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찌 나(那)자는 고을 읍(邑,⻏)자에 꼬리를 상형(象形)한 글자를 해서 사람이 여럿이 모여 사는 마을에서 꼬리가 드러나게 되어 어찌 하면 좋을까 하는 글자입니다. 여기서 꼬리가 드러난다는 말은 본색(本色)이 드러난다는 말입니다. 나개(那箇) 나개(那個) 나변(那邊) 지나(支那) 찰나(刹那) 나락(那落) 나이(那移)
대답할 낙(諾)자는 말씀 언(言)자에 같을 약(若)자를 했습니다. 대답이라는 것은 질문에 대한 답입니다. 질문에 대하여 같은 내용일 수밖에는 없습니다. 같을 약(若)자는 풀 초(艸,艹)자 아래에 오른쪽 우(右)자를 했습니다. 풀은 아무리 뽑아도 늘 같은 모양으로 풀이 자라 있습니다. 풀과의 전쟁이지요. 여기서 오른쪽 우(右)자는 듣는 손을 뜻하며 일을 한다는 뜻입니다. 오른쪽 우(右)자는 입 구(口)자 오른쪽에 손 수(手)자를 해서 오른쪽을 표시한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왼 좌(左)자는 왼손을 표시하는 글자(𠂇)를 장인 공(工)자 왼쪽에 했습니다. 입 구(口)자와 장인 공(工)자는 좌우(左右)를 표시하는 기준을 표시한 것입니다. 그래서 장인 공(工)자의 왼쪽이니 왼손 좌(左)자이고 입 구(口)자의 오른쪽이니 오른손 우(右)자입니다. 왼 손은 오른 손에 비하여 잘 듣지 않는 손입니다. 왼 좌(左)자는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허락(許諾) 일낙(一諾) 계낙(季諾) 허낙(許諾) 일낙천금(一諾千金) 계포일낙(季布一諾)
따뜻할 난(煖)자는 의부(義符)로 불 화(火,灬)자 변에 성부(聲符)로 이에 원(爰)자를 했습니다. 이에 원(爰)자는 방패(干)를 손톱 조(爪)자와 또 우(又)자로 서로 잡고 있는 표시입니다. 손톱 조(爪)자와 또 우(又)자는 손을 대신하는 글자들입니다. 이에 원(爰)자에는 방어하는 뜻도 있고, 협력하는 뜻도 있습니다. 난돌(煖堗) 난방(煖房) 난선(煖扇) 난기(煖氣) 난파(煖波) 난로(煖爐) 난수(煖水)
따뜻할 난(暖)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이에 원(爰)자를 했습니다. 이에 원(爰)자는 물건을 표시하는 글자를 가운데 두고 상하(上下)에 손을 뜻하는 글자를 했습니다. 물건을 주고받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물건을 주고받으면 서로 관계가 성립하게 되어, ‘이에’의 뜻이 생기게 될 것입니다. 따뜻할 난(煖)자도 이에 원(爰)자가 들어 있어서 ‘난’으로 읽습니다. 난방(暖房) 난대성(暖帶性) 온난(溫暖) 난동(暖冬)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