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원회장님의 카톡에서]
🎯 한국의 홀수문화! 🌍🌍🌍
<홀수>는 우리 민족 精神文化(정신문화)의 <깊은> 뿌리다.
거슬러 올라가 보면 까마득한 시절부터 조선의 魂(혼)속에 묻혀 내려온
民族文化(민족문화) 다.
자연스런 일상생활의 넉넉한
慣習(관습)에서 얻어진 智慧(지혜)의 소산으로 <홀수>는--
딱 맞아- 떨어지는 <짝수>에-- 비해서 넉넉하고 <여유>롭다.
그중에서도 특히 < 3 >을 選好(선호)하고 있지만
1 .3 .5 .7 .9 모두가 우리 생활 속 <깊이> 脈(맥)을 내리고 있다.
우선 <國慶日(국경일)>이라든가
名節(명절)이 <홀수 날>이다
뿐만 아니라 때 맞춰서 돌아오는 節氣(절기)가 거의 <홀수 날>에 들어있다.
<설날>과 <추석>이 그렇고 정월 대보름 (1월15일), 삼짇날(3월3일),
단오(5월5일), 칠석(7월7일),
백중(7월15일)이 그렇다.
9월 9일은 <구중>이라 하여
남자들은 詩(시)를 짓고
여자들은 국화전을 부쳤다.
天高馬肥(천고마비)의 살찌는 계절을 즐기던 조상님들의 흐뭇한 얼굴이 떠오른다.
생활 곳곳에 뿌리 내린 < 3 >의 의미는
더욱 다양하다.
사람이 죽으면 3일葬(장) 아니면 5일장을
치르는 것이 보통이지 4일장이나 6일장은 없다.
역시 삼우제(三虞祭)가 있고 <49제>라는
追募(추모)의 날이 있다.
亡者(망자) 앞에서는 홀수 날을 택하여 최대의 예우를 지키는 것이 뿌리 깊은 전통이다.
심지어 祭物(제물)을 올려도 < 홀수>로 올리지 <짝수>로는 차리지 않는다.
돌탑을 쌓아도 3 5 7 9 홀수층으로 올렸을 때에 시각적으로 안정감이 들면서 보는 마음을 편케 한다.
애기를 낳고 금줄을 쳐도 세이레(三七日) 동안 출입을 삼갔다.
신성한 생명을 지키면서 축복하자는
삼신할미의 준엄한 고지(告知)다.
봉투에 돈을 넣어도 우리 서민들은 두 자리 수가 아닌 이상 3만원 아니면 5만원을 넣었지 4만원 이라든가
6만원짜리 <기부 촌지>는 보기 어렵다.
이렇듯 < 3 >이라는 숫자가 우리들
생활 중심에서 軸(축)을 이루고 있다.
춥고 긴긴 겨울을 삼동(三冬)이라 했고
무더운 여름을 건너가려면 삼복(三伏)을 견디어야 한다.
무리를 일컬어 <삼삼오오>라 했고 색깔을 이야기할 때도 <삼원색>이 근원이다.
상고(上古)시대에 우리나라 땅을 마련해 준
삼신(三神)이 있다하여 생명신으로 섬긴다.
삼재(三災)가 있는가 하면 또 삼재(三才)가 있다.
현대에는
시위 문화에서 삼보일배(三步一拜)라는 것이 새로 생겼다.
간절하고 지극한 정성의 극치다.
가까운 <이웃>을 일컬어 <삼 이웃>이라는
좋은 표현이 있는가 하면
잘 하면 술이 <석 잔 > 못 하면 뺨이 <석 대>다.
힘겨루기 판을 벌여도 <5판 3승 제>를 하며
만세를 불러도 삼창(三唱)까지 해야 속이 후련했다.
<짝수>는-- 죽은 者(자)의 숫자란 말이 있고 <홀수>는-- <산 사람>의 숫자란 말도 있다.
그래서 <祭祀床(제사상) >에는 과일을 홀수로 올리고 <절>을 두 번 하지만 산 사람에겐 절을 <한 번만> 하면 된다.
삼박자가 맞아 떨어져야 목적한 것이 이루어진다는 믿음은 생활 속 곳곳에 숨어있다.
그만큼 < 3 >이라는 숫자는
우리 생활의 <디딤돌>이요 구름판으로 안정된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옮겨 온 글-
=========================
📚 古木과
고목의 새순
19세기 미국의 유명한 시인
'핸리 워즈워스 롱펠로우'ㅈ(Henry Wadsworth Longfellow)에게는
두 명의 아내가 있었습니다.
첫 번째 부인은
오랜 투병생활을 하다가 외롭게 숨졌고,
두 번째 부인은
부엌에서 화재가 발생해 비참한 최후를 마쳤습니다.
이런 절망적 상황에서도 롱펠로우의 시는 여전히 아름다웠습니다.
임종을 앞둔 롱펠로우에게
한 기자가 물었습니다.
"숱한 역경과 고난을 겪으면서도 당신의 작품에는 진한 인생의 향기가 담겨 있습니다.
그 비결이 무엇입니까?"
롱펠로우는
마당의 사과나무를 가리키며 말했습니다.
"저 나무가 나의 스승이었습니다.
저 나무는 매우 늙었습니다.
그러나 해마다 단맛을 내는 사과가 주렁주렁 열립니다.
그것은 늙은 나뭇가지에서
새순(筍)이 돋기 때문입니다."
롱펠로에게
힘을 준 것은 바로 부정이 아닌 긍정적인 마인드였던 것 입니다.
인생은 환경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나이가 들어가는 자신을
'古木'으로 생각하는 사람과
고목의 새순(荀)으로 생각하는 사람의 인생은
완전히 달라집니다.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생각이
바로 인생의 새 순입니다.
사람은 자신의 생각에 따라
새로운 감정이 생깁니다.
우울한 생각을 하면 우울한 감정이 생깁니다.
감사의 생각을 품으면
감사할 일들이 계속 생깁니다.
표정도 밝아지고 행복감도 높아집니다.
그러므로
내 마음 속에 어떤 생각을 갖고있느냐가 중요하지 않을까요?
=================================
🌅 "재주와 덕(德)"
재주가 덕(德)을 이겨서는 안됩니다.
요즘 젊은 엄마들은 너 나 할것 없이 자식을 천재로 키우려고 합니다.
하지만 세상에 나가 훌륭한 사람이 되는 것은
천재가 아니라 덕(德)이 있는 사람입니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고 지도자의 위치에서
사회를 이끄는 사람은 천재가 아니라 德이 높은 사람입니다.
사람들은 천재를 부러워 하지만, 천재는 오래가지 못합니다.
하지만 덕(德)은 영원합니다.
그러므로 머리가 좋은 사람으로 키우기 전에 덕(德)을 좋아하고 德을 즐겨 베풀줄 아는 사람 으로 키워야 할 것입니다.
공자는
천재불용 (天才不用)이라 하여 덕(德)없이 머리만 좋은 사람은 아무짝에도 쓸데가 없다고 했습니다.
사람들은 머리로 세상을 산다고 생각하지만 덕(德)과 겸손(謙遜)을 함께 갖춰야 신뢰받는 사람이 된다는 원리입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온가정에 평안하시길 기원드림니다.
🍷Summer Wine
Nancy Sinatra &
Lee Hazlewood.
https://youtu.be/aLg0Gl0y7K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