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비 부담 줄이려는 젊은 층
앱.SNS 등서 인원 모아 '공구'
공동구매앱 설치 넉달새 60% UP
당근마켓은 전용 게시판 신설
관련글 전년 대비 130% 폭증
'마라탕 배달비 'n빵'(더치페이) 할 사람?'
서울 광진구에서 자취하는 대학생 한모(22)씨는 배달 음식을 시키기 전 근처의 동기들에게 먼저 연락을 돌린다.
먹고 싶은 음식을 함께 주문하면 배달비를 절반으로 아낄 수 있기 때문이다.
신 씨는 '요즘은 1인분만 시켜도 배달비가 5000원을 넘는 곳이 많다'며
'배달비만 나눠 내도 생활비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전례없는 고물가에 생활비를 한 푼이라도 아끼려는 젊은 층 사이에서 음식, 생필품을 함께 주문하는 '공동구매'(공구)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그간 공동구매는 고가 가전, 의류, 화장품 같은 물건을 대량으로 싸게 구매할 때 쓰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배달 음식, 식재료 같은 생필품도 SNS나 중고거래 앱을 통해 소규모로 함께 구매하려는 이들이 늘고 있다.
23일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윅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공동구매 쇼핑 앱 '공구마켓'의 지난달 신규 설치는
약 40만 건을 기록. 당근마켓과 쿠팡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공구마켓의 지난달 사용자 수(MAU)는 안드로이드 기준 약 83만 명으로, 지난 4월(약 54만 명) 대비 60% 가량 증가했다.
당근마켓에서는 주로 3만 원대 이하의 건강기능식품, 휴지, 과일 등 생필품들이 판매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9월 선보인 공동구매 플랫폼 '올웨이즈'도 출시 1년 만에 누적 거래액 450억 원을 돌파했다.
올웨이즈는 생산자와 소비자 간 직거래를 통해 중간유통 이익을 줄여 상품을 기존 소매 가격 대비 최대 60%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고 홍보하고 있다.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의 지난달 공동구매 관련 게시글도 지난해 같은 달에 견줘 130% 증가했다.
공동구매가 많은 인기를 얻자 플랫폼 업체들은 잇달아 관련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당근마켓은 지난 7월 공동구매 전용 게시판인 '같이사요'를 열었다.
이 게시판에는 같은 지역에 사는 이용자와 배달 음식이나 생필품을 함께 구매하자는 글을 올릴 수 있다.
쿠팡이츠는 배달 음식을 각자 주문하되 같은 장소에서 받을 수 있는 공동주문 서비스 '친구모아 함께 주문'을 시범 운영하고 있다.
단건 배달 시스템은 유지하면서도 고객들의 배달비 부담을 낮추기 위한 취지로 기획했다고 쿠팡이츠는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고물가 여파로 인해 빠르게 커지고 있는 중고거래 시장과 함께 공동구매가 일상적인 소비 흐름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호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