考終命 고종명
사람들 누구나 다 재산이 넉넉하고 건강하게 오래 살다 임종하기를 바란다.
이렇게 살다 생을 마치면 복받은 사람이라 한다.
경전(經典) 문헌중에 상서(尙書)가 있다.
상서 가운대 주서(周書)가 있고
주서에 홍범(洪範)이란 편명(編名)이 있다.
홍범에 [고종명]이란 말이 나온다. 오복(五福)중 다섯번째 항이다.
홍범으로 들어가 본다.
|
홈범구주(洪範九疇)
홍범의 9가지 항목을 구주(洪範九疇)라 한다.
중국 하(夏)나라 우왕(禹王)이 남겼다는 「정치 도덕의 아홉 가지 원칙」이다.
홍범 9가지 요소중 제일 끝부문이 오복(五福)과 육극(六極)이다.
|
| |
一曰凶、短、折,二曰疾,三曰憂,四曰貧,五曰惡,六曰弱
|
복은 바라는 것이고
극은 해로운 것이다.
고종명은 오복의 다섯번째 항목이다.
考終命
무슨 말인가.
대충 감은 간데 애매모호하다.
考자 때문이다. 考(고)는 살피다. 상세하다. 죽은 아버지.
참고로 강희자전(康熙字典)을 벌췌해 본다.
【釋名】父死曰考。考,成也。 「아버지의 죽음을 일러 고라한다.」 「 고는 이루다 이다.」
【禮·曲禮】死曰考 「죽음을 고라 한다.」
【傳】考,成也。 「고는 이루다 이다.」
考終命의 考는 成(이루다)이다. 「종명을 이루기 바람」란 뜻이다.
종명이란 천수대로 살다 죽는 것으로
유교의 天神 숭배 사상이 깃들어 있다.
「태어날 때 타고난 수명을 다 살고 죽는 것.
이것을 일러 고종명이라 한다.」
늙어서 아무 고통 없이 죽는 것. 善終(선종:잘 죽는 것)을 뜻한다.
홈범의 五福과 六極을 공안국 전으로 살펴본다,
공안국 전(孔安國 傳)이란
한(漢)나라 무제(武帝)때 魯恭王(노공왕) 이 집을 중축하려고 공자의 옛집을 헐다가 벽속에서 뜻하지 않은 글이 나왔다.
고문(古文으로 된 尙書(상서)) 論語(논어) 孝經(효경)이었다.
이 글은 고문인 과두문자(蝌蚪文字)로 되어 있어 제대로 해독할 사람이 없었다.
그런데 공자의 11대 손인 공안국(孔安國)이 금문(今文)으로 풀이한 서전(書傳) 나왔다.
이를 공안국 전(孔安國 傳)이라 한다.
(후에 위작(僞作)으로 처리 됨)
|
洪範九疇 홍법구주
武王勝殷,殺受,立武庚, 以箕子歸。作「洪範」。
주(周)나라 무왕이 은(殷)나라를 이기고 수(受 :은나라 紂王)를 죽이었다.
무경을 (紂王의 아들을 은나라 제사를 받들게) 세우며
기자를 (조선으로) 돌아가게 하고 홍범을 지었다. 洪範 : 모범이 되는 중요한 법률. 惟十有三祀,王訪于箕子。
13년 되든 해(祀은 年)에
왕이 기자를 방문하시었다.
王乃言曰:
왕이 이에 말하시었다,
「嗚呼!箕子。
「아, 기자여.
惟天陰騭下民,相協厥居,
하늘은 백성들을 정하여 가려놓고 陰(음) : 가리다. 騭(즐) :정하다. 오르다.
그의 거처를 도와 화합하게 하시나,
我不知其彝倫攸敘。」 나는
그 떳떳한 윤리가 베플어지는 바를 알지 못하오.」 彝(이) :떳떳하다. 법칙. 攸(유) : 바 유(의존 명사). 위태하다. 箕子乃言曰:
기자가 이에 말하였다.
「我聞在昔,鯀堙洪水,汩陳其五行。
「제가 옛날에 들으니,
곤(鯀)이 홍수를 막아
鯀(곤) : 우안(禹王)의 버지 堙(언) : 막다.
오행의 진열을 어지럽혔습니다. 帝乃震怒,不畀『洪範』九疇,
상제께서 이에 진노하시어
홍범구주(아홉개의 큰 법)를 내려주지 않으시니,
彝倫攸斁。
떳떳한 도리가 무너지게 된 것입니다.
鯀則殛死,禹乃嗣興, 곤이
귀양 가 죽고
우왕이 이에 일어나자
天乃錫禹『洪範』九疇,彝倫攸敘。
하늘이 이에 우왕에게 홍범구주를 내려주시니
떳떳한 윤리가 베플어지게 된 것입니다.
이하 8게 항목 생략
|
오복과 육극
九、五福:
아홉번쩨는 오복이다.
一曰壽,
처음은 수이다. 수(壽) : 오래사는 것. 長水 [공안국 전]의 기록 : 百二十年
사람의 수명은 120살까지 살 수 있다.
二曰富,
두번째는 부입니다.
富(부) : 부유함
[공안국 전]의 기록 : 在豊備
富란 재물을 풍성하게 갖춤이다.
三曰康寧,
세번째는 강녕이다.
강녕 : 건강하고 편안함.
[공안국 전] 기록 : 無疾病
강녕이란 괴로움과 병이 없음이다.
四曰攸好德,
네번째는
덕을 좋아하는 바다. 攸(유) : ∼하는 바. 의존명사
[공안국 전] 기록 : 所好者德福之道
유호덕은 좋아하는 바의 것이 덕과 복이다.
五曰考終命。
다섯째는
태어날 때 받고 나온 수명을 이룸이다. 천명(수명)을 다 이루고 죽는 것.
[공안국 전] 기록:
各成基短長之命以自終 不橫夭
고종명은 각자 타고난 길고 짧은 천명(목숨)을 스스로 마침으로써
일찍 횡사하지 않음이다.

六極:
육극이다.
一曰凶、短、折,
첫번째는 단명하여 요절의 흉함이다. 短(단) : 단명 折(절) ; 요절
[공안국 전] 기록 : 動不遇吉
흉이란 움직임이 길함을 만나지 못함이다.
短未六十 단명은 육십미만이고
折未三十 요절은 삼십미만으로
言辛苦
괴롭고 고생스러움을 말함이다.
凶 馬云 終也 흉이란 마씨에 이르기를 마침(죽음)이라 했다.
二曰疾,
두번째는 질병이다.
[공안국 전] 기록 : 常抱疾苦
질(疾)이란 항상 질병을 품고 괴로워하는 것이다.
三曰憂,
세번째는 근심의 흉함이다.
[공안국 전]의 기록 : 多所憂
우(憂)란 근심하는 바가 많음이다. 所(소) : ∼하는 바. 의존명사
四曰貧,
네째는 가난의 흉함이다.
[공안국 전] 기록 : 因於財
빈(貧)이란 재물에 빈곤함이다.
五曰惡,
다섯째는 미워함의 흉함이다.
[공안국 전] 기록 : 醜陋(추누 거꿀로 하면 누추)
惡(오)란 추하고 더러움이다
六曰弱。
여섯째는 약함의 흄함이다.
[공안국 전] 기록 : 尫劣(왕열)
약(弱)이란 절름발이의 열세이다. 尫(왕) : 절름발이.
劣(렬) ; 못하다. 약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