파 ⇨종료
□ 이전지원계획 수립
○ 재정지원 분야
- 학교용지비, 이주 정착비, 자녀장학금 지원 등
○ 기타지원 분야
- 세제감면(취․등록세, 재산세), 인․허가 전담조직 등
○ 계획확정 : 2008. 2 ~ 3월중(이전기관 협의)
□ 지역혁신비지니스센터 사업 활성화
○ 주요사업 : 혁신도시와 연계한 지역발전 연구용역 추진
- 공공기관 이전과 연계한 산․학․연 클러스터 구축방안
- 혁신도시 건설과 지역산업 연계발전 및 협력방안
○ 과업기간 : ‘08.2 ~ (1년간), 사업비 각 1억5천만원(국․시비)
○ 활용방안 : 바람직한 지방이전을 연계한 실천과제 확정
□ 이전기관 지역공감대 형성 프로그램 운영
○ 목 적 : 이전 공공기관 가족의 부산실상 체험으로 지역공감대
형성과 지방이전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 해소
○ 초청규모 : 50가족 200명(2 ~ 3회)
○ 주요내용 : 명소관람, 해양체험, 주요기관 탐방, 현장확인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