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자별 맞춤형 제품 수요 증가로 새로운 성장 전환점 찾아 -
- 가격보다 고급 브랜드화로 경쟁력 확보 필요 -
자료원 : Sohu
□ 상품 기본정보
HS코드 | 품목명 |
9401 | 의자(침대로 겸용할 수 있는지에 상관없으며 제9402호의 것은 제외한다)와 그 부분품 Seats (other than those of heading 94.02), whether or not convertible into beds, and parts thereof. |
9403 | 그 밖의 가구와 그 부분품 Other furniture and parts thereof. |
9404 | 매트리스 서포트(mattress support), 침구와 이와 유사한 물품[예: 매트리스·이불·우모이불·쿠션·푸프(pouff)·베개]으로서 스프링을 부착한 것이나 각종 재료를 채우거나 내부에 끼워 넣은 것이나 셀룰러 고무나 플라스틱으로만든 것(피복하였는지에 상관없다) Mattress supports; articles of bedding and similar furnishing (for example, mattresses, quilts, eiderdowns, cushions, pouffes and pillows) fitted with springs or stuffed or internally fitted with any material or of cellular rubber or plastics, whether or not covered. |
9405 | 램프·조명기구[서치라이트(searchlight)·스포트라이트(spotlight)와 이들의 부분품을 포함하고, 따로 분류되지않은 것으로 한정한다], 조명용 사인·조명용 네임플레이트(name-plate)와 이와 유사한 물품(광원이 고정되어있는 것으로 한정한다), 이들의 부분품(따로 분류되지 않은 것으로 한정한다) Lamps and lighting fittings including searchlights and spotlights and parts thereof, not elsewhere specified or included; illuminated signs, illuminated name-plates and the like, having a permanently fixed light source, and parts thereof not elsewhere specified or included. |
ㅇ HS코드별 관세
HS Code | 품목명 | 2018년 기준 한중 FTA세율 | 비고 |
9401.10.00 | Seats of a kind used for aircraft | 0% | |
9401.20.10 | With outer surface of leather or composition leather | 8% | 2034년 철폐 |
9401.20.90 | Other | 7.3% | 2029년 철폐 |
9401.30.00 | Swivel seats with variable height adjustment | 0% | |
9401.40.10 | With outer surface of leather or composition leather | 0% | |
9401.51.00 | Of bamboo or rattan | 0% | |
9401.90.11 | Seat angle regulating devices | 10% | 유지 |
9402.10.10 | Barbers chair and parts thereof | 0% | |
9403.10.00 | Metal furniture of a kind used in offices | 0% | |
9403.30.00 | Wooden furniture of a kind used in offices | 0% | |
9403.40.00 | Wooden furniture of a kind used in the kitchen | 0% | |
9403.70.00 | Furniture of plastics | 0% | |
9403.90.00 | Parts | 0% | |
9404.10.00 | Mattress supports | 14.6% | 2029년 철폐 |
9404.21.00 | Of cellular rubber or plastics, whether or not covered | 14.6% | 2029년 철폐 |
9404.30.10 | Stuffed with feathers or down | 14.6% | 2029년 철폐 |
9404.90.30 | Stuffed with silk wadding | 14.6% | 2029년 철폐 |
9405.10.00 | Chandeliers and other electric ceiling or wall lighting fittings, excluding those of a kind used for lighting public open spaces or thorough-fares | 6% | 2024년 철폐 |
9405.20.00 | Electric table, desk, bedside or floor-standing lamps | 16% | 2029년 철폐 |
9405.30.00 | Lighting sets of a kind used for Christmas trees | 9.6% | 2024년 철폐 |
9405.40.10 | Searchlights | 10.5% | 2024년 철폐 |
9405.40.90 | Other | 2% | 2019년 철폐 |
9405.50.00 | Non-electrical lamps and lighting fittings | 16% | 2034년 철폐 |
9405.60.00 | Illuminated signs, illuminated name plates and the like | 14.6% | 2029년 철폐 |
자료원 : 관세청
□ 선정사유
ㅇ 산업의 빠른 발전과 새로운 성장 포인트 발굴로 전환점 마련
- 2016년 기준, 가구산업 총 영업수입은 8560억 위안으로 연속 9년 전세계 가구 생산 및 소비 1위 지위를 지킴.
- 2017년 기준 중국의 가구 수출은 514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4.5% 증가했으며, 이는 전세계 가구 수출액의 35.2%의 비중을차지하는 수치임.
- 또한 ≪2018년 중국 가구산업 정보보고≫에 따르면, 2017년 중국의 가구수입액은 전년 동기대비 15.7% 증가한 30억 5천만 달러로 최근 10년간 최고액을 경신함.
- 특히 소득수준의 제고에 따라 거주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고 개인성향에 맞추어진 맞춤형 가구에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시장의 특징임.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안정적인 발전추세 유지
- 중상산업연구원의 데이터에 따르면, 2017년 중국 가구산업의 규모이상 기업의 주 영업수입은 9056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대비 10.1% 증가함.
- 2012~2017년 영업수입 증가율은 조금씩 하락해왔음에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했고, 2017년에는 증가율이 오히려 상승하며산업 발전의 전망을 밝힘.
- 또한 산업의 이윤총액도 영업수입과 같이 안정적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2017년 565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대비 9.3% 증가함.
- 한편, 2017년까지 규모이상 기업은 6천 개이고 이 중 부실기업은 608개로 약 10.1%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부실기업 비율은 꾸준히 10%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중국 가구산업 매출액 및 증가율 추이
(단위 : 억 위안, %)
자료원 : 중상산업연구원
ㅇ 중국 전국에 가구산업 클러스터는 5개가 형성되어 있음.
- 주강삼각주, 장강삼각주, 발해만, 동북지역과 서부지역 등 5개로 구분되며, 5개 산업 클러스터에서 생산되는 가구는 90% 이상을차지함.
- 주강삼각주는 중국 가구산업이 가장 집중하여 발전한 지역으로 생산기업만 6천개 이상 있으며, 전국 생산량의 70%, 전국 수출액의 약 50%가 해당지역에서 발생함.
- 장강삼각주는 산업 분업이 명확히 되어있어 발전 속도가 빠른 편으로, 사오싱(绍兴)은 연체가구, 항저우는 사무용 가구, 진화(金华)는 홍목과 목조가구 위주로 산업군이 형성되어 있음.
ㅇ 주력 소비자군의 저령화, 맞춤형 가구 수요 증가 및 O2O 비즈니스 발전이 시장의 트렌드임.
- 현재 주력소비군은 25~35세로, 결혼 적령기에 있거나 결혼생활 초기에 있는 경우로 가구에 대한 수요가 많은 편임.
- 또한 해당 나이대 출생률이 높았던 관계로 25~30세의 인구비율이 높은 편이며, 향후 5년도 해당 인구가 주력소비군으로 있어 가구수요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함.
- 또한 젊은 소비군은 취향에 따른 개성화된 제품을 선호하는 관계로 맞춤형 가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
- 2017년 기준 맞춤형 가구시장의 성장률은 27%로 전체 가구산업 성장률의 2배 이상을 기록했으며, 산업에서의 비중도 24.5%를차지한 것으로 나타남.
- 또한 제3의 매장에서 혹은 공장에서 직판하는 전통의 비즈니스 모델에서 탈피하여 가구산업 역시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된O2O 비즈니스 모델을 발전시키며 소비자군들에게 어필하고
ㅇ 가구수입은 2015년 감소 후 다시금 증가세에 있음.
- ≪2018년 중국 가구산업 정보보고≫에 따르면, 2017년 가구수입은 30억 5200만 달러로 전년대비 15.7% 증가하면서 최근 10년중 최고액을 경신함.
- 이는 소득증가에 따른 영향이 큰데, 특히 수입증가가 연해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하이(34.8%)와 광둥(16.7%) 두 지역에만 50% 이상 집중되어 있음.
* 가구수입 상위 5대 지역 : 상하이, 광둥성, 베이징, 장쑤성, 톈진
- 한편 대 한국 수입은 2016년까지 2위를 차지했으나, 꾸준한 감소세를 기록했고, 2017년에는 6위까지 크게 하락하며 수입 비중도11%에서 7%까지 감소함.
상위 10개 가구수입국 수입 및 증가율 추이
(단위 : 천 달러, %)
순위 | 국가 | 2015년 | 2016년 | 2017년 |
수입액 | 증가율 | 수입액 | 증가율 | 수입액 | 증가율 |
| 총계 | 1,315,068 | -17.4 | 1,390,297 | 5.7 | 1,549,310 | 11.4 |
1 | 이탈리아 | 97,280 | -8.3 | 125,541 | 29.1 | 184,614 | 47.1 |
2 | 독일 | 229,788 | -22.9 | 183,136 | -20.3 | 183,809 | 0.4 |
3 | 일본 | 123,114 | -33.2 | 151,222 | 22.8 | 152,126 | 0.6 |
4 | 미국 | 137,187 | -14.6 | 128,146 | -6.6 | 131,872 | 2.9 |
5 | 영국 | 74,330 | 58.0 | 76,347 | 2.7 | 119,959 | 57.1 |
6 | 한국 | 158,892 | -24.1 | 154,149 | -3.0 | 107,863 | -30.0 |
7 | 폴란드 | 35,642 | -14.9 | 59,736 | 67.6 | 86,754 | 45.2 |
8 | 베트남 | 83,029 | -25.2 | 90,629 | 9.2 | 77,911 | -14.0 |
9 | 프랑스 | 46,416 | -40.8 | 54,729 | 17.9 | 56,560 | 3.3 |
10 | 체코 | 43,154 | -13.7 | 46,337 | 7.4 | 52,361 | 13.0 |
주 : HS코드 9401 기준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대한국 수입액 및 증가율 추이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 경쟁동향 및 주요업체
ㅇ 가구산업이 빠른 성장을 위한 전환점을 마련하여 관련 기업이 많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
- 상하이무역관이 진행한 중국가구협회 관계자와의 인터뷰 결과, 유럽이나 미국의 유명브랜드와 중국은 아직 격차가 있고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는 브랜드가 아직 없다고 밝힘.
- 소비자들은 중저가 제품 외 고급제품에 대한 수요도 많기 때문에 외국의 고급브랜드가 보다 많이 중국으로 진출하여 시장을 형성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수출보다 수입의 증가세가 훨씬 빠를 것이라고 예측함.
- 브랜드와 품질의 혁신을 통해 자체 브랜드 네임밸류와 생산설계능력의 제고가 필요함을 역설했으며, 특히 고급브랜드에서의 격차는 조금씩 좁혀지고 있다고 밝힘.
- 특히 2016년부터 중국 가구기업은 내수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외국 브랜드의 기존 브랜드와 채널, 기업문화 등을 유지한 채 인수합병하며 축적된 노하우를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ㅇ 주요 중국기업
- 2017년 A Share 상장사 중 영업수입이 10억 위안을 넘는 기업이 18개사가 있으며, 그 중 Oppein(欧派家居)이 영업수입 97억위안으로 1위를 차지함.
연번 | 회사명 | 로고 | 본부 소재 | 주영업 | 영업수입 (억 위안) |
1 | 欧派家居 集团股份有限公司 | 
| 광둥 | 전체 맞춤형,찬장 등 | 97.1 |
2 | 宜华生活科技 股份有限公司 | 
| 광둥 | 연체가구,찬장 및 장롱,스마트 가구등 | 80.2 |
3 | 大亚圣象 家居股份有限公司 | 
| 장쑤 | 인조반,바닥재 | 70.5 |
4 | 顾家家居 股份有限公司 | 
| 저장 | 거실 및침실가구,전체 맞춤형 | 66.7 |
5 | 索菲亚家居 股份有限公司 | 
| 광둥 | 맞춤형 옷장및 가구 | 61.6 |
6 | 广州尚品宅配 家居股份有限公司 | 
| 광둥 | 맞춤형가구제작 | 53.2 |
7 | 浙江永强集团 股份有限公司 | 
| 저장 | 옥외용 가구 | 45.4 |
8 | 美克国际家居用品股份有限公司 | 
| 신장 | 서양식 가구 | 41. |
9 | 喜临门家具 股份有限公司 | 
| 저장 | 매트리스,호텔가구 | 31.9 |
10 | 梦百合家居科技 股份有限公司 | 
| 장쑤 | 침대매트리스,베개 | 23.4 |
자료원 : 중상정보망
□ 전망
ㅇ 가격보다 브랜드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
- 소득의 증가에 따라 단순 저렴한 제품을 찾지 않고, 소비자가 맞춤형으로 원하는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아울러 제품 자체의 품질에서 더 나아가 사후 A/S를 중시하면서 보다 인지도 있는 브랜드를 선호하게 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
- 또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한 현재, 아직 산업과 브랜드 집중도가 낮은 편이나, 점차 브랜드 경쟁의 심화가 나타나면서 고급 브랜드들이 다수 형성되고 산업과 시장의 발전속도가 다시금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함.
자료원 : 중국가구협회, 중상산업연구원, 이방(亿邦)동력망, 중상정보망, 산업정보망, sohu, 상하이무역관 정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