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 들어선다는 입춘(立春)과 동면(冬眠)하던 개구리가 놀라서 깬다는 경칩(驚蟄) 사이에 있는 절기로 2024년 양력 2월 19일이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330°의 위치에 올 때이다.
우수(雨水)는 빗물이라는 뜻으로 눈 대신 비가 내리고 강의 얼음이 녹아 물이 되어 흐른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즉, 겨울철 추위가 풀려가고 눈, 얼음, 서리가 녹아 빗물이 되고 한파(寒波)와 냉기(冷氣)가 점차 사라지며 봄이 오는 것을 알리는 절기(節氣)이며 입춘(立春)과 함께 겨울의 마무리와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節氣)이기도 하다.
우수 (雨水) 에 대한 속담 중에는 “겨울 추위가 끝나가고 봄바람이 불어온다.”, “우수(雨水) 뒤에 얼음같이”(슬슬 녹아 없어진다.), “우수(雨水)·경칩(驚蟄)에 대동강 풀린다.”는 속담이 있듯이 우수(雨水)와 경칩(驚蟄)을 지나면 아무리 춥던 날씨도 누그러져 땅에는 초목(草木)의 새싹이 트이고 봄이 오게 됨을 알리게 되는 우수(雨水)의 성격을 잘 표현해 주고 있다.
옛날 중국 사람들은 우수(雨水) 이후 15일을 5일간씩 세분하여 그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를 3후(三候)라고 한다. 즉, 첫 5일간은 수달(水獺)이 물고기를 잡아다 늘어놓고, 다음 5일간은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며, 마지막 5일간은 초목(草木)에 싹이 튼다고 하였다. 우수(雨水) 무렵이 되면 그동안 얼었던 강이 풀리므로 수달은 때를 놓칠세라 물 위로 올라오는 물고기를 잡아 먹이를 마련한다. 원래 추운 지방의 새인 기러기는 봄기운을 피하여 다시 추운 북쪽으로 날아간다. 그렇게 되면 봄은 어느새 완연하여 마지막 5일간, 즉 말후(末候)에는 풀과 나무에 싹이 튼다.
다만, 24절기가 중국 화북지역에서 유래된 것이기에 한반도의 기후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우수(雨水)가 돼도 아침 기온이 영하 5° 아래로 떨어지는 추위가 계속되거나 눈이 쏟아지는 경우도 심심찮게 있다. 그래도 우수(雨水) 절기가 지나면 영하 10° 안팎의 한파도 더 이상 찾아오지 않고 꽃이 열리는 나무에 겨울눈이 생기며 얼었던 땅이 녹는 등 봄으로 서서히 접어들기 때문에 겨울은 사실상 끝났다고 봐야 한다.
농경사회에서는 농사일을 본격적으로 준비할 때이기 때문에 옛 농민들은 새해 농사 계획을 세우고 한 해 농사에 쓸 좋은 씨앗을 고른 다음, 먼저 논밭태우기를 해서 들판의 해충이나 알을 태워버려 타다 남은 재는 다음 농사를 위한 거름으로 사용했다.
황도(黃道)
지구에서 보아 태양이 지구를 중심으로 운행하는 것처럼 보이는 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