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조그만한 회사에 설비제작부서에서 일하고 있는데....
연봉이 너무 적네요.ㅠㅠ 한 1년동안 다니면서 실력쌓고
스펙업해서 이직할려고 합니다. 전기쪽은 다른 분이 맡아서 하셔서....
배우기가 힘들것 같습니다.
올 해 전기기능사 응시해보고 내년에 전기기능장 취득할려고 합니다.
올 해 기능장응시조건을 채울 것 같고..... 기능장하나 취득하면
전기기능장 응시조건이 된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전기기능장 취득하면 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 취득한 것보다
낫다고 하시던데...... 맞는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전기기능장 취득하면 취업이 잘 되는지요?
(실무는 하나도 모릅니다. 내년에 응시조건 되면 학원을 다녀서라도 취득할 생각입니다.)
그리고 전기기능장 취득하고 입사하면 연봉 3000이상(세후) 받을 수 있나요?
첫댓글 전기기능장이 한 등급 높은 자격증이니 더 좋긴하겠지만 거의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 나이 드신분들이 전기기사(서술형) 공부하기 힘드니깐 전기기능장(작업형)을 많이 보시더군요. 전기기사와 전기공사기사가 있으면 전기기능장보다 더 좋은거 같습니다.
전기기능장이 등급이 더 높아서 좋은 줄 알았는데.... 어떤 분이 전기기능장 취득하면, 전기기사+ 전기감리 고급자격+전기공사기사+전기공사감리 특급의 효과가 있으시다고 하던데...
기능장 조건이 기능사+경력7년인데 되시나보네요? 단지 자격증만으로는 어려우실것 같고 경력이 뒷받침되어야겠네요.. 기능장은 기사보다 난이도 쉽습니다.
올 해 다른 기능장 취득하면, 전기기능장 응시조건이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우선 올 해 있는 기능장시험부터 합격해야죠.^^ 경력도 있어야하네요. 전기는 자격증만 취득해도 먹고 사는데 별 지장이 없다는 말을 하도 많이 들어서 ㅋㅋ
기술사라면모를까 기능장은....
전기기사는 좀 힘들것 같아서,..... 기능장으로 취득할려구요. 기능장 취득해도 연봉 3000안되나보네요.ㅠㅠ
아시다시피 난이도는 기술사>기사>산업기사>기능장>기능사입니다.
전기관리자 선임을 걸기 위해서는 중급,고급 특급으로 나뉩니다.
초급, 중급이나 고급 용량에 선임되는 조건을 갖추기 위헤서는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를 취득후 실무경력을 쌓아야 하고 그 기간은 다릅니다.
하지만 기능장을 취득하면 특급에 선임걸 수 있는데 대신 초급,중급,고급에 대한 선임을 걸 수 없고 [특급]과[초,중,고급]의 선임조건은 앞서 말했다시피 포함하는 개념이 아니라 별개의 개념입니다.
기능장이라서 특급이 좋으냐? 하면 또 그렇지는 않아요 특급을 선임걸 수 있는 사업장은 우리나라에서 손가락에 꼽을 정도이고 그 수요는 이미 포화상태죠.
취득 못하는 사람이 포화상태임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기능장취득하고 실무경력을 쌓아도 초급이나 중급,고급 용량에 선임을 걸 수 없나요?
선임은 못 걸어도 면접시 노력 인증하기엔 아주 좋죠.
실무없는 기능장은.. 기사보다 많이떨어질걸요 실무가바탕이 되면 좋긴하지만
전 실무경력 없이 기능장 취득했다 두고 두고 갈굼 당했음 공사 지원시 30점의 가산점과 우대함
30점의 가산점 어디 공사 말씀 하시나요 ? 공사 마다 틀린데..
공무쪽에 취업하는데는.... 조금이라도 유리할까요?
경력없는 전기기능장 여기있는데 놉니다 ;;
그래도.... 취득하셨다니... 부럽습니다.ㅠㅠ
보통 전기쪽 자격증을 취득하시는 분들의 공통적인 목적은 선임 입니다 나이먹고 면허걸면 괜찮거든요 자격증은 본인의 실력이 뒷받침이 되어야 진정으로 빛을 발휘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