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 도(賭)자는 의부(義符)로 조개 패(貝)자에 성부(聲符)로 놈 자(者)자를 했습니다. 놈 자(者)자는 늙을 로(老)자 아래에 가로 왈(曰)자를 한 것 같지만, 실은 쌀 미(米)자 아래에 가로 왈(曰)자를 해서, 쌀을 먹는 사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도읍 도(都), 담 도(堵), 볼 도(睹), 볼 도(覩)자들은 놈 자(者)가 들어 있어서 ‘도’로 읽습니다. 도박(賭博) 일척도건곤(一擲賭乾坤) 도조(賭租) 도지(賭只) 도지(賭地)
밟을 도(蹈)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퍼낼 요(舀)자를 했습니다. 퍼낼 요(舀)자는 손을 뜻하는 손톱 조(爪)자 아래에 절구 구(臼)자를 해서 절구 확에 들어 있는 곡식을 퍼내는 모양을 한 회의(會意)글자입니다. 끈 도(縚), 옥 이름 도(瑫), 물 넘칠 도(滔), 감출 도(韜), 칼전대 도(幍), 마소의 구유 도(䈱), 여자 이름 도(嫍), 의심할 도(謟)자들은 퍼낼 요(舀)자가 들어 있어서 ‘도’로 읽습니다. 도차(蹈叉) 도해(蹈海) 도화(蹈火) 도열(蹈烈) 무도(舞蹈) 도수화(蹈水火) 백인가도(白刃可蹈)
도금할 도(鍍)자는 의부(義符)로 쇠 금(金)자에 성부(聲符)로 법도 도(度)자를 했습니다. 법도 탁(度)자는 집 엄(广)자 아래에 스물 입(廿)자를 하고 그 아래에 또 우(又)자를 했습니다. 집 엄(广)자는 집을 뜻하고, 스물 입(廿)자는 많은 사람을 뜻하고, 또 우(又)자는 손을 뜻합니다. 집안에서 많은 사람이 그렇게 하는 것을 법도라고 합니다. 여기서 우리는 법도의 출발이 집안에서 가족이 지켜야할 기본 질서를 나타내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법도의 출발은 가족관계부터입니다. 헤아릴 탁(度)자는 법도 도(度)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도금(鍍金) 은도금(銀鍍金) 전도(電鍍) 도금액(鍍金液) 도금상(鍍金像)
비출 도(燾)자는 의부(義符)로 불 화(火,灬)자 변에 성부(聲符)로 목숨 수(壽)자를 했습니다. 목숨 수(寿shòu)자는 목숨 수(壽)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목숨 수(壽)자는 옛 글자를 보면 털이 길고, 허리가 구부정하고, 세월을 의미하는 구불구불한 물가를 걷는 사람을 그린 글자입니다. 나이가 많은 사람의 특징을 잘 잡아서 그린 글자입니다. 목숨 수(壽)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발자국이 이리저리 이어감을 나타냈습니다. 빌 도(禱), 물결 도(濤), 등걸 도(檮), 성채 도(壔), 말 제사지낼 도(䮻)자들은 목숨 수(壽)자가 들어 있어서 ‘도’로 읽습니다. 도육(燾育) 장도(張燾, 1876~?) 왕도(王燾) 도천수관음가(禱,도(燾)千手觀音歌)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