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린 기(麒)자는 의부(義符)로 사슴 록(鹿)자에 성부(聲符)로 그 기(其)자를 했습니다. 그 기(其)자는 키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키는 농사를 지어 수확한 알곡을 고르는 도구입니다. 전에는 집집마다 키는 다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가장 손쉽게 사용하던 도구였습니다. 그래서 옆에 있는 바로 그것을 그저 그것이라고 가리키는 관습이 생겼습니다. 지금도 그것이라면 생각나는 것들이 바로 주변에서 가장 잘 찾아지는 도구들일 것입니다. 기구(麒廏) 기숙(麒叔) 기미(麒尾) 기봉(麒峰) 기족(麒足) 기복(麒腹)
바둑 기(棊,棋)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그 기(其)자를 했습니다. 그 기(其)자는 알곡을 고르는 농기구인 키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기국(棋局) 기선(棋仙) 기구(棋具) 기력(棋力) 위기(圍棋) 장기(將棋) 기도(棋道) 기보(棋譜)
기미 기(幾)자는 작을 요(幺)자 두 개에 지킬 수(戍)자를 했습니다. 적군과 대치하여 보초를 서서 지키는 군사에게 적군의 아주 작은 기미라도 알아 내서 지켜야 한다는 점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곤충의 알처럼 작은 적군의 움직임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기회(幾回) 기세(幾歲) 기인(幾人) 기하(幾何) 기미(幾微)
꺼릴 기(忌)자는 의부(義符)로 마음 심(心)자에, 성부(聲符)로 몸 기(己)자를 했습니다. 믿을 개(忋)자는 마음 심(心)자와 몸 기(己)자를 좌우(左右)로 배치하였고, 꺼릴 기(忌)자는 마음 심(心)자와 몸 기(己)자를 상하(上下)로 배치하였습니다. 기휘(忌諱) 기일(忌日) 기중(忌中) 기사(忌事) 기제(忌祭) 기복(忌服) 기상(忌喪)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