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전북대윤리교육과를사랑하는사람들
 
 
 
카페 게시글
[민족과역사] 발표자료 신간회는 어떻게 해소되었는가? <15장 민족운동의 발전>
13양종원 추천 0 조회 531 13.11.27 19:08 댓글 3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첨부된 파일
댓글
  • 13.11.28 13:16

    첫댓글 * 양종원 : 아무리 곰곰히 생각해보아도 주제를 다시 잡는 것이 좋겠습니다. 주제가 새내기들이 감당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보다 중요한 주제도 없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는 종원이가 제시한 공동 삶의 원리에 구체성과 실제성이 결여된 것에서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 작성자 13.11.28 17:05

    <사회주의 사상의 보급>이라는 주제는 15장에서 다루는 민족 운동의 큰 갈래인 학생운동과 신간회를 모두 다루기 위해 잡은 주제였습니다. 두 갈래의 운동을 어울러서 설명하기 위해 사회주의 사상을 그 연결고리로 하여 주제를 선정하여 보았습니다. 이번 발표 주제는 사회주의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것이 아니고 기존의 시선과는 다른 시선으로 민족 운동을 바라보기 위해 잡은 것으로 이러한 내용들은 충분히 토론해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어 주제로 잡아보았습니다.

  • 작성자 13.11.28 17:05

    이번 발표에서 사실상 다루는 주제는 학생 운동과 신간회이고 바라보는 시선을 사회주의자들의 입장으로 다루어보고자 하였습니다. 하지만 수정이 불가피하다고 느끼신다면 주제를 수정하겠습니다.

  • 13.11.28 17:06

    * 양종원 : 다시 생각하도록 하세요. 그렇게 단순한 주제가 아니니까요.

  • 작성자 13.11.28 17:41

    수정하였습니다.

  • 13.11.28 17:59

    * 양종원 : 주제를 좁히고 구체적 사실로 제한한 것은 바람직합니다만, 제목을 좀더 다듬었으면 더욱 좋겠습니다.

  • 작성자 13.11.28 20:12

    제목을 다듬어 보았습니다.

  • 13.11.28 20:49

    * 양종원 : '신간회는 어떻게 해소되었는가?'라는 제목은 구체적이고 제한적이어서 좋습니다만, 내용 구성과 제시한 삶의 원리가 제목에 못미쳐 아쉽습니다. 1) 제목를 다듬어 보았습니다. ->>

  • 작성자 13.11.28 20:35

    수정하였습니다.

  • 13.11.28 21:47

    <발표 팁> [민족과역사] 발표에서는 주제로 잡은 역사적 사실의 의의나 의미를 먼저 다루는 것이 바람직한 순서입니다.

  • 13.11.28 19:33

    * 양종원 : '신간회는 어떻게 활동하였는가'라는 제목으로는 공동삶의 원리를 명료히 드러내기 어렵겠습니다. 좀 더 생각하기 바랍니다.

  • 13.11.30 10:47

    종원 학우는 신간회의 해소를 통해 무엇인가 이야기를 하려 한 것 같았으나 그것이 잘 전달되지 못 해 아쉬운 발표였습니다. 신간회는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들이 통합하여 만들었습니다. 혁명가 집단이고 타협을 하지 않는 사회주의자들이 타협을 시도했다는 것은 얼마나 그 시대가 힘들고 어려운 시대였는지를 또 얼마나 독립에 대해 간절한 지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그 타협에 신중하지 못 했습니다. 이데올로기 차이와 격차를 이해하고 해소했어야 했습니다. 그렇지 못하고 성급하게 타협했기 때문에 결국 신간회는 더 이어가지 못 하고 해소되었습니다. 사람의 관계도 마찬가지입니다.

  • 13.11.29 16:53

    연애나 결혼을 힐 때는 남녀의 차이를 인식하고 그 차이를 줄여나가는 이해심이 필요합니다.

  • 13.11.29 18:46

    * 김시목 : 쓴 글, 다시 퇴고하세요.

  • 13.11.30 10:47

    수정했습니다.

  • 13.12.01 00:19

    정치적 이념이 다른 좌우의 합작이라는 점에서 신간회는 큰 의의를 갖는다. 하지만 신간회는 조국의 해방이라는 큰 목표에 다가가지 못하고 해소되는 결과를 맞게 된다. 신간회의 해소에는 여러 원인이 있지만 서로 이념의 차이를 넘어선 완전한 화합에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세상을 살아가다 보면 나와 비슷한 사람들보다 나와 다른 사람들과 어울려야 하는 경우가 많다. '학교생활', '직장생활', '조 모임 활동' 등 다양한 사람이 함께 하는 단체가 목표를 이루려면 서로가 조금씩 양보하고 맞춰나가야 한다.

  • 13.12.01 00:21

    우리 민족 최초의 좌우합작 단체였던 신간회는 해소되었지만, 역사 속에서 신간회 해소의 원인을 파악하고, 민족이 화합한다면 우리 역사에 또 다른 신간회가 등장할 수 있다고 믿는다.

  • 13.11.29 18:49

    * 윤연승 : 댓글에 매듭이 지어지지 않았습니다. 보완하세요.

  • 13.12.01 00:21

    수정했습니다.

  • 13.11.29 17:17

    종원 학우가 발표 주제를 정하는 과정까지 많은 시행착오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무사히 발표를 마쳤다는 것에 수고의 박수를 보내드립니다. 신간회를 통해 당시 처했던 현실이 얼마나 힘들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유아독존의 공산주의가 민족주의와 합작을 할 만큼 당시의 현실은 너무나 어두웠고 괴로웠을 것입니다. 그러한 현실을 바꾸려는 신간회라는 노력이 발전적인 해체로 끝난 것이 아쉽습니다. 만약 신간회가 계몽단계에서 해체되지 않고 더욱 직접적인 활동을 했다면 획기적인 역사로 남을 수 있었을 것입니다. 끝까지 살아 남아야 했던 신간회가 해소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공산주의자들과 민족주의자들이

  • 13.11.29 21:42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각자의 가치만을 추구했기 때문입니다. 서로의 입장을 인정하고 한발씩 양보했다면 신간회는 그렇게 쉽게 해소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또 하나의 다른 이유는 서로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는 여유가 부족했습니다. 급하게 서두르는 것이 아니라 차근한 과정을 밟았다면 신간회는 아쉬운 역사로 남지 않았을 것입니다. 이렇듯 우리도 삶을 살아갈 때에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차이를 인정하며 살아야 합니다. 또한 서두르지 않는 여유를 가진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 13.11.29 18:53

    * 하승연 : 1) 끝까지 살아 남아야 했던 신간회가 해소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공산주의자들과 민족주의자들이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각자의 가치만을 추구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 문장을 좀 더 다듬으세요.

  • 13.11.29 21:43

    수정하였습니다.

  • 13.11.30 00:39

    일제강점기 때 좌우가 합쳐져 서로의 부족한 점을 채울 수 있는 조직을 만들어 독립운동을 생각했다는 것 자체도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민족해방이라는 더 큰 가치에 집중하고 같이 힘썼다면 독립은 생각보다 빨리 왔을 것입니다. 추구하는 가치가 다르고, 또는 추구하는 가치는 같지만 이루는 방법이 다른 것을 서로 이해하지 못하고 자기 것만이 옳다고 믿는 것은 갈등을 가져왔습니다. 그리고 그 갈등은 더 큰 가치를 보지 못하게 하고 해체되게 만들었습니다. 저는 이런 사실을 보면서 큰 뜻을 이루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포기와 배려,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되었습니다.

  • 13.11.30 13:12

    이번 수업은 한국의 공산주의 운동에 대해 살짝 엿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신간회의 결성 대한 교수님의 말씀을 듣기 전까지는 신간회가 단순히 비타협적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동등한 결합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신간회는 과거와 완전한 결별을 꾀하는 혁명가들이라고 할 수 있는 공산주의자들의 뛰어난 조직력과 리더십을 통해 유지되었습니다. 이는 신간회가 해체될 때 민족주의자들이 사회주의자들 없이 자신들만의 조직을 만들어 신간회를 이어갈 수 있었음에도 그렇지 못한 것을 보고도 알 수 있습니다.

  • 13.11.30 13:12

    사회주의자들의 능력의 부재가 곧 조직의 해체를 의미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신간회의 결성에서 당시 사회주의자들의 한계가 드러납니다. 그들은 혁명을 빨리 이룩하기 위해 합작이라는 쉬운 길을 택했지만, 그 결과가 좋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거사를 이루기 위해서는 주체성을 가지고 서두르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 13.11.30 14:34

    사실 신간회는 민족운동을 이야기할 때 빠져서는 안 될 것으로 우리의 역사에 아주 중요합니다. 하지만 신간회의 해소에 관해서는 책에 잘 다뤄지지 않은 게 사실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종원 학우의 발표 주제는 아주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책에 잘 다뤄지지 않았던 사실을 우리에게 전달해 줌으로써 이에 관해 한 번 더 생각해보게 되고 또한 공동 삶의 원리를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발표의 공동 삶의 원리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주체성을 가지자'라는 삶의 원리는 저에게 큰 공감을 불러일으키지 못 했습니다. 하지만 '집중'이라는 삶의 원리는 집중하지 못 했던 저의 지난 삶을 되돌아 볼 수 있게 해준 좋은 원리였습니

  • 13.12.01 11:48

    다. 그리고 신간회가 모든 것을 '집중'하였다면 우리의 역사는 또 어떻게 변했을지 생각하게 만든 좋은 발표였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장이 '민족운동'인 만큼 종원 학우가 '협동'이나 '화합'에 대하여 다뤘다면 좀 더 좋은 발표가 되었을 거 같습니다. 왜냐하면 민족운동에 관한 이야기를 꺼낼 때는 '협동'과 '화합'이 중심이 되기 때문입니다. '협동'과 '화합'에 대해 다뤘으면 좀 더 공감할 수 있는 발표가 될 수 있었을 텐데 아쉽습니다.

  • 13.11.30 15:35

    신간회는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줍니다. 그중에서도 사람간의 관계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의 교훈을 줍니다. 관계를 시작하고 나서 또한 중요한 것이 어떻게 관계를 유지하는 가입니다. 관계를 잘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간회의 구성원인 민족주의자와 공산주의자들은 서로의 이념을 이해하지 못하고 결국은 해체되고 말았습니다. 사람사이의 관계도 이와 같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서로의 사상을 이해하고 협동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3.11.30 15:54

    고등학교 때 배운 신간회는 우리나라 독립을 위해 이데올로기를 극복한 단체이었습니다. 그래서 해소와 해체를 구별하여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공산주의에 입장에서 보면 해소이고 민족주의의 입장에서 보면 해체라는 사실도 강의시간을 통해 알았습니다. 비슷한 단어라도 큰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민족주의는 민족의 해방을 목적으로 잡았고, 공산주의는 민족의 해방을 넘어서 혁명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이렇게 서로 다른 목표를 가지고 있었지만, 두 눈앞에 처한 우리 민족의 앞날을 위해 조직을 결성하였습니다.

  • 13.11.30 15:57

    이 시간 전에 신간회를 생각할 때, 우리 민족의 독립을 위해서 합친 조직이라면 끝까지 갔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코민테른이라던지 공산주의의 자세한 생각을 알고 나니 저의 생각도 달라졌습니다. 이데올로기처럼 신중한 생각으로 다뤄야 할 부분이 바로 사람 관계라고 생각합니다. 섣불리 판단하지 말고 천천히 서로를 알아가고 느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 13.12.04 01:08

    3.1운동이 진압된 이후에도 계속 되어 물산장려운동, 6.10 만세운동 등 민족독립운동이 일어나게 됩니다. 왜 3.1운동에 많은 친구와 부모님과 친척들을 잃었는데도 불구하고 민족독립운동이 끊이지 않았을까요? 또 다시 민족운동이 일어나게 되면 소중한 사람들을 잃게 될 텐데 말입니다. 목숨을 잃어가면서까지 지키고 싶어했던 것은 무엇일까요? 그건 바로 우리들의 '미래'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이 시대는 비록 나라를 빼앗겼지만 우리 아이들 세대에는 우리들의 나라를 안겨주기 위해 민족운동이 끊임없이 일어났습니다. 현재가 비록 잘못 된 길로 간다 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바른 길로 가려는 의지와 노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