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만세 성향이 강한 홈페이지이긴 한데, 기복이 심한 지형 때문에 acoustic shadow zone이 많은 남중국해에 AI 기뢰를 깔아 미국과 동맹국의 잠수함을 막겠다는 구상을 하고 있나 봅니다.
중국, 파라셀 제도 주변에 AI 기반 기뢰로 ‘잠수함 살상 구역’ 조성 계획
중국 군사 과학자들은 파라셀 제도의 위험한 해저 지형을 AI 기반 잠수함 살상 구역으로 전환해 남중국해에서 미 해군의 우위를 위협하는 계획을 제시했다. 이미지 영어 글로벌 국제 관리자 작성 2025년 9월 5일
USS 커네티컷 USS 커네티컷 공유
(DEFENCE SECURITY ASIA) — 중국 군사 과학자들의 최근 연구는 파라셀 제도 주변의 위험한 수중 지형을 고도의 전략적 잠수함 살상 구역으로 바꾸려는 계획을 개요한다.
인민해방군 다롄 해군사관학교와 하얼빈 공과대학(HEU) 연구진이 동료심사를 거친 학술지 『기술음향(Technical Acoustics)』에 발표한 연구는, 해당 지역의 험준한 해산(바다 산봉우리)들이 “음향 음영대(acoustic shadow zones)”로 불리며, 지능형 기뢰가 탐지를 피하고 적 선박을 선택적으로 표적화할 수 있도록 활용되어 적 잠수함에 치명적 함정을 만들 수 있음을 상세히 설명한다.
중국 최초의 잠수함 건조에 참여했던 HEU의 마번쥔(마 벤쥔) 부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최적 배치 지점을 분석하면 은폐성이 향상되어 배치된 자산을 훨씬 더 탐지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전략은 향후 수중 작전에서 중국에 상당한 전술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미 해군의 가장 진보한 시울프급 공격원잠 중 하나인 핵추진 잠수함 USS 커네티컷이 남중국해에서 미측에 의해 미측량된 해산에 충돌한 지 4년 후, 베이징은 바로 그 해저를 무기화하려 움직이고 있다.
파라셀 제도 파라셀 제도 2021년의 그 사건은 수십억 달러짜리 잠수함을 거의 무력화시켜, 소나 돔이 파괴된 채 괌으로 간신히 귀항하게 만들었고, 파라셀 제도 주변의 수중 지형이 얼마나 위험하고 미측정 상태인지 여실히 드러냈다.
이제 중국 군사 과학자들은 그 동일한 능선과 수중 산들이 치명적 매복 지점으로 전환될 수 있다고 보고 있으며, 자연 지형을 미래의 기뢰지대로 바꾸려 하고 있다.
음향 음영대: 조용한 매복 남중국해의 울퉁불퉁한 해저는 소리 파동이 산란·굴절되거나 아예 사라지는 “음향 음영대”로 뒤덮여 있다.
이러한 맹점은 잠수함의 주된 감각인 소나를 사실상 무력화하여, 가장 조용한 잠수함조차 취약하게 만든다.
인민해방군 해군(PLAN)에게 이 구역들은 단순한 항해상의 위험 요소가 아니라 그 자체로 잠재적 무기다.
이 소나 맹점 내부에 지능형 기뢰를 숨김으로써, 중국은 너무 늦게서야 존재가 드러나는 보이지 않는 수중 함정을 만들 수 있다.
USS 커네티컷 USS 커네티컷 AI 기반 해상 기뢰의 부상 중국 연구진이 구상하는 기뢰는 과거 세계대전의 조악한 폭약 장치가 아니다.
이들은 오랜 기간 운용 가능한 AI 기반 시스템으로, 음향·자기·광학 센서를 갖추어 수년간 주변을 감시할 수 있다.
일단 활성화되면, 고유한 음향 특성, 선체 형상, 심지어 조파(항적 난류) 패턴으로 선박을 자율 식별할 수 있다.
전통적인 무차별 기뢰와 달리, 이러한 “스마트” 무기는 남중국해에 진입하는 미 해군 시울프급이나 버지니아급 잠수함, 또는 항모전단과 같은 특정 선종만 교전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이 선택성은 베이징이 민간이나 중립 선박과의 의도치 않은 에스컬레이션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해양 거부(sea denial)를 시행할 수 있게 해준다.
해저를 무기로 바꾸기 중국의 군사 해양학자들은 심해 소나, 무인수중기(UUV), 해양 부이를 사용해 파라셀 해저를 광범위하게 조사해 왔다.
수심 지형(측심) 데이터와 수온·염분·해류 모델을 결합함으로써, PLA는 해산과 해구 주변에서 소리가 어떻게 전파되는지에 대한 정교한 시뮬레이션을 개발했다.
이 연구들은 기뢰가 소나에 사실상 보이지 않으면서도 최대의 치명성을 유지하는 위치에 지능형 기뢰를 정밀 배치하게 해준다.
만약 배치된다면, 이 수중 기뢰지대는 태평양의 분쟁 수역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은밀성에 의존하는 미 잠수함들에게 악몽이 될 수 있다.
요새 파라셀: 베이징의 가라앉지 않는 항공모함 중국어로 시사(Xisha), 베트남어로 황사(Hoàng Sa)로 불리는 파라셀 제도는 베이징의 남중국해 방어망 북쪽 닻을 이룬다.
1974년 짧은 해전 끝에 남베트남으로부터 점령한 이후, 이 군도는 중무장된 요새로 변모했다.
중국은 전투기와 폭격기가 운용 가능한 3,000m 활주로, 군함 보급을 위한 심수 항만, 초원거리 레이더 기지, 상주 병력을 구축했다.
이 강화된 거점은 베이징이 남중국해 북부 전역에 군사력을 투사하고, 연간 3조 달러 이상의 무역이 흐르는 해상 교통로를 보호하도록 한다.
파도 아래 기뢰망을 추가하면, 중국은 이 요새를 한층 더 강화해, 공중·수상·수중 영역을 아우르는 3차원 거부 구역을 만들 수 있다.
미 잠수함 우위에 대한 위협 수십 년 동안 미 해군은 핵잠수함 전력에 의존해 태평양에서 적수들을 압도해 왔다.
냉전기에 설계된 시울프급은 세계에서 가장 조용하고 유능한 사냥꾼-살상(헌터킬러) 잠수함 가운데 하나로 남아 있다.
그 후속인 버지니아급 잠수함은 은밀성과 첨단 센서, 토마호크 타격 능력을 결합해, 미국이 수중전에서의 우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중국 연구자들은 해산 주변의 음향 맹점이 이러한 우위를 상쇄해, 가장 조용한 잠수함조차 탐지되거나 매복에 취약해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입증된다면, 베이징의 기뢰지대 구상은 냉전 이후 미 수중 우위에 대한 가장 심각한 도전이 될 수 있다.
기뢰전: 오래된 개념, 새로운 기술 기뢰전 자체는 새롭지 않지만, 이를 AI가 구동하는 선택적 무기로 전환하는 것은 혁신적이다.
한국전쟁 당시 소련제 단순 접촉 기뢰만으로도 미 해군의 원산 상륙을 수주간 지연시켜, 값싼 수중 폭발물의 효율성을 보여주었다.
현대에 이르러, 미국에서 러시아에 이르기까지 여러 해군은 통과 선박에 어뢰를 발사할 수 있는 첨단 “상승형(rising) 기뢰”에 투자해 왔다.
중국의 제안은 한층 더 나아가 AI를 해저 그 자체에 심어, 지형을 사실상 자동화된 사냥꾼-살상 시스템으로 바꾸려 한다.
더 폭넓은 대잠전(ASW) 전략 지능형 기뢰지대는 베이징이 급속히 확장 중인 대잠전 전략의 한 층에 불과하다.
PLAN은 이미 냉전기 미군의 “소서스(SOSUS)”를 모방한 해저 소나망, 지속 감시가 가능한 무인수중 드론, KQ-200과 같은 해상 초계기를 배치했다.
이들 자산은 서로 겹치는 탐지 구역을 만들며, 미 잠수함이 탐지를 피하고 빠져나갈 가능성을 줄인다.
여기에 AI 기반 기뢰를 추가하면 중국이 주장하는 수역 주변에 거의 난공불락의 방어막이 만들어져, 외국 해군 작전에 대한 강력한 억지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인도-태평양의 화약고 남중국해는 세계에서 가장 변동성이 큰 해상 분쟁지 가운데 하나로 남아 있다.
중국은 “9단선”을 근거로 해역 대부분을 주장하는 반면, 베트남·필리핀·말레이시아·브루나이·대만은 서로 겹치는 영유권을 유지하고 있다.
중국이 전면 통제하는 파라셀 제도는 베트남과 대만이 계속 이의를 제기하며, 양측 모두 베이징의 주권 주장을 거부한다.
한편 미국은 정기적으로 항행의 자유 작전(FONOPs)을 수행해, 분쟁 수역을 전개하는 함정과 잠수함으로 중국의 주장을 견제한다.
수중 기뢰지대는 이러한 초계의 위험을 크게 높여, 미군 또는 동맹국 잠수함이 손상되거나 파괴될 경우 에스컬레이션으로 이어질 소지가 있다.
에스컬레이션과 대응책 베이징이 남중국해에 지능형 기뢰를 배치한다면, 워싱턴과 동맹국은 대응책을 내놓을 가능성이 크다.
미 해군은 이미 정교한 기뢰 소해 드론, 특수 소나 체계, 수중 위협 무력화를 위해 설계된 무인수상정을 운용한다.
일본·호주·한국도 중국의 커지는 도전을 예상해 기뢰전 및 대잠 능력을 확충해 왔다.
그러나 음향 음영대에 숨겨진 AI 기반 기뢰를 무력화하는 일은 전통적 기뢰지대를 제거하는 것보다 훨씬 더 어려울 수 있다.
이런 쫓고 쫓기는 구도는 강대국 간 위험한 에스컬레이션의 악순환을 촉발해, 세계를 직접적인 해군 충돌에 더 가깝게 만들 수 있다.
수중 군비 경쟁의 글로벌 함의 남중국해에서 해산을 무기화하려는 움직임은 더 넓은 흐름, 즉 해저의 군사화를 상징한다.
나토는 이미 대서양에서 러시아가 해저 통신 케이블을 겨냥할 수 있다고 경고했으며, 북극 해빙은 러시아·미국·중국 간 새로운 수중 경쟁을 열었다.
AI·로보틱스·수중 센서가 발전함에 따라, 해저는 더 이상 수동적 지형이 아니라 능동적 전장으로 변모하고 있다.
파라셀 주변 해저를 잠수함 살상 구역으로 바꾸려는 중국의 추진은, 미래의 분쟁이 파도 아래까지 확장될 것임을 부각한다.
해저가 빚어낼 미래 2021년 USS 커네티컷의 치명적일 뻔한 사고는 바닷속에 숨은 위험을 적나라하게 일깨웠다.
이제 중국은 그 위험을 지형·AI·첨단 센서를 활용해, 보이지 않는 살상 구역으로 적을 가두는 전략 자산으로 바꾸려 하고 있다.
만약 현실화된다면, 이 발전은 인도-태평양에서 해군 전쟁의 양상을 재정의해, 수상함대와 항모에서 벗어나 깊고 보이지 않는 해저의 전장으로 권력 균형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미 전투함과 분쟁 도서로 혼잡한 남중국해는, 곧 파도 아래에서 — 경고 없이 생각하고, 추적하고, 살상하는 기뢰라는 — 더욱 치명적인 위협을 품게 될지도 모른다.
워싱턴과 베이징의 패권 경쟁에서, 다음의 큰 충돌은 하늘이나 수면 위가 아니라, 해저의 그림자진 심연에서 터져 나올지 모른다. — DEFENCE SECURITY ASIA
China Plans “Submarine Kill Zone” in South China Sea Using AI-Powered Mines Around Paracel IslandsChinese military scientists outline a plan to transform the treacherous seabed of the Paracel Islands into an AI-powered submarine kill zone, threatening US naval dominance in the South China Sea.
ImageEnglishGlobalInternational
By admin On Sep 5, 2025
USS Connecticut
Share
(DEFENCE SECURITY ASIA) — A recent research from Chinese military scientists outlines a plan to turn the perilous underwater terrain around the Paracel Islands into a highly strategic submarine kill zone.
A study published in the peer-reviewed journal Technical Acoustics by researchers at the People’s Liberation Army Dalian Naval Academy and Harbin Engineering University (HEU) details how the region’s rugged seamounts, referred to as “acoustic shadow zones”, could be leveraged to allow intelligent mines to avoid detection and selectively target enemy vessels, creating a lethal trap for adversary submarines.
The team, led by HEU associate professor Ma Benjun, which was involved in building China’s first submarine, notes that analyzing optimal deployment sites can improve concealment, making deployed assets much harder to detect.
Such strategies could give China a significant tactical advantage in future undersea operations.
Four years after the nuclear-powered USS Connecticut, one of America’s most advanced Seawolf-class attack submarines, slammed into an uncharted seamount in the South China Sea, Beijing is moving to weaponize that very seabed.
Paracel Island
The 2021 incident, which nearly crippled the billion-dollar submarine and forced it to limp back to Guam with its sonar dome destroyed, highlighted just how treacherous and unmapped the undersea terrain around the Paracel Islands remains.
Now, Chinese military scientists believe those same ridges and submerged mountains can be converted into lethal ambush points, transforming natural geography into a minefield of the future.
Acoustic Shadow Zones: The Silent Ambush
The rugged seafloor of the South China Sea is riddled with “acoustic shadow zones,” areas where sound waves scatter, bend, or vanish altogether.
These blind spots render sonar—the primary sense of submarines—effectively useless, making even the quietest submarines vulnerable.
For the People’s Liberation Army Navy (PLAN), these zones are not merely navigational hazards but potential weapons in their own right.
By hiding intelligent mines inside these sonar blind zones, China could create an invisible undersea trap, undetectable until it is too late.
USS ConnecticutRise of AI-Powered Sea Mines
The mines envisioned by Chinese researchers are not the crude explosive charges of past world wars.
These are AI-powered, long-endurance systems equipped with acoustic, magnetic, and optical sensors capable of monitoring their surroundings for years.
Once activated, they can autonomously identify vessels by their unique acoustic signatures, hull shape, and even wake turbulence patterns.
Unlike traditional indiscriminate mines, these “smart” weapons can be programmed to engage only specific classes of vessels—such as US Seawolf- or Virginia-class submarines, or carrier strike groups entering the South China Sea.
This selectivity offers Beijing the ability to enforce sea denial while minimizing risks of unintended escalation with civilian or neutral shipping.
Turning the Seafloor into a Weapon
China’s military oceanographers have been conducting extensive surveys of the Paracel seabed, using deep-sea sonar,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and oceanographic buoys.
By combining bathymetric data with model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current flow, the PLA has developed sophisticated simulations of how sound propagates around seamounts and trenches.
These studies allow precise placement of intelligent mines in locations where they remain virtually invisible to sonar but retain maximum lethality.
If deployed, this undersea minefield could become a nightmare for US submarines, which rely on stealth to dominate the Pacific’s contested waters.
Fortress Paracels: Beijing’s Unsinkable Aircraft Carrier
The Paracel Islands, known as Xisha in China and Hoang Sa in Vietnam, form the northern anchor of Beijing’s South China Sea defenses.
Seized from South Vietnam in 1974 after a brief naval clash, the islands have since been transformed into a heavily militarized fortress.
China has built a 3,000-meter runway capable of hosting fighter jets and bombers, deep-water harbors to resupply warships, over-the-horizon radar stations, and permanent garrisons.
This fortified bastion allows Beijing to project military power across the northern South China Sea and safeguard maritime routes that carry over $3 trillion in annual trade.
By adding a minefield network beneath the waves, China could further harden this fortress, creating a three-dimensional denial zone covering air, surface, and undersea domains.
US Submarine Dominance Under Threat
For decades, the United States Navy has relied on its nuclear submarine fleet to outmatch adversaries in the Pacific.
The Seawolf-class, designed during the Cold War, remains one of the quietest and most capable hunter-killer submarines in the world.
Its successors, the Virginia-class boats, combine stealth with advanced sensors and Tomahawk strike capabilities, ensuring that Washington maintains dominance in undersea warfare.
But Chinese researchers believe that acoustic blind zones around seamounts could neutralize this edge, rendering even the quietest submarines detectable or vulnerable to ambush.
If proven effective, Beijing’s minefield concept could represent the most serious challenge to US undersea supremacy since the Cold War.
Mine Warfare: Old Concept, New Technology
Mine warfare is not new, but its transformation into an AI-driven, selective weapon is revolutionary.
During the Korean War, simple Soviet-supplied contact mines delayed the US Navy’s landing at Wonsan for weeks, showcasing the effectiveness of inexpensive underwater explosives.
In modern times, navies from the United States to Russia have invested in advanced “rising mines” that can shoot torpedoes at passing vessels.
China’s proposal goes further by embedding AI into the seabed itself, essentially turning geography into an automated hunter-killer system.
Wider Anti-Submarine Warfare Strategy
The intelligent minefield forms only one layer of Beijing’s rapidly expanding anti-submarine warfare (ASW) strategy.
The PLAN has already deployed seabed sonar arrays modeled after the US “SOSUS” Cold War network, unmanned underwater drones capable of persistent patrol, and maritime surveillance aircraft like the KQ-200.
Together, these assets create overlapping detection zones, reducing the chances of US submarines slipping through undetected.
Adding AI-powered mines to this mix could create a near-impenetrable shield around Chinese-claimed waters, giving Beijing a powerful deterrent against foreign naval operations.
Flashpoint for the Indo-Pacific
The South China Sea remains one of the world’s most volatile maritime flashpoints.
China claims almost the entire sea under its “nine-dash line,” while Vietnam, the Philippines, Malaysia, Brunei, and Taiwan maintain overlapping claims.
The Paracels, fully controlled by China, remain contested by Vietnam and Taiwan, both of whom reject Beijing’s sovereignty.
Meanwhile, the United States conducts regular Freedom of Navigation Operations (FONOPs), sending warships and submarines through contested waters to challenge China’s claims.
An undersea minefield would significantly raise the risks of these patrols, potentially leading to escalation if a US or allied submarine were damaged or destroyed.
Escalation and Countermeasures
If Beijing deploys intelligent mines in the South China Sea, Washington and its allies will likely respond with countermeasures.
The US Navy already fields sophisticated mine-hunting drones, specialized sonar systems, and unmanned surface vessels designed to neutralize undersea threats.
Japan, Australia, and South Korea have also expanded their mine warfare and ASW capabilities, anticipating the growing Chinese challenge.
But neutralizing AI-powered mines hidden in acoustic shadow zones could prove far more difficult than clearing traditional minefields.
This cat-and-mouse dynamic could trigger a dangerous cycle of escalation between great powers, bringing the world closer to direct naval confrontation.
Global Implications of an Undersea Arms Race
The weaponization of seamounts in the South China Sea is emblematic of a broader trend: the militarization of the seabed.
NATO has already warned of Russian submarine cables being targeted in the Atlantic, while the Arctic’s melting ice has opened new undersea competition between Russia, the US, and China.
As AI, robotics, and undersea sensors advance, the ocean floor itself is becoming a contested domain, no longer a passive geography but an active battlefield.
China’s push to transform the seabed around the Paracels into a submarine kill zone highlights how future conflicts will extend beneath the waves.
Future Shaped by the Seafloor
The near-fatal accident of USS Connecticut in 2021 was a stark reminder of the hidden dangers of the ocean floor.
Now, China is moving to turn those dangers into strategic assets, using terrain, AI, and advanced sensors to trap adversaries in invisible kill zones.
If realized, this development could redefine naval warfare in the Indo-Pacific, shifting the balance of power from surface fleets and aircraft carriers to the silent, unseen battlefield of the deep ocean.
The South China Sea, already crowded with warships and contested islands, may soon host an even deadlier threat beneath its waves—mines that think, hunt, and kill without warning.
In the struggle for dominance between Washington and Beijing, the next great clash may not erupt in the skies or on the surface, but in the shadowed depths of the seabed itself. — DEFENCE SECURITY ASIA
첫댓글 UUV로 기뢰를 까는 식으로 똑같이 맞대응하면 아무도 가지 못하는 'No man's sea'가 나오겠네요.
저기서 초계하는 SSBN이 기뢰맞고 가라앉기라도 하면 후폭풍이... ㄷㄷㄷ
저런 전략은 대체적으로 수세인 측에서 택할텐데, 적어도 현시점까지는 1도련선에서도 미잠수함전력을 구축할 자신이 없다는 자백이려나요?
노이즈 레벨이 급격히 좋아지고 있다고 하지만 기술적 격차가 분명히 있을 거고, 함장 위에 정치장교 주도의 지휘부 위원회가 있는 지휘구조로는 당분간 역부족이 아닐까 합니다. 게다가 성적이 제일 안좋은 자원들을 보낸다고 하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