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교통분석 모델 지자체 도입 확대… 도로안전 개선에 기여
[혁신행정이 미래다]〈3〉 속도 높이는 ‘애자일 행정’
CCTV 통해 차선별 통행량 산출
정체 구간 확인 즉시 조치 가능
단순 업무는 결재절차 간소화 추진
정부가 보급하기 시작한 ‘인공지능(AI) 기반 교통량 분석 모델’ 화면. 차량별, 차선별 교통량이 자동으로 분석돼 교통안전 개선에 활용되고 있다. 행정안전부 제공
행정안전부는 최근 ‘인공지능(AI) 기반 교통량 분석 모델’ 개발을 마치고 각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에 보급을 시작했다. 폐쇄회로(CC)TV를 통해 확보된 영상을 AI가 자동 분석해 차선별 통행량을 산출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정확한 교통량을 측정해 교통 정체 해소 및 도로 안전 확보 등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I 분석을 통해 정체 구간이 확인될 경우 즉시 교차로 직진 또는 좌회전 차선을 확대하며 조치를 취하는 식이다. 정부 관계자는 “과거에 차선을 조정하려면 시간과 인력이 많이 필요했는데, 과학적 데이터로 분석해 빠르게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처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애자일 전략’을 정부 혁신 종합계획에 담았다. 완벽하진 않더라도 빠르게 제품과 서비스를 출시하고 고객의 반응을 살피며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하는 민간 부문의 ‘애자일 전략’을 행정 분야에 접목하겠다는 취지다. 행안부 관계자는 “민간 부문과 다른 점은 데이터를 활용해 정확도를 높인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애자일 행정의 일환으로 반복적이고 비효율적인 정부 내 절차를 과감하게 정비하기로 했다. 대표적인 것이 법제처 심사기일 축소다. 소관 부처 및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입법 전 과정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며 법제처 심사 기간을 기존 150일에서 90일로 대폭 줄일 계획이다.
단순 반복적 업무 처리를 자동화하고, 결재 절차를 간소화해 의사결정 속도를 높이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예를 들어 부처 장관 결재를 받는 경우 현재는 사무관의 기안문서가 팀장, 과장, 국장, 실장, 차관 검토를 거쳐 올라간다. 하지만 향후 반복적 업무의 경우 부서장(통상 과장급) 검토만 거치고 바로 장관 결재로 넘어갈 수 있게 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정부 관계자는 “결재 절차를 단축하려면 고시 개정이 필요한데 관련 정부 내 논의가 속도를 내는 중”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행정 혁신을 통해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유근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